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숲 속
순서 풀이
고등 2-1
문학

시조

여천고국어쌤
453
추가된 문제 (13/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학습 자료

파일

시조 젭퀴즈.pdf
문제 풀이 중 보기 허용

문제 1

단답형

시조는 고려 말 이래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있는 우리 고유의 정형시이다. ‘시조’라는 명칭은 ‘( )’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 시절의 노래’라는 뜻을 가진 말과 곡조를 뜻하는 말이 붙어 ‘새로 유행하는 노래’를 뜻하는 말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은?

  • 시절가조

문제 2

단답형

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은 3~4자 정도로 된 마디(또는 토막) ( )개가 모여 이루어 진다. 마디는 ( ) 개가 합쳐져서 하나의 뜻을 갖는 구를 형성하고, ( ) 개의 구가 모여 하나의 장을 갖춘다. 이에 따라 시조는 ( )장 ( )구라는 형식을 보인다. 빈칸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 17

문제 3

단답형

시조는 작품 한 편의 글자 수가 대략 45자 안팎이지만, 글자 수를 엄격하게 제한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품마다 각 장, 구, 마디의 글자 수에는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종장의 첫마디는 ( )자인 것과 둘째 마디는 ( )자 이상이 되는 것이 관습이다. 빈칸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 8

문제 4

선택형

다음 중 시조가 언제 발생했는 지에 대한 견해로 주장되고 있는 것 중 현재 통설로 굳어진 설은?

  • 고려 초기 정착설
  • 고려 말엽 정착설
  • 조선 초기 정착설
  • 16세기 정착설
  • 조선 후기 정착설

문제 5

선택형

다음 중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르면?

  • 사대부들은 시조를 통해 14~15세기 정치적 격변기에는 조선 건국이나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기도 했다.
  • 사대부들은 시조를 통해 정치적 안정기에는 자신의 심성을 가다듬으며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마음을 표현하기도 했다.
  • 사대부들은 자신들의 위치에서 사회를 계몽하고 백성을 가르치는 수단으로 시조를 창작하기도 했다.
  • 사대부들은 연군과 우국을 노래하거나 유흥적 풍류를 담은 작품들을 창작하기도 했다.

문제 6

단답형

( )들의 작품들도 여럿 전하는데, 여기에서는 감정을 진솔하게 드러내는 모습이 나타난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시조 음악에 전문적 소양을 갖춘 ( )들이 시조 창작과 연행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악곡이나 창법이 개발되기도 했고,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시조 작품을 정리한 가집이 편찬되기도 했다. 빈칸에 들어갈 말은? ㄱㄴ, ㅈㅇㄱㄱ

  • 기녀, 중인 가객

  • 기녀, 중인가객

  • 기녀 중인 가객

  • 기녀 중인가객

문제 7

단답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는 이러한 시조의 정형시로서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진술을 구사하며 애정, 성욕, 재담, 음담, 노동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상황이나 장면을 노래하는 등 일반적인 사대부들의 시조 즉, 평시조와 구별되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등장한다. 이런 시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사설시조

문제 8

단답형

사설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 중 대체로 어떤 장이 장형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가?

  • 중장

문제 9

선택형

사설시조의 향유층에 대한 다양한 견해 중 현재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들을 모두 고르면?

  • 평민설
  • 양반설
  • 중인설
  • 양반, 중인설

문제 10

선택형

사설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르면?

  • 현실의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유교적 관념을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이나 애정의 파탄에 대한 해학 등을 다루고 있다.
  • 사설시조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갈등 상황과 세속적인 삶을 발랄하고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 사설시조는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을 포함한 삶의 모습을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사설시조는 평시조와 달리 많은 작품들이 관념적이거나 고답적인 성격을 지닌다.

문제 11

단답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ㄱ짜ㄱ, ㄴ, ㄱㄹ, ㅁㅎ, ㅇ, ㅎ, ㅅ, 탄ㅅ, ㅇ타ㄲ워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 골짜기, 눈, 구름, 매화, 없, 해, 서, 탄식, 안타까워

  • 골짜기,눈,구름,매화,없,해,서,탄식,안타까워

  • 골짜기눈구름매화없해서탄식안타까워

  • 골짜기 눈 구름 매화 없 해 서 탄식 안타까워

힌트

ㄱ짜ㄱ: 시조에 있음 ㄴ: 시조에서 '백설'이 뭔지 생각해봐! ㄱㄹ: 시조에 있는 말이야 ㅁㅎ: 시조에 있는 말이야 ㅇ: X -< 이게 힌트야 ㅎ: 석양은 뭐가 지는 거지? ㅅ: 시조에 있는 말, 시적화자가 지금 어떻게 하고 있지? 탄ㅅ: 한탄하여 한숨을 쉼. 또는 그 한숨.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ㄱ짜ㄱ, ㄴ, ㄱㄹ, ㅁㅎ, ㅇ, ㅎ, ㅅ, 탄ㅅ, ㅇ타ㄲ워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문제 12

단답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운ㅁ, ㅇㅌㄲ운, ?, ?, ?, ? * 마지막 빈칸 4개는 ? - 조선 건국의 신흥 세력: ? - 고려의 유신들? - 고려 왕조가 점점 기울어 가는 상황? - 고려를 지킬 충신? <백설, 구름, 매화, 석양> 중에서 골라 쓰면 됨.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 운명, 안타까운, 구름, 백설, 석양, 매화

  • 운명,안타까운,구름,백설,석양,매화

  • 운명안타까운구름백설석양매화

  • 운명 안타까운 구름 백설 석양 매화

힌트

ㅇㅁ: 앞으로의 생사나 존망에 관한 처지. (존망: 존속과 멸망)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운ㅁ, ㅇㅌㄲ운, ?, ?, ?, ?

* 마지막 빈칸 4개는 ?    
- 조선 건국의 신흥 세력: ?
- 고려의 유신들?
- 고려 왕조가 점점 기울어 가는 상황?
- 고려를 지킬 충신? 
<백설, 구름, 매화, 석양> 중에서 골라 쓰면 됨.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문제 13

단답형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ㅇ, ㅅ레, ㅅ, ㅇ, 반ㄱ, ㄸ, 해ㅎ, 애ㅌ, 아ㄴ, ㅈ추ㄹㅅㄷ, 실ㅁ감, ㅂ, 다ㅎ, 안ㄷ감, ㄴ, ㅁㅉ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 임, 설레, 산, 임, 반가, 뛰, 해학, 애타, 아니, 주추리 삼대, 실망감, 밤, 다행, 안도감, 낮, 멋쩍

  • 임,설레,산,임,반가,뛰,해학,애타,아니,주추리 삼대,실망감,밤,다행,안도감,낮,멋쩍

  • 임 설레 산 임 반가 뛰 해학 애타 아니 주추리삼대 실망감 밤 다행 안도감 낮 멋쩍

  • 임, 설레, 산, 임, 반가, 뛰, 해학, 애타, 아니, 주추리삼대, 실망감, 밤, 다행, 안도감, 낮, 멋쩍

  • 임 설레 산 임 반가 뛰 해학 애타 아니 주추리 삼대 실망감 밤 다행 안도감 낮 멋쩍

힌트

ㅇ: 화자가 기다리는 대상은 누구? ㅅ레: 보고 싶은 사람이 나한테 온대 그럼 어떤 감정? 반ㄱ: 그리워하던 사람을 만나거나 원하는 일이 이루어져서 마음이 즐겁고 기쁘다. ㄸ: 화자는 어떻게 가고 있지? 해ㅎ: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 애ㅌ: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끓는 듯하다. ㅈㅊㄹㅅㄷ: 시조에서 찾아 적으세요. 실ㅁ감: 열심히 달려왔는데 임이 아니었다. 무슨 감정을 느낄까? 다ㅎ: 자기가 허겁지겁 뛰어오는 못난 모습을 남들이 못 봤다. 어떤 감정 안ㄷ감: 안심이 되는 마음 ㅁㅉ: 문제에 답이 있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ㅇ, ㅅ레, ㅅ, ㅇ, 반ㄱ, ㄸ, 해ㅎ, 애ㅌ, 아ㄴ, ㅈ추ㄹㅅㄷ, 실ㅁ감, ㅂ, 다ㅎ, 안ㄷ감, ㄴ, ㅁㅉ

쉼표와 띄어쓰기 꼭 하기     
(정답 쓰고 쉼표 하나 띄어쓰기 한번)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