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단답형
균류나 원생생물보다 크기가 더 작고 생김새가 단순한 생물을 뭐라고 하나요?
세균
힌트

세균
비피두스균(Bifidobacterium)은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혐기성)에서만 잘 살아갑니다.
생물과 무생물을 나누는 기준은 세 가지이다. 첫째, 생물은 스스로 자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둘째, 스스로 양분을 먹고 소화하여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셋째, 외부 반응에 적응하고 진화할 수 있다.
세균은 아래 기준을 만족합니다. 생물과 무생물을 나누는 기준은 세 가지이다. 첫째, 생물은 스스로 자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세균은 증식한다. 둘째, 스스로 양분을 먹고 소화하여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생물이 흡수한 양분으로 살아감. 셋째, 외부 반응에 적응하고 진화할 수 있다.->네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에 들어가야만] 살아갈 수 있어서 생물이라고 할 수도 있고, 무생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생물과 무생물을 나누는 기준은 세 가지이다. 첫째, 생물은 스스로 자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둘째, 스스로 양분을 먹고 소화하여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셋째, 외부 반응에 적응하고 진화할 수 있다.
충치균 (『과학』 112쪽)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은 사람의 입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이다. 이 세균은 치아 표면에 남아 있는 당류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데, 이때 젖산을 생성한다. 이 젖산이 치아를 부식시키면서 충치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