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최고의 농부
라운드전
중등 3-1
국어

통일 시대의 국어 복습퀴즈

sunil6097
210
추가된 문제 (18/ 20)
오답 허용
정답 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나룻배를 이용하여 강을 건널 것이다'를 북한 식으로 표기했을 때, 남북한의 맞춤법에서 서로 다른 점이 아닌 것은?

  • 사이시옷 사용 여부
  • 두음법칙 인정 여부
  • 띄어쓰기의 범주
  • 종결어미의 형태

문제 2

OX

남한의 '드레스'를 뜻하는 북한말 '나리옷'은 이념과 사상을 바탕으로 새로 만들어진 말의 예이다.

문제 3

단답형

남한에서 '이채원이 이용하던 것이다.'라고 쓰는 문장을 북한의 맞춤법을 적용하여 바꾸면?(띄어쓰기와 각 단어를 정확하게 쓸 것)

  • 리채원이 리용하던것이다

  • 리채원이 리용하던것이다.

힌트

세 군데에서 차이를 찾아야 함!

문제 4

선택형

남한에서 '노크'는 북한에서 어떤 말로 순화하여 쓸까요?

  • 박수치기
  • 손기척
  • 악수
  • 도장 찍기

문제 5

단답형

북한의 문장 '초불 옆에서 이야기거리를 꺼내었다.'를 남한의 맞춤법에 맞게 바꾸면?(띄어쓰기와 다른 맞춤법 규정을 준수하여 작성)

  • 촛불 옆에서 이야깃거리를 꺼내었다.

  • 촛불 옆에서 이야깃거리를 꺼내었다

힌트

사이시옷에 유의!!

문제 6

선택형

북한말 '사귀다', '같은자리각', '맞문각'을 순서대로 남한말로 바꾸면?

  • 만나다, 동치각, 맞꼭지각
  • 만나다, 동위각, 맞문각
  • 교차하다, 동위각, 맞꼭지각
  • 교차하다, 동위각, 맞내각

문제 7

선택형

남한과 북한의 어휘 차이가 생긴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 북한이 문화어를 삼을 때의 기준 차이
  • 분단 이후 교류가 없어서
  • 서로 다른 사회제도와 이념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영향

문제 8

OX

남북한 맞춤법의 차이는 어휘의 차이보다는 덜하다.

문제 9

단답형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는 OOOO이다.

  • 의존명사

  • 의존 명사

문제 10

단답형

북한말 '망돌, 가마치, 게사니'를 (띄어쓰기와 쉼표 없이)순서대로 남한말로 바꾸어 적으면?

  • 맷돌누룽지거위

문제 11

선택형

<통일 시대의 우리말>을 쓴 저자의 이름은?

  • 강재일
  • 엄재일
  • 권재일
  • 금재일

문제 12

OX

권재일의 <통일 시대의 우리말>은 남북한 언어의 동질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담긴 논설문이다.

문제 13

단답형

<통일 시대의 우리말>에서는 'OOO'을/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말하듯이 내용을 설명하고 독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 캐릭터

문제 14

선택형

(남한 맞춤법 기준)사이시옷의 표기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 장맛비
  • 먹잇감
  • 뭇국
  • 기찻길
  • 옷장

문제 15

선택형

(남한 맞춤법 기준)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것은?

  • 노인
  • 라면
  • 이승연(쌤)
  • 내일

문제 16

선택형

남한 맞춤법 기준 '가버렸다'의 표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가버렷다
  • 가 버렷다
  • 가버렸다
  • 가 버렸다

문제 17

선택형

남한과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게 쓰이는 북한말은?

  • 궁전
  • 그쯘하게
  • 론쟁
  • 륜전기재

문제 18

선택형

표기가 남한과 다른 것은?

  • 왕밤알 무지
  • 표말
  • 두 자루
  • 쪽지 편지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