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Maktab qochish xonasi
Erkin Usul
til

언어와매체

최한나
33
0
Qo'shilgan muammo (20/ 20)
Iltimos, noto'g'ri javobga ruxsat bering
Javobni yashirish
public quiz

muammo 1

javob

단어보다 작은 개념으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ㅎㅌㅅ라고 한다.

  • 형태소

izoh

자립, 의존, 실질, 형식 ㅎㅌㅅ

muammo 2

OX

'하늘이 푸르다'는 자립형태소 1개와 의존형태소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izoh

하늘+이 푸르+다

muammo 3

Tanlov turi

'하늘이 푸르다'에서 실질 형태소는 몇 개 인가?

  • 1개
  • 2개
  • 3개
  • 4개
izoh

구체적이고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형태소는 실질형태소. 문법적 의미(조사, 어미, 접사)를 갖는 형태소는 의존형태소. 하늘+이 푸르+다

muammo 4

Tanlov turi

(2023학년도-6월모평)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 '우리는'의 '우리'와 '드디어'는 (ㄴ)에 속한다.
  • '비를'과 '길을'에는 (ㄱ)과 (ㄴ)에 속하는 형태소만 있다.
  • '맞고'의 '맞-'과 '맞서다가'의 '맞-'은 모두 (ㄷ)에 속한다.
  • '바람에'에는 (ㄴ)과 (ㄷ)에 속하는 형태소만 있다.
  • '찾아냈다'에는 (ㄴ)과 (ㄷ)에 속하는 형태소만 있다.
izoh

찾아냈다: 찾+아+내+었+다 우리: 자립, 실질 형태소 맞다: 맞(실질, 의존 형태소)+다(형식, 의존 형태소)

muammo 5

javob

복합어 중 직접 구성 요소가 모두 어근인 단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합성어

izoh

ㅎㅅㅇ VS ㅍㅅㅇ

muammo 6

OX

꿀벌은 합성어이다.

muammo 7

OX

'짓밟다'는 합성어, '높푸르다'는 파생어이다.

izoh

짓+밟다, 높다+푸르다

muammo 8

Tanlov turi

'짓밟히다' 속 접사는 몇 개일까요?

  • 1개
  • 2개
  • 3개
  • 4개

muammo 9

Tanlov turi

다음 중 의존 명사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관형어의 수식을 받음.
  • 문장의 첫머리에 위치하지 못함.
  • 단독으로 쓰일 수 있음.
izoh

의존 명사의 예시) 웃을 '뿐', 먹는 '대로', 연필 한 '자루'

muammo 10

OX

[나도 너'만큼' 공부했다, 너'뿐'이야, 너'대로'] 속 '만큼, 뿐, 대로'는 모두 의존 명사이다.

izoh

아래의 예시와 비교해보세요.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왔다, 웃을 '뿐', 먹는 '대로']

muammo 11

OX

'첫눈이 그저께 왔다.'의 '그저께'와 '그는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의 '세계적'은 품사는 서로 다르지만 문장 성분은 서로 같다.

izoh

'그저께'는 '왔다.'를 꾸미고 있고, '세계적'은 '명성'을 꾸미고 있다. *품사는 명사, 대명사, 관형사, 부사 등을 말하고, 문장 성분은 주어, 목적어, 서술어, 부사어, 관형어 등을 말한다.

muammo 12

OX

서술격 조사 '이다'는 관계언이지만 가변어에 해당한다.

izoh

관계언은 조사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조사는 '은,는,이,가,만,도' 등이 있고, 서술격 조사는 '이다'이다.

muammo 13

Tanlov turi

아래의 글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현대 국어의 ‘에서’가 주격 조사로 쓰일 때에는 ‘에서’ 앞에 공간이나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가 오고 유정 명사는 올 수 없다. 중세국어의 '에셔', 현대국어의 '에서'와 달리 중세 국어의 'ㅅ긔셔', 현대국어의 '께서'는 높임의 유정 명사 뒤에 나타난다.

  • ㄱ: 공간을 의미하는 '그 지역'에 주격 조사 '에서'가 붙었군.
  • ㄴ: 집단을 의미하는 '정부'에 주격조사 '에서'가 붙었군.
  • ㄷ: 높임의 유정 명사인 '할머니'에 주격 조사 '께서'가 붙었군.
  • ㄹ: '그위예셔'는 '그위'에 주격 조사 '예셔'가 붙었군.
  • ㅁ: 높임의 유정 명사인 '부텨'에 부사격 조사 'ㅅ긔셔'가 붙었군.
izoh

조사'에서'가 집단을 의미하는 주어로 쓰였는지, 장소를 뜻하는 부사어로 쓰였는지 판단해보세요.

muammo 14

OX

형용사 '예쁘다'를 청유형 '*얼굴이 예쁘자.'나 명령형 '얼굴이 예뻐라.'로 쓸 수 없다. 단, '아유, 얼굴이 참 예뻐라.'와 같이 감탄의 의미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izoh

감탄의 종결어미 '-어라/-아라'가 있다.

muammo 15

Tanlov turi

(2016학년도 3월 학평) <보기>의 (가)~(다)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izoh

병이 낫다-병이 나아 -> 표기와 발음 모두에서 ㅅ탈락 옷을 벗다-옷을 벗어 -> 다른 말은 경우에는 ㅅ이 생존해 있음. '낫다'라는 단어의 특이성이므로 불규칙 활용 아이를 낳다-아이를 낳아[나아] -> 표기에서는 ㅎ 생존, 발음에서는 ㅎ 탈락 너가 좋다-너가 좋아[조아] ㅎ탈락은 항상 설명 가능하므로 규칙 활용

muammo 16

Tanlov turi

(2014학년도 4월 학평) <보기>의 밑줄 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친구가 병이 낫다. / 동생이 형보다 인물이 낫다.
  • 벽에 바른 벽지가 울다. / 시합에 진 어린이가 울다.
  • 소나무가 마당 쪽으로 굽다. / 어머니께서 빵을 굽다.
  • 친구에게 약속 시간을 이르다. / 약속 장소에 이르다.
  • 장작이 벽난로에서 타다. / 학교에 가려고 버스를 타다.
izoh

힌트1) 각각의 서술어에 '-어/-어서'를 붙여서 서로 다른 형태인지 확인한다. 힌트2) 하나는 규칙 활용이고 다른 하나는 불규칙 활용인 것을 찾아야 한다. 힌트3) 선택지 4번의 '친구에게 약속 시간을 이르다'는 알리다는 뜻으로, '일러'로 활용할 수 있고, '약속 장소에 이르다.'는 도착하다는 뜻으로, '이르러'로 활용할 수 있다.

muammo 17

javob

주체 높임과 시제는 어말어미가 아닌, ㅅㅇㅁ 어미이다.

  • 선어말

  • 선어말 어미

  • 선어말어미

muammo 18

Tanlov turi

(2021학년도 4월 학평) <보기>의 ㉮ ~ ㉲를 아래의 ⓐ ~ ⓒ로 바르게 분류한 것은? -연결 어미는 두 문장을 나열, 대조 등의 의미 관계로 이어 주는 ⓐ'대등적 연결 어미', 앞 문장이 뒤 문장의 원인, 조건 등과 같은 의미를 가지도록 이어주는 ⓑ'종속적 연결 어미',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이어 주는 ⓒ'보조적 연결 어미'로 나눌 수 있다.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izoh

(나) '먹어'는 '먹어서'와 같이 원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대등과 종속을 비교할 때는, 문장의 앞뒤절을 바꿔도 의미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형은 빵은 먹고 동생은 과자를 먹었다. = 동생은 과자를 먹고 형은 빵을 먹었다.

muammo 19

javob

부사는 일반적으로 용언이나 다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관형사나 체언을 수식할 수도 있다. 예) 내가 좋아하는 음식은 바로 치킨이야. -> 예시에서 '바로'가 수식하는 것은 무엇인가?

  • 치킨

  • 체언

  • 명사

muammo 20

Tanlov turi

(2017학년도 7월 학평) 품사 통용 (ㄱ), (ㄴ)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ㄱ): 명사와 부사로 쓰인 것 -(ㄴ): 명사와 조사로 쓰인 것

  • (ㄱ) 둘에 다섯을 더하면 '일곱'이다. / 여기에 사과 '일곱' 개가 있다.
  • (ㄱ) 너 '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 / 가구가 '커서' 방에 들어가지 않는다.
  • (ㄱ) 식구 '모두'가 여행을 떠났다. / 그릇에 담긴 소금을 '모두' 쏟았다.
  • (ㄴ) 나를 처벌하려면 법'대로' 해라. / 큰 것은 큰 것'대로' 따로 모아 두다.
  • (ㄴ) 모두 '같이' 학교에 갑시다. / 얼음장'같이' 차가운 방바닥이 생각나다.
izoh

(ㄱ) 명사는 주로 조사와 함께 결합하여 쓰이고, 부사는 주로 용언(동사, 형용사)를 꾸며줍니다. (ㄴ) 명사와 조사는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Google Classroom ul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