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교실
순서 풀이
중등 3-1
사회
미래엔
써니쌤의 역사교실 6반 (~통일신라)
양현선
317
13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다음 설명하는 고구려의 장군은 누구인가요? 수의 30만 별동대는 '고구려 장군'의 유인책에 휘말려 오랜 행군과 굶주림으로 지쳐있는 상태였다. 이를 간파한 '고구려 장군'은 우중문에게 거짓 항복을 담은 오언시를 보냈다. 거짓 항복을 받은 우중문은 서둘러 회군을 명령하였다.

  • 을지문덕

문제 2

선택형

다음 사건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가)-(나)-(다)
  • (가)-(다)-(나)
  • (나)-(다)-(가)
  • (나)-(가)-(다)
  • (다)-(나)-(가)
다음 사건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문제 3

OX

신라의 삼국통일은 김춘추가 완성하였다.

문제 4

OX

고구려는 수,당의 침입을 격퇴하고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 재편 시도에 맞서 독자적인 세력권을 지켜 냈다.

문제 5

선택형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나라를 모두 찾으시오. 신라와 당의 연합군은 ( )와/과 ( )을/를 차례로 멸망시켰다.

  • 고구려
  • 돌궐
  • 백제
  • 발해
  • 거란

문제 6

단답형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백제를 도우러 온 왜군이 ( )에서 패배하고, 최후의 보루였던 주류성이 나당 연합군에 함락되면서 백제 부흥 운동은 실패하였다.

  • 백강 전투

힌트

백제의 오랜 동맹국이었던 왜는 백제 부흥군을 돕기 위해 대군을 보냈다. 백제와 왜의 연합군은 현재의 금강이라고 전해지고 있는 백강 어귀에서 신라와 당의 연합군과 전쟁을 벌였으나 크게 패하였다.

문제 7

OX

당나라 군대가 신라 군대를 매소성과 기벌포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문제 8

선택형

다음 중 신라 삼국 통일의 의의를 모두 고르시오.

  • 신라는 먼저 백제의 옛 땅을 장악하고 백제 유민에게 관직을 주어 민족 통합을 꾀하였다.
  • 신라는 고구려 부흥군과 합세하여 당의 부대를 선제공격하였다.
  • 삼국의 문화가 하나로 융합되어 민족 문화 발전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 나당 전쟁에서 승리한 신라는 동아시아를 지배하려던 당의 야욕을 좌절시켰다.

문제 9

단답형

통일 신라와 발해가 병존하던 시대를 무슨 시대라고 하는가?

  • 남북국 시대

  • 남북국

문제 10

선택형

김춘추, 태종의 업적을 모두 고르시오.

  • 신라의 삼국 통일을 완성시켰다.
  • 유교 정치 이념을 수용하여 통치 체제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 김흠돌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혁파하였다.
  • 왕의 비서 기구인 집사부를 독립시켜 시중의 권한을 강화시켰다.

문제 11

단답형

신라는 수도가 국토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방의 중요 거점에 ( )을/를 두었다.

  • 5소경

문제 12

선택형

다음 신라 후기 왕위 계승 분쟁과 지배 체제의 붕괴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혜공왕 사후, 신라는 150여년 동안 20명의 왕이 바뀌면서 혼란해졌다.
  • 무열왕 혈통의 웅주 도독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켰다.
  • 장보고는 신라의 왕위 쟁탈전에 참여하게 되고, 자신의 딸을 문성왕의 왕비로 만들려하였으나 실패했다.
  • 혜공왕이 즉위하면서 혼란했던 신라 사회가 안정되었다.
  • 무열계의 왕족들이 몰락하였다.

문제 13

OX

신문왕은 관료에게 녹읍을 지급하고, 진골 귀족들의 경제 기반이었던 관료전을 혁파하고 녹봉을 지급하였다.

문제 14

단답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쓰시오. 신라는 통일 이후 지방을 (1. )로 나누고 옛 고구려, 백제, 신라 땅에 각각 (2. )씩 배치하여 민족 통합을 추구하였다.

  • 1. 9주 2.3주

  • 9주, 3주

문제 15

OX

신라 말의 혼란한 틈을 타 지방에서 새롭게 성장한 세력을 문벌 귀족이라고 한다.

문제 16

단답형

다음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쓰시오.

  • 6두품

  • 육두품

다음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을 쓰시오.

문제 17

선택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순서가 오른 것을 고르시오. 교리 연구를 중시한 (1)과 달리, (2)은 경전의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마음에 내재된 깨달음을 얻는다는 실천적인 경향이 강하였다.

  • (1)선종 - (2)교종
  • (1)교종 - (2)풍수지리 사상
  • (1)교종 - (2)선종
  • (1)풍수지리 사상 - (2)선종
  • (2)유교 - (2)불교

문제 18

단답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진성 여왕 때 사벌주에서 일어난 ( )의 난을 시작으로 농민 봉기가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 원종과 애노

  • 원종, 애노

  • 원종 애노

문제 19

OX

왕건은 광평성을 설치하는 등 통치 제도를 정비하여 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문제 20

선택형

다음 의상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다음 의상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당나라에 유학 가 화엄학을 공부하였다.
  • 천민도 제자로 받아들이는 등 신라 불교 문화의 폭을 넓혔다.
  • 지방에 부석사를 세웠다.
  • 누구나 '나무아미타불'을 열심히 외우면 극락정토에 태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하나가 전체요, 전체가 하나'라는 모든 존재의 연관성을 주장하였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