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선택형
고사성어 '지록위마'에서 '록(鹿)'은 무엇을 가리키나요?
- 말
- 사슴
- 호랑이
- 용
'毛遂自薦'은 어떤 상황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인가요?
指鹿爲馬
咸興差使
群鷄一鶴
伯牙絶絃
伯牙絶絃
斷機之戒
毛遂自薦
昏定晨省
'手'가 부수로 쓰인 한자는 재주나 솜씨, 방법이나 수단 등과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한자와 독음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拳銃 - 수사
拳鬪 - 권총
搜査 - 합장
搜索 - 수색
그녀는 순간적으로 ㅇㅇ를 발휘했다.
빈칸에 들어갈 한자로 가장 옳은 것은?
機械
機智
機構
굳게 ㅇㅇ된 성벽 위는 안전한 편이다.
빈칸에 들어갈 한자로 가장 옳은 것은?
毁損
封鎖
戱弄
侵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