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thubnail
광산 탈출
자유 풀이
초등 5-1
과학
천재교과서

과학_5_1_4.용해와용액_물질을물에넣(과78,실32ㄴ

game369a
83
1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과학78] 빈 칸에 들어갈 단어 쓰기 1. 온도와 양이 같은 물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한 숟가락씩 넣고 저은 다음 그대로 놓아두면 어떻게 될지 예상해 봅시다. 2. [ㅇㅇㅇㅇㅇ]를 이용하여 비커 세 개에 물을 각각 50 mL씩 넣습니다. 3 2 의 비커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세 숟가락씩 넣고 유리 막대로 저으면서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 눈금실린더

  • 눈금씰린더

  • 눈굼실린더

힌트

액체의 부피를 잴 수 있도록 만든, 눈금이 새겨진 원통형의 시험관. 눈금cylinder

문제 2

단답형

[과학78] 빈 칸에 들어갈 단어 쓰기 1. 온도와 양이 같은 물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한 숟가락씩 넣고 저은 다음 그대로 놓아두면 어떻게 될지 예상해 봅시다. 2. 눈금실린더를 이용하여 비커 세 개에 물을 각각 [oooo]씩 넣습니다. 3 2 의 비커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세 숟가락씩 넣고 유리 막대로 저으면서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 50ml

  • 50mL

  • 50ML

  • 50 ml

  • 50 mL

힌트

미터법에 의한 부피의 단위. 1밀리리터는 1리터의 1,000분의 1이다. 기호는 mL, ml. 1,000분의 50씩 넣는다.

문제 3

단답형

[과학78] 빈 칸에 들어갈 단어 쓰기 1. 온도와 양이 같은 물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한 숟가락씩 넣고 저은 다음 그대로 놓아두면 어떻게 될지 예상해 봅시다. 2. 눈금실린더를 이용하여 비커 세 개에 물을 각각 50 mL씩 넣습니다. 3 2 의 비커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세 숟가락씩 넣고 [ㅇㅇ ㅇㅇ]로 저으면서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 유리막대

  • 유리 막대

힌트

琉璃막대 유리로 만든 막대.

문제 4

선택형

[과학79] 옳은 설명을 [5가지] 고르시오.

  • 물에 여러 가지 물질을 넣어 보면 어떤 물질은 잘 녹지만, 어떤 물질은 잘 녹지 않습니다.
  •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고르게 섞이는 현상을 [용해]라고 합니다
  • 이때 설탕과 소금처럼 다른 물질에 녹는 물질을 [용질]이라고 합니다.
  • 물처럼 다른 물질을 녹이는 물질을 [용매]라고 합니다.
  • 설탕물처럼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는 것을 [용액]이라고 합니다

문제 5

OX

용액은 오래 두면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있습니다.

힌트

용액은 오래 두어도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습니다. 부엌에서 사용하는 식초도 용액이므로 오래 두어도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문제 6

단답형

[과학79]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고르게 섞이는 현상을 [ㅇㅇ]라고 합니다.

  • 용해

힌트

溶解 1. 녹거나 녹이는 일. 2. 화학 물질이 액체 속에서 균일하게 녹아 용액이 만들어지는 일. 또는 용액을 만드는 일.

문제 7

단답형

[과학79] 설탕과 소금처럼 다른 물질에 녹는 물질을 [ㅇㅇ]이라고 한다.

  • 용질

힌트

溶質 용액에 녹아 있는 물질. 액체에 다른 액체가 녹아 있을 때에는 양이 적은 쪽을 가리킨다.

문제 8

단답형

[과학79] 물처럼 다른 물질을 녹이는 물질을 [ㅇㅇ]라고 합니다.

  • 용매

힌트

溶媒 어떤 액체에 물질을 녹여서 용액을 만들 때 그 액체를 가리키는 말. 액체에 액체를 녹일 때는 많은 쪽의 액체를 이른다.

문제 9

단답형

[과학79] 설탕물처럼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는 것을 [ㅇㅇ]이라고 합니다.

  • 용액

힌트

溶液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된 액체. 보통 액체상일 때를 이르지만, 혼합체가 고체상인 고체 용액을 이르기도 한다.

문제 10

선택형

[과학79] 설탕의 용해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4가지] 고르시오.

  • 설탕은 용질이다.
  • 물은 용매이다.
  • 설탕이 물에 녹는 과정을 용해라고 한다.
  • 설탕물은 맛있다.
  • 설탕물은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힌트

문제 11

선택형

[실험관찰32-2]물 50 mL가 담긴 비커에 설탕, 소금, 밀가루를 각각 세 숟가락씩 넣고 유리 막대로 저으면서 변화를 관찰하여 그림과 글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을 [4가지] 고르시오.

  • 설탕이 물에 녹는다.
  • 소금이 물에 녹는다.
  • 밀가루가 물과 섞여 뿌옇게 흐려진다.
  • 설탕물은 사진처럼 물에 녹아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 소금물은 사진처럼 물에 잘 녹지 않아 뿌옇게 떠 있거나 가라앉은 것이 있다.
힌트

문제 12

선택형

[실험관찰33-3]각 비커를 5분 동안 놓아둔 뒤 비커의 뒷면에 검은색 종이를 대어 보고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한 것으로 옳은 것을 [4가지] 고르시오.

  • 설탕-투명하다.
  • 소금-투명하다.
  • 밀가루-뿌옇게 흐려졌다. 밀가루가 바닥에 가라앉았다.
  • 소금-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있다.
  • 설탕-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힌트

문제 13

선택형

[실험관찰33-4]설탕과 소금을 물에 녹였을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 ) 안의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 설탕과 소금을 물에 녹였을 때 [투명하게] 되고, 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있다.]
  • 설탕과 소금을 물에 녹였을 때 [투명하게] 되고, 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 설탕과 소금을 물에 녹였을 때 [뿌옇게] 되고, 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있다.]
  • 설탕과 소금을 물에 녹였을 때 [뿌옇게] 되고, 뜨거나 가라앉은 것이 [없다.]
힌트

문제 14

선택형

[실험관찰33-생각 쑥쑥] 용질, 용매, 용액이라는 낱말을 모두 사용하여 주스 가루가 물에 녹아 주스가 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 [용매]인 주스 가루를 [용질]인 물에 녹여 [용액]인 주스를 만들 수 있다.
  • [용액]인 주스 가루를 [용매]인 물에 녹여 [용질]인 주스를 만들 수 있다.
  • [용질]인 주스 가루를 [용매]인 물에 녹여 [용액]인 주스를 만들 수 있다.
  • [용질]인 주스 가루를 [용액]인 물에 녹여 [용매]인 주스를 만들 수 있다.
힌트

문제 15

OX

[개념] 밀가루와 같은 흰색 물질을 물에 넣고 섞으면 뿌옇지만 특별한 색깔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용액이다.

힌트

투명한 것과 흰색인 것은 다르다. 밀가루와 같은 흰색 물질을 물에 넣고 섞으면 특별한 색깔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한 것이 아니고, 가라앉거나 뜨는 물질때문에 뿌옇게 된 것이기 때문에 용액이 아니다. 투명한 것과 흰색을 띠는 것은 다르다 같은 흰색 물질인 설탕과 소금을 물에 넣었을 때 설탕 용액, 소금 용액은 투명하다.

문제 16

OX

[개념] 용액은 무조건 무색이다.

힌트

용액은 무색투명한 경우가 많지만, 주스 가루를 녹인 용액과 같이 색깔을 띠는 것도 있다. 용액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는 혼합물이므로 색깔을 띠더라도 용액이 될 수 있다.

문제 17

OX

[개념] 코코아나 우유도 용액이다.

힌트

용액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는 것이므로 코코아를 물에 녹인 것은 용액이 아니다. 코코아 가루를 물에 녹여 그대로 두면 코코아 가루가 밑바닥에 그대로 가라앉기 때문이다. 우유는 지방, 단백질, 칼슘 등의 영양 성분들이 각각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고 있 는 상태로 섞여 있는 혼합물이다. 하지만 지방, 단백질 등이 고르게 퍼져 있지 않 기 때문에 우유는 불균일 혼합물로 용액이 아니다.

문제 18

OX

[개념] 설탕은 많은 양을 물에 넣어도 잘 녹지만, 소금은 일정한 양을 넘으면 더 이상 녹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기 때문에 [용액이 아니다.]

힌트

소금이 일정량 이상 녹지 않고 가라앉는다는 사실은 맞지만, 그래서 용액이 아니라는 판단은 틀렸습니다. 용질이 모두 녹지 않아도, 녹은 부분이 고르게 섞여 있다면 그것은 용액입니다. 소금이 일정량 이상 녹지 않고 남더라도, 녹은 부분은 여전히 용액이에요. 모든 용질은 일정한 양 이상은 녹지 않아요. 이 양을 **‘용해도’**라고 해요. 소금물도 설탕물처럼 용액이랍니다. 단지 용해도 이상으로 넣으면 남는 것뿐이에요.

문제 19

선택형

[엄청 어려움] 유리 막대의 용도와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4가지] 고르시오.

  • 용도: 액체를 [젓거나] 액체를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사용한다.
  • 용도: 적은 양의 [액체를 찍을 때] 사용한다.
  • 사용법: 액체를 저을 때 유리 막대가 비커에 세게 부딪혀도 유리 막대나 비커가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유리막대를 비커에 대고 힘으로 젓는다.]
  • 사용법: 시험관 내부는 공간이 좁으므로 유리 막대를 시험관에 넣고 [휘젓지 않도록 한다.]
  • 사용법: 액체를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유리 막대의 표면을 따라 [액체를 조금씩 붓는다.]
힌트

유리 막대의 용도, 사용법 • 용도: 액체를 젓거나 [액체를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적은 양의 액체를 찍을 때] 등에 사용한다. • 사용법: 액체를 저을 때 유리 막대가 비커에 세게 부딪히면 충격으로 인해 유 리 막대나 비커가 깨질 수 있으므로 [가운데에서] [손목만의 힘으로 가볍게 젓는 다.] 또한 시험관 내부는 공간이 좁으므로 유리 막대를 시험관에 넣고 [휘젓지 않 도록 한다.] 액체를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유리 막대의 [표면을 따라 액체를 조금 씩 붓는다.]

문제 20

선택형

[엄청 어려움] 눈금실린더의 용도와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4가지] 고르시오.

  • •용도: [액체의 부피를 측정]할 때 사용한다.
  • • 사용법: 눈금실린더는 측정하려고 하는 양보다 [약간 작은] 것을 선택한다.
  • • 사용법: 액체를 부을 때 눈금실린더를 기울여서 [안쪽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한다.
  • • 사용법: [스포이트]로 액체의 나머지 양을 정확히 맞춘다.
  • • 사용법: [액체와 눈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약 30cm 거리를 두고 눈금을 읽는다.
힌트

눈금실린더의 용도, 사용법 •용도: 액체의 부피를 측정할 때 사용한다. • 사용법: 눈금실린더는 측정하려고 하는 양보다 [약간 큰 것]을 선택한다. 액체를 부을 때 눈금실린더를 기울여서 안쪽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한다. 그리고 스포이트로 액체의 나머지 양을 정확히 맞춘다. 액체와 눈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약 30 cm 거리를 두고 눈금을 읽는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