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학교 방탈출
자유 풀이
중등 2-1
국어

1학기 정리 (개별)

박혜림선생님-국어
0
박혜림선생님-국어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소설 동백꽃에서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그 성격을 바르게 추측한 것은?

  • 점순이의 물음에 퉁명스럽게 대꾸하는 것을 보니 ‘나’는 무뚝뚝한 성격인가 봐.
  • 점순이가 ‘나’에게 한 말을 보니 점순이는 생색을 내기 좋아하는 오만한 아이야.
  • 자신에게 잘해 준 점순이를 본척만척한 것을 보니 ‘나’는 배은망덕한 녀석이야.
  • 몸이 떨릴 정도로 화가 나면서도 주변을 살피는 것을 보니 ‘나’는 약삭빠른 인물이야.
  • ‘나’에게 호감을 표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나’를 괴롭히는 모습으로 보아 점순이는 변덕스러운 아이야.

문제 2

단답형

시 '엄마걱정' 중 '내 유년의 윗목'에 사용된 표현방법을 2음절로 쓰시오.

  • 은유

문제 3

선택형

시 '독은 아름답다'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소중한 사람을 위해 힘든 일을 해냈으니까 “독한 마음이 아름답다”라고 볼 수도 있어.
  • ‘은행나무 열매’, ‘밤톨’, ‘복어알’은 ‘술’과 연관되는 부정적인 특성을 지닌 소재들이야.
  • 구린내 때문에 은행나무 열매를 피하게 되니까 결국 구린내가 열매를 보호하는 셈이야.
  • 복어의 독은 포식자에게는 치명적인 맹독이지만 복어알에게는 자신을 보호해 주는 수단이야.
  • “가시가 너그럽다”는 모순된 표현이지만 가시가 밤톨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말이 된다고도 생각해.

문제 4

단답형

'양반전'에서 작가가 비판하고자 하는 양반의 모습을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관련 지어 4음절로 쓰시오. 양반의 0000.

  • 부도덕함

힌트

000함

'양반전'에서 작가가 비판하고자 하는 양반의 모습을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관련 지어 4음절로 쓰시오. 양반의 0000.

문제 5

선택형

양반전을 읽고 양반 신분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문신과 무신으로 나뉘었다.
  • 여러 가지 칭호로 불리었다.
  • 호장과 이방의 아래 신분이었다.
  • 과거에 급제하면 많은 것을 가질 수 있었다.
  • 백성을 나누는 네 가지 계급 중 가장 높은 계급이었다.

문제 6

선택형

시 '엄마걱정'의 분위기를 살려 낭송하기 위한 계획을 가장 잘 세운 사람은?

  • 영주: 주제를 잘 살리기 위해서는 빠르고 힘차게 읽어야 해.
  • 민선: 화자는 성인이야. 감정을 배제하고 딱딱한 느낌으로 낭송해야 해.
  • 진영: 슬픔을 담은 낮고 느릿한 목소리가 훨씬 더 잘 어울릴 것 같아.
  • 석진: 아이가 화자니까 순수하고 명랑한 목소리로 낭송하는 게 맞을 것 같아.
  • 성호: 가난에 대한 절망과 원망이 드러나려면 좀 더 격한 어조로 낭송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문제 7

단답형

소설 '동백꽃'에서 다음의 의미를 담고 있는 소재를 쓰시오. ▪ ‘나’에 대한 점순이의 최초의 애정 표현이다. ▪ ‘나’와 점순이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는 원인이 된다.

  • 감자

문제 8

단답형

시 '먼 후일'의 “잊었노라”에 사용된 표현 방법을 2음절로 쓰시오.

  • 반어

문제 9

선택형

시 '먼 후일'의 운율 형성 방법을 정리한 ❤️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음보 ❤️ 같은 시어의 반복 ⦁ 같은 문장 구조의 반복

  • 먼 훗날
  • 당신이
  • 찾으시면
  • 잊었노라
  • 나무라면

문제 10

선택형

'양반전'을 통해 알 수 있는 당시 사회의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신분을 사고팔 수 있었다.
  • 신분에 따라 옷차림이 달랐다.
  • 경제적으로 부를 갖춘 평민이 있었다.
  • 가난한 양반은 평민들의 무시를 받았다.
  • 나라에서 곡식을 꾸어 주는 제도가 있었다.

문제 11

선택형

시나 소설 속 말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작품에서 항상 '나'로 나타난다.
  • 작품 속 말하는 이를 '화자' 라고 한다.
  • 작품에서 말하는 이는 항상 사람이다.
  • 작품에서 독자를 대신하여 생각을 전달한다.
  • 작품의 주제와 분위기 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문제 12

선택형

친구에게 시 '엄마 걱정'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적절하지 않은 부분은?

친구에게 시 '엄마 걱정'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적절하지 않은 부분은?

문제 13

선택형

동백꽃의 서술 방식을 바르게 이해한 것은?

  • 서술자는 작품의 밖에 위치하고 있다.
  • 사건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전달한다.
  • 주변 인물이 주인공을 관찰하여 전달한다.
  • 주변 인물의 심리까지 모두 꿰뚫어 보고 전달한다.
  • 주관적인 눈으로 사건을 보아 독자가 추측하고 상상해야 한다.

문제 14

선택형

소설 '동백꽃'의 서술자를 ‘나(Ⓐ)’에서 점순이(Ⓑ)로 바꾸었을 때 달라질 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나(Ⓐ)’의 심리를 추측하며 읽게 될 것이다.
  • ‘나(Ⓐ)’의 상황이 객관적으로 전달될 것이다.
  • 점순이(Ⓑ)의 심리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 닭싸움을 붙이는 점순이(Ⓑ)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 ‘나(Ⓐ)’에 대한 점순이(Ⓑ)의 관심과 애정이 더욱 잘 드러날 것이다.

문제 15

단답형

시 '독은 아름답다'의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조건>에 맞게 쓰시오. ▪ 시에 쓰인 주된 표현 방법을 밝혀 쓸 것 ▪ ‘은행나무 열매’, ‘밤송이’, ‘복어’, ‘친구’의 특성과 연관지어 서술할 것

  • 역설 주제는 자식을 향한 부모의 사랑은 가치가 있다.

힌트

00 주제는 00을 향한 00의 사랑은 00가 있다.

문제 16

단답형

양반전의 작가가 이 소설을 지은 까닭을 주된 표현방법을 넣어서 쓰시오.

  • 양반을 풍자하기 위해서

힌트

00을 00하기 위해서

문제 17

선택형

시 '딸기'를 감상하고 시화를 만들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그림은?

  • 딸기 농사를 지으며 땀 흘리는 농부의 모습
  • 딸기를 실은 짐차 앞에서 가격을 흥정하는 손님
  • 햇볕을 쐬고 비를 맞으며 점차 여물어 가는 딸기
  • 딸기 상자를 한가득 싣고 농촌 길을 달리는 짐차
  • 먼 길을 달리느라 멀미를 하는 짐차 운전수의 모습

문제 18

단답형

시 '딸기'와 시 '그림자'의 화자에 대해 <조건>에 맞게 서술하시오. <조건> 각각의 화자가 누구인지 쓰고, 공통점과 효과를 쓸 것.

  • 시 딸기의 화자는 '딸기', 시 그림자의 화자는 '그림자'로 모두 사물이 화자이다. 이러한 화자를 통해 독자에게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힌트

시 딸기의 화자는 '00', 시 그림자의 화자는 '000'로 모두 00이 화자이다. 이러한 화자를 통해 독자에게 00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문제 19

단답형

시 엄마걱정 중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에 사용된 심상은?

  • 청각적심상

힌트

000심상

문제 20

단답형

소설 동백꽃에서 점순이의 애정과 미움의 이중적 감정을 드러내는 소재를 쓰시오.

  • 닭싸움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