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바다 보물찾기
자유 풀이
중등 1-공통
국어
비상교과서

품사 문제

천예은
182
1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어떤 의미를 나타내느냐에 따라 아홉 가지로 나뉜다.
  •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 같은 품사에 속하는 단어는 공통적인 특성을 지닌다.
  • 단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묶어 놓은 것이다.
  •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느냐에 따라 일곱 가지로 나뉜다.

문제 2

선택형

아래 단어 중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를 모두 고른 것은? <기쁘다, 훨씬, 앉다, 나뭇잎, 너무>

  • 훨씬, 나뭇잎, 너무
  • 나뭇잎, 너무
  • 훨씬, 앉다, 너무
  • 기쁘다, 나뭇잎
  • 기쁘다, 앉다, 나뭇잎

문제 3

선택형

기능을 기준으로 단어들을 분류할 때, 같은 기능을 가진 단어끼리 묶은 것은?

  • 앗, 활짝
  • 우리, 철수
  • 모든, 하나
  • 달리다, 온갖
  • 예쁘다, 까지

문제 4

선택형

다음 단어의 의미가 추상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것은?

  • 걱정
  • 지갑
  • 무지개
  • 솜사탕

문제 5

선택형

㉠~㉤ 중 대명사가 아닌 것은?

㉠~㉤ 중 대명사가 아닌 것은?

문제 6

선택형

괄호 친 단어 중 수사가 아닌 것은?

  • 다섯에서 둘을 빼면 (셋)이다.
  • 필통에서 연필 (하나)를 꺼냈다.
  • 방에는 어른 (서넛)이 앉아 있었다.
  • 냄비에 간장을 (세) 숟가락만 더 넣어 주세요.
  • 잠 자기 전에 (첫째), 이를 닦고 둘째, 손을 씻어야 해요.

문제 7

선택형

밑줄 친 두 단어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 문장에서 형태가 변한다.
  • 뒤에 오는 말을 꾸며 준다.
  •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 다른 말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인다.
  • 문장에서 주로 주어, 목적어 등의 역할을 한다.
밑줄 친 두 단어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문제 8

선택형

괄호 친 부분의 활용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공을 힘껏 (찬다).
  • 손을 항상 (깨끗해라).
  • 밥을 잘 챙겨 (먹어라).
  •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자).
  •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는다).

문제 9

선택형

다음 중 문장에 쓰인 조사의 개수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 나는 운동장에서 친구와 자전거를 탔다.
  • 좋은 옷을 입어 기분까지 좋아진 것 같다.
  • 오늘은 졸업식이므로 꽃을 철수에게 선물했다.
  • 아침부터 비가 많이 내려 나는 기분이 우울했다.
  • 사람들은 하늘에 이상한 물체가 떠다니는 것을 보았다.

문제 10

선택형

다음 중 부사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 형광등 스위치를 딸깍 올렸다.
  • 우리는 밥을 매우 천천히 먹었다.
  • 너는 어떤 날씨를 좋아하니?
  •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 모든 학생들이 손을 들자 선생님께서 놀라셨다.

문제 11

선택형

괄호 친 단어 중 감탄사가 아닌 것은?

  • (너), 이리 좀 와 봐라.
  • (네), 어머니. 부르셨어요?
  • (어이), 자네 나 좀 도와주게.
  • (아이고), 다리야. 조금만 쉬어 가자.
  • (아하), 그 사람이 그래서 화를 냈구나!

문제 12

선택형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품사가 쓰인 문장은? <조건1> 조사가 붙을 수 없다. <조건2> 문장에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조건3> 문장에서 쓰일 때 단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 이것은 친구가 가장 좋아했던 영화이다.
  • 과연 이 일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 잘못을 저지른 후 동생은 무척이나 후회했다.
  • 아들을 만나자 비로소 어머니의 굳은 얼굴이 환해졌다.
  • 바쁘신데 이렇게 모여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문제 13

선택형

㉠~㉤의 품사를 잘못 파악한 것은?

  • ㉠: 명사
  • ㉡: 대명사
  • ㉢: 동사
  • ㉣: 부사
  • ㉤: 형용사
㉠~㉤의 품사를 잘못 파악한 것은?

문제 14

선택형

아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영희는 새 운동화를 신고 신나게 학교로 뛰어갔다.]

  • 관형사, 부사가 모두 쓰였다.
  • 이 문장에서 명사는 모두 세 개이다.
  • 이 문장에서 감탄사는 쓰이지 않았다.
  • 이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품사는 모두 세 개이다.
  • 이 문장에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는 모두 세 개이다.

문제 15

선택형

아래 문장의 품사 중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너만 우리 팀에 들어오면 우리는 너무도 천하무적이다.]

  • 이 문장에 쓰인 조사는 모두 3개이다.
  •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조사가 쓰였다.
  • '만'은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이다.
  • 체언에 붙지 않고 용언에 붙은 조사가 있다.
  • '이다'는 체언에 붙어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한다.

문제 16

선택형

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모름지기 모든 사람은 한 번쯤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 '한'은 '번'을 꾸며 주는 수사이다.
  • 관형사보다 부사가 더 많이 쓰였다.
  • 모두 네 개의 수식언이 사용되었다.
  • '모든'은 '사람'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다.
  • '모름지기'는 '모든'을 꾸며 주는 부사이다.

문제 17

선택형

아래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손가락, 필통, 저희, 여러분, 셋, 서넛>

  • 주로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한다.
  • 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 문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만들어 준다.
  • 문장에서 활용하여 여러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 조사와 결합하여 쓰이거나 홀로 쓰일 수 있다.

문제 18

선택형

다음 문장에 쓰인 수사의 개수로 적절한 것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그 반에 다섯 명이나 달리기를 잘 하는 걸 보니 체육대회에서 첫 우승을 하겠어.]

  • 1개
  • 2개
  • 3개
  • 4개
  • 5개

문제 19

선택형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과 ㉡은 각각 1개의 용언이 있다.
  • ㉠과 ㉡은 각각 2개의 체언이 있다.
  • ㉠과 ㉡은 각각 2개의 관계언이 있다.
  • ㉠은 독립언이 없으나, ㉡은 독립언이 1개 있다.
  • ㉡은 수식언이 없으나, ㉠은 수식언이 2개 있다.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문제 20

선택형

아래 문장에 사용된 용언의 개수는? [점심 무렵에는 산과 들이 눈부시게 하얀 이불을 덮고 잠이 들었다.]

  • 1개
  • 2개
  • 3개
  • 4개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