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선택형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어떤 의미를 나타내느냐에 따라 아홉 가지로 나뉜다.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같은 품사에 속하는 단어는 공통적인 특성을 지닌다.단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묶어 놓은 것이다.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느냐에 따라 일곱 가지로 나뉜다.
문제 2선택형아래 단어 중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를 모두 고른 것은? <기쁘다, 훨씬, 앉다, 나뭇잎, 너무>훨씬, 나뭇잎, 너무나뭇잎, 너무훨씬, 앉다, 너무기쁘다, 나뭇잎기쁘다, 앉다, 나뭇잎
문제 6선택형괄호 친 단어 중 수사가 아닌 것은?다섯에서 둘을 빼면 (셋)이다.필통에서 연필 (하나)를 꺼냈다.방에는 어른 (서넛)이 앉아 있었다.냄비에 간장을 (세) 숟가락만 더 넣어 주세요.잠 자기 전에 (첫째), 이를 닦고 둘째, 손을 씻어야 해요.
문제 7선택형밑줄 친 두 단어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문장에서 형태가 변한다.뒤에 오는 말을 꾸며 준다.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낸다.다른 말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인다.문장에서 주로 주어, 목적어 등의 역할을 한다.
문제 9선택형다음 중 문장에 쓰인 조사의 개수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나는 운동장에서 친구와 자전거를 탔다.좋은 옷을 입어 기분까지 좋아진 것 같다.오늘은 졸업식이므로 꽃을 철수에게 선물했다.아침부터 비가 많이 내려 나는 기분이 우울했다.사람들은 하늘에 이상한 물체가 떠다니는 것을 보았다.
문제 10선택형다음 중 부사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형광등 스위치를 딸깍 올렸다.우리는 밥을 매우 천천히 먹었다.너는 어떤 날씨를 좋아하니?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기 시작했다.모든 학생들이 손을 들자 선생님께서 놀라셨다.
문제 11선택형괄호 친 단어 중 감탄사가 아닌 것은?(너), 이리 좀 와 봐라.(네), 어머니. 부르셨어요?(어이), 자네 나 좀 도와주게.(아이고), 다리야. 조금만 쉬어 가자.(아하), 그 사람이 그래서 화를 냈구나!
문제 12선택형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품사가 쓰인 문장은? <조건1> 조사가 붙을 수 없다. <조건2> 문장에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조건3> 문장에서 쓰일 때 단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이것은 친구가 가장 좋아했던 영화이다.과연 이 일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잘못을 저지른 후 동생은 무척이나 후회했다.아들을 만나자 비로소 어머니의 굳은 얼굴이 환해졌다.바쁘신데 이렇게 모여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문제 14선택형아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영희는 새 운동화를 신고 신나게 학교로 뛰어갔다.]관형사, 부사가 모두 쓰였다.이 문장에서 명사는 모두 세 개이다.이 문장에서 감탄사는 쓰이지 않았다.이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품사는 모두 세 개이다.이 문장에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는 모두 세 개이다.
문제 15선택형아래 문장의 품사 중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너만 우리 팀에 들어오면 우리는 너무도 천하무적이다.]이 문장에 쓰인 조사는 모두 3개이다.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조사가 쓰였다.'만'은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이다.체언에 붙지 않고 용언에 붙은 조사가 있다.'이다'는 체언에 붙어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한다.
문제 16선택형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모름지기 모든 사람은 한 번쯤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한'은 '번'을 꾸며 주는 수사이다.관형사보다 부사가 더 많이 쓰였다.모두 네 개의 수식언이 사용되었다.'모든'은 '사람'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다.'모름지기'는 '모든'을 꾸며 주는 부사이다.
문제 17선택형아래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손가락, 필통, 저희, 여러분, 셋, 서넛>주로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한다.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문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만들어 준다.문장에서 활용하여 여러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조사와 결합하여 쓰이거나 홀로 쓰일 수 있다.
문제 18선택형다음 문장에 쓰인 수사의 개수로 적절한 것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그 반에 다섯 명이나 달리기를 잘 하는 걸 보니 체육대회에서 첫 우승을 하겠어.]1개2개3개4개5개
문제 19선택형㉠과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과 ㉡은 각각 1개의 용언이 있다.㉠과 ㉡은 각각 2개의 체언이 있다.㉠과 ㉡은 각각 2개의 관계언이 있다.㉠은 독립언이 없으나, ㉡은 독립언이 1개 있다.㉡은 수식언이 없으나, ㉠은 수식언이 2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