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미로
자유 풀이
중등 3-1
국어
국어의 음운2(3-2)
설효쌤
140
3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파열음인 여린입천장 소리를 모두 적으시오. (소리의 세기 순서로)

  • ㄱ, ㄲ, ㅋ

문제 2

단답형

마찰음인 목청소리를 적으시오.

문제 3

단답형

파열음인 입술소리를 모두 적으시오. (소리의 세기 순서로)

  • ㅂ, ㅃ, ㅍ

문제 4

단답형

울림소리인 잇몸소리를 모두 적으시오.

  • ㄴ, ㄹ

문제 5

단답형

파찰음인 센입천장 소리를 모두 적으시오. (소리의 세기 순서로)

  • ㅈ, ㅉ, ㅊ

문제 6

단답형

콧소리인 입술 소리를 적으시오.

문제 7

단답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찌개'에 해당하는 모음이 무엇인지 쓰시오.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2음절 단어는 1음절->2음절 순서로 쓸 것. / 혀의 높이, 입술의 모양, 혀의 앞뒤 위치 순서로 쓸 것.

  • 고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저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문제 8

단답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국밥'에 해당하는 모음이 무엇인지 쓰시오.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2음절 단어는 1음절->2음절 순서로 쓸 것. / 혀의 높이, 입술의 모양, 혀의 앞뒤 위치 순서로 쓸 것.

  • 고모음, 원순모음, 후설모음, 저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문제 9

단답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튀김'에 해당하는 모음이 무엇인지 쓰시오.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2음절 단어는 1음절->2음절 순서로 쓸 것. / 혀의 높이, 입술의 모양, 혀의 앞뒤 위치 순서로 쓸 것.

  • 고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고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문제 10

단답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잡채'에 해당하는 모음이 무엇인지 쓰시오.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2음절 단어는 1음절->2음절 순서로 쓸 것. / 혀의 높이, 입술의 모양, 혀의 앞뒤 위치 순서로 쓸 것.

  • 저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저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문제 11

선택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떡볶이'에 해당하는 모음이 적절하게 묶인 것은?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 떡: 고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 떡: 저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 볶: 중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 볶: 저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 이: 고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문제 12

선택형

단모음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메밀전'에 해당하는 모음이 적절하게 묶인 것은? ex) 회 :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 메: 중모음, 원순모음, 전설모음
  • 메: 고모음, 원순모음, 후설모음
  • 밀: 고모음, 평순모음, 후설모음
  • 밀: 고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 전: 중모음, 평순모음, 전설모음

문제 13

단답형

'아귀찜'에 쓰인 고모음은 ( )개, 후설모음은 ( )개이다.

  • 2, 1

문제 14

단답형

'동그랑땡'에 쓰인 중모음은 ( )개, 평순모음은 ( )개, 후설모음은 ( )개이다.

  • 1, 3, 3

문제 15

단답형

'능이백숙'에 쓰인 저모음은 ( )개, 원순모음은 ( )개, 전설모음은 ( )개이다.

  • 1, 1, 2

문제 16

단답형

'곤드레밥'에 쓰인 중모음은 ( )개, 평순모음은 ( )개, 후설모음은 ( )개이다.

  • 2, 3, 3

문제 17

단답형

'ㅁ,ㄴ,ㅇ'은 입안의 통로를 막고 공기를 ( )로 내보내면서 내는 ( )이다.

  • 코, 콧소리

문제 18

단답형

'유음'은 ( )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잇몸에 댄 채 ( )를 그 ( )으로 흘려 보내면서 내는 소리

  • 혀끝, 공기, 양옆

문제 19

선택형

'단단하다-딴딴하다-탄탄하다'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단단하다'에는 예사소리가 사용되었다.
  • '탄탄하다'는 '단단하다'보다 거친 느낌이다.
  • '단단하다'는 '딴딴하다'보다 강한 느낌이다.
  • 세 단어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주는 느낌이 다르다.
  • 이러한 자음의 체계는 안울림소리에서만 나타난다.

문제 20

선택형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단어는? •첫소리(초성):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소리 나는 자음 •가운뎃소리(중성):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둥글고, 혀의 높이가 높으며, 혀의 최고점이 뒤쪽에 놓이는 모음 •끝소리(종성): 두 입술이 서로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소리 나며 울림소리인 자음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