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마녀의 마법
순서 풀이
초등 3-2
사회
천재교과서
[천재교과서] 1. 사회 변화와 다양한 문화 단원 평가
하는교사
71
2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저출산’은 무엇을 뜻하나요?

  • ① 할머니, 할아버지가 많아지는 것
  • ② 아기가 적게 태어나는 것
  • ③ 똑똑한 기계가 많아지는 것
  • ④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이 많아지는 것
힌트

힌트: ‘저출산’에서 ‘출산’은 아기를 낳는다는 뜻이에요. ‘저’는 적다는 뜻이고요.

‘저출산’은 무엇을 뜻하나요?

문제 2

선택형

‘지능정보화’는 무엇을 뜻하나요?

  • ① 옛날 물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 ② 키가 큰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 ③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옷을 입는 것
  • ④ 똑똑한 정보 기술이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것
힌트

힌트: ‘지능’은 ‘똑똑하다’는 뜻이고, ‘정보화’는 정보 기술이 쓰인다는 뜻이에요.

‘지능정보화’는 무엇을 뜻하나요?

문제 3

선택형

‘사라지는 아기 울음소리’라는 표현은 우리 사회의 어떤 변화를 말하는 걸까요?

  • ① 아기들이 모두 잠들어서 조용해졌다는 뜻
  • ② 아기들이 다른 동네로 이사 갔다는 뜻
  • ③ 새로 태어나는 아기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뜻
  • ④ 아기들이 울지 않고 잘 논다는 뜻
힌트

힌트: 아기 울음소리가 줄어든다는 것은 아기의 수가 어떻게 변하고 있다는 걸까요?

‘사라지는 아기 울음소리’라는 표현은 우리 사회의 어떤 변화를 말하는 걸까요?

문제 4

선택형

우리 동네에 ‘노인 시설’이 점점 많아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 ① 노인들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
  • ② 노인들이 함께 모여 운동하기 위해서
  • ③ 노인들이 더 넓은 집에서 살고 싶어 해서
  • ④ 노인 인구가 예전보다 늘어났기 때문에
힌트

힌트: 어떤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 사람들을 위한 장소가 더 필요해질까요?

우리 동네에 ‘노인 시설’이 점점 많아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제 5

선택형

1960년대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보통 몇 명 정도의 자녀를 낳아 길렀을까요?

  • ① 한두 명 정도
  • ② 서너 명 정도
  • ③ 대여섯 명 정도
  • ④ 열 명 이상
힌트

힌트: 교과서 그림을 보면, 옛날에는 아이들 수가 많았어요. 1960년 그림에는 아이가 몇 명쯤 보이나요?(교과서 17쪽)

1960년대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보통 몇 명 정도의 자녀를 낳아 길렀을까요?

문제 6

선택형

오늘날 사람들이 아이를 예전만큼 많이 낳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무엇일까요?

  • ① 아이들이 옛날보다 말을 잘 안 들어서
  • ②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고 교육하는 데 많은 돈과 노력이 필요해서
  • ③ 맛있는 과자를 사 줄 돈이 부족해서
  • ④ 아이들이 좋아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없어서
힌트

힌트: 아이 한 명을 키우려면 많은 것이 필요해요. 그림 속 어른들의 표정을 살펴보세요.(교과서 18쪽)

오늘날 사람들이 아이를 예전만큼 많이 낳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무엇일까요?

문제 7

선택형

‘저출산’ 사회가 되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은 무엇일까요?

  • ① 문을 닫는 초등학교나 유치원이 생길 수 있다.
  • ② 놀이터마다 아이들이 지금보다 훨씬 많아진다.
  • ③ 아기 옷이나 장난감을 파는 가게가 더 커진다.
  • ④ 한 반에 50명이 넘는 학교가 많아진다.
힌트

힌트: 아이들 수가 줄어들면 아이들이 다니는 곳은 어떻게 될까요?

‘저출산’ 사회가 되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은 무엇일까요?

문제 8

선택형

나라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는 노력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요?

  • ① 아이들에게 용돈을 더 많이 준다.
  • ② 아이를 낳고 키우는 부모님을 위한 지원을 늘린다.
  • ③ 학교 수업 시간을 더 늘린다.
  • ④ 부모님들이 직장에 더 오래 있도록 한다.
힌트

힌트: 아이를 낳아 기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려는 노력은 무엇일까요?

나라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는 노력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요?

문제 9

선택형

인공지능이 내가 좋아할 만한 영화를 추천해 줄 수 있는 것은 인공지능의 어떤 능력 덕분일까요?

  • ① 내가 이전에 어떤 영화를 좋아했는지 기억하고 분석하는 능력
  • ② 영화감독의 마음을 읽는 능력
  • ③ 전 세계 모든 영화를 다 본 능력
  • ④ 내가 앞으로 어떤 영화를 좋아하게 될지 미리 아는 능력
힌트

힌트: 인공지능은 우리가 남긴 흔적(기록)을 보고 우리가 무엇을 좋아할지 짐작해요.

인공지능이 내가 좋아할 만한 영화를 추천해 줄 수 있는 것은 인공지능의 어떤 능력 덕분일까요?

문제 10

선택형

로봇 청소기가 혼자서 집 안을 청소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① 아주 작은 요정이 들어 있어서
  • ② 스스로 주변을 살피고 생각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 ③ 바닥에 그려진 선을 따라가기 때문에
  • ④ 사람이 보이지 않는 실로 조종하기 때문에
힌트

힌트: 로봇 청소기는 똑똑한 센서와 프로그램으로 움직여요.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로봇 청소기가 혼자서 집 안을 청소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제 11

선택형

인공지능 스피커가 우리 말을 알아듣고 대답해 주는 것은 편리하지만,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할까요?

  • ① 스피커 소리가 너무 작아서 잘 안 들릴 수 있다.
  • ② 우리가 하는 모든 말을 기록해서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
  • ③ 스피커와 너무 오래 대화하면 친구가 없어진다.
  • ④ 스피커가 가끔 이상한 노래를 부른다.
힌트

힌트: 만약 누군가 나의 모든 대화를 듣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어떤 기분이 들까요?

인공지능 스피커가 우리 말을 알아듣고 대답해 주는 것은 편리하지만,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할까요?

문제 12

선택형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질문을 했을 때, 인공지능이 틀린 답을 진짜처럼 알려준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 ① 인공지능이 더 똑똑해져서 사람을 이기게 된다.
  • ② 인공지능이 스스로 고장 나 버린다.
  • ③ 질문한 사람이 부끄러워서 다시는 질문하지 않게 된다.
  • ④ 사람들이 잘못된 정보를 진짜로 믿게 될 수 있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질문을 했을 때, 인공지능이 틀린 답을 진짜처럼 알려준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문제 13

선택형

‘문화’란 무엇을 가장 잘 설명한 말일까요?

  • ① 아주 특별한 한 사람만 알고 있는 비밀
  • ②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새로운 기술
  • ③ 한 사회의 여러 사람이 오랫동안 함께하며 만들어 온 생활 모습
  • ④ 옛날 임금님만 사용하던 귀한 물건
힌트

힌트: 우리가 명절에 특별한 음식을 먹거나, 어른들께 인사하는 방법도 문화 중 하나예요.

‘문화’란 무엇을 가장 잘 설명한 말일까요?

문제 14

선택형

우리나라와 미국 사람들이 식사할 때 사용하는 도구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 ① 미국 사람들이 손으로 먹는 것을 더 좋아해서
  • ② 각자 나라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음식을 만들고, 그 음식을 먹기에 편한 도구를 사용해서
  • ③ 우리나라 사람들이 칼 쓰는 것을 무서워해서
  • ④ 옛날에 임금님이 정해줘서
힌트

힌트: 밥을 먹을 때와 빵을 먹을 때, 어떤 도구가 더 편할지 생각해 보세요.

우리나라와 미국 사람들이 식사할 때 사용하는 도구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제 15

선택형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많아지면서 가게에서 볼 수 있는 변화로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 ① 모든 물건의 크기가 두 배로 커진다.
  • ② 식당에서는 무조건 두 명 이상만 앉을 수 있다.
  • ③ 밥솥이나 냉장고처럼 혼자 쓰기 좋은 작은 크기의 물건이 많아진다.
  • ④ 문을 일찍 닫는 가게가 늘어난다.
힌트

힌트: 혼자 사는 사람은 큰 물건이 필요 없을 때가 많아요. 어떤 크기의 물건이 필요할까요?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많아지면서 가게에서 볼 수 있는 변화로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문제 16

선택형

‘다문화 마을 특구’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 ① 우리나라 음식점만 줄지어 있다.
  • ② 여러 나라의 글자로 쓰인 간판과 다양한 나라의 음식을 파는 가게들이 있다.
  • ③ 아주 조용하고 사람을 보기 힘들다.
  • ④ 높은 산과 깊은 계곡이 펼쳐져 있다.
힌트

힌트: ‘다문화’는 여러 문화가 함께 있다는 뜻이에요. 그런 곳에서는 어떤 풍경을 볼 수 있을까요?

‘다문화 마을 특구’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일까요?

문제 17

선택형

우리나라의 불고기와 미국의 햄버거가 만나 ‘불고기버거’가 된 것처럼,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 ① 전통문화
  • ② 퓨전 문화
  • ③ 비밀 문화
  • ④ 사라진 문화
힌트

힌트: ‘퓨전’은 서로 다른 것이 하나로 합쳐져 새로운 것이 된다는 뜻이에요.

우리나라의 불고기와 미국의 햄버거가 만나 ‘불고기버거’가 된 것처럼,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문제 18

선택형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식당에도 변화가 생겼어요. 어떤 변화일까요?

  • ① 모든 식당이 일찍 문을 닫는다.
  • ② 음식을 아주 큰 그릇에만 담아준다.
  • ③ 혼자 와도 편하게 앉아 밥을 먹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 ④ 식당 안에서만 음식을 먹을 수 있고, 포장은 안 된다.
힌트

힌트: 혼자 식당에 갔을 때, 어떤 자리가 있으면 더 편안하게 밥을 먹을 수 있을까요?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식당에도 변화가 생겼어요. 어떤 변화일까요?

문제 19

선택형

‘편견’은 어떤 생각을 말하는 걸까요?

  • ① 여러 가지를 골고루 생각하는 것
  • ②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 포기하지 않는 것
  • ③ 다른 사람의 좋은 점을 칭찬하는 것
  • ④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한쪽으로만 치우쳐서 생각하는 것
힌트

힌트: 어떤 사람이나 물건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저건 별로일 거야' 또는 '저 사람은 나쁠 거야'라고 미리 단정 짓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편견’은 어떤 생각을 말하는 걸까요?

문제 20

선택형

우리 주변에 있는 다양한 문화를 대할 때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무엇일까요?

  • ① 내가 익숙한 문화만 최고라고 생각한다.
  • ② 나와 다른 문화는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멀리한다.
  • ③ 모든 문화는 각자의 이유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고 존중한다.
  • ④ 다른 나라 문화는 무조건 우리나라 문화보다 더 좋다고 생각한다.
힌트

힌트: 여러 나라 친구들이 함께 어울리는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우리 주변에 있는 다양한 문화를 대할 때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무엇일까요?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