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5선택형(가), (나)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 (가)는 명령형의 어미를 사용하여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② (나)는 계절감 있는 소재를 활용하여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③ (가)는 (나)와 달리 의인화의 기법을 사용하여 부조리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④ (나)는 (가)와 달리 지역 방언을 사용하여 토속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⑤ (가)와 (나)는 유사한 문장 구조를 반복하여 시에 구조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있다.
문제 6선택형㉠과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은 화자가 연민을 느끼는 대상이고, ㉡은 화자가 동경하는 대상이다.② ㉠은 화자에게 과거를 환기하게 하고, ㉡은 화자에게 미래를 예측하게 한다.③ ㉠은 화자를 성장하게 하는 밑바탕이 되고, ㉡은 화자를 좌절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④ ㉠은 화자에게 희망을 떠올리게 하는 존재이고, ㉡은 화자의 서러운 처지를 함축하는 존재이다.⑤ ㉠은 화자의 내적 갈등을 일으키는 대상이고, ㉡은 화자의 내적 갈등을 해소하게 하는 대상이다.
문제 7선택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 ⓐ: 오래 방치된 모습을 통해 ‘묵은 사랑’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떠올리게 한다.② ⓑ: ‘새벽’과의 연관을 고려할 때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인식하게 한다.③ ⓒ: ‘도망가불고’라는 표현과 연관 지어 볼 때, 화자를 떠난 임을 떠오르게 하는 존재이다.④ ⓓ: 푸석하게 말라 있는 형상을 통해 임에 대한 감정이 사라진 화자의 정서를 짐작하게 한다.⑤ ⓔ: 이어지는 ‘들국’과 동일한 색채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서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 8선택형<보기>를 바탕으로 (가), (나)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의 ‘묵은 사랑이 / 벗겨질 때’, ‘묵은 사랑이 / 움직일 때’에서 사랑이 벗겨지고 움직인다는 것은 곧 사랑의 감정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해 화자가 사랑의 감정이 변화하는 상황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② (가)의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는 표면적으로 모순되어 보이는 표현이지만 새로운 사랑을 얻기 위해서는 과거의 사랑과 결별해야 한다는 진리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화자의 역설적 인식이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어.③ (나)의 ‘산마다 단풍’, ‘하얀 억새꽃 하얀 손짓’에서 ‘단풍’과 ‘하얀 억새꽃’은 자연물이지만 화자와 단절되어 있는 임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화자가 그리워하는 대상을 자연물에 빗대어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어.④ (나)의 ‘당신 안 오는데 뭔 헛짓이다요’, ‘초생달만 그대 얼굴같이 걸리면 뭐헌다요’에서 화자가 그리워하는 대상을 ‘당신’과 ‘그대’로 구체적으로 지목하여 그에 대한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어.⑤ (가)의 ‘뉘우치는 마음의 한복판’에는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화자의 태도가, (나)의 ‘세상 길다 막혀 막막한 어둠 천지’에는 자신이 처한 현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화자의 인식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