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요정의 숲
자유 풀이
초등 6-1
과학

6학년 1학기 2. 지구와 달의 운동(복사)

장주식 선생님
73
송연주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다음은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쓰세요.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은 ( )쪽 하늘에서 ( )쪽 하늘을 지나 ( )쪽 하늘로 위치가 달라진다.

  • 동남서

  • 동, 남, 서

  • 동,남,서

  • 동 남 서

문제 2

선택형

지구의 자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지구의 자전 때문이다.
  • 지구의 자전은 태양과 지구를 잇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는 운동이다.
  • 하루 동안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지구의 자전과 관계없다.
  • 지구의 자전으로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다.
  • 하루 동안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지구의 자전과 달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문제 3

단답형

다음은 지구에 대한 설명입니다. ㉠과 ㉡에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쉼표X, 띄어쓰기X) *지구는 북극과 ( ㉠ )을/를 잇는 가상의 직선인 지구의 ( ㉡ )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한다.

  • 남극자전축

  • 남극 자전축

문제 4

단답형

다음은 지구본에서 우리나라를 찾아 관측자 모형을 동서남북 방향을 맞춰 붙인 뒤, 전등과 30 cm 거리를 두고 관찰한 모습입니다. 우리나라는 낮과 밤 중 어느 시간대에 해당하는지 써 봅시다.

문제 5

선택형

이 실험으로 알 수 있는 사실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전등 빛이 닿는 부분은 낮이고, 전등 빛이 닿지 않는 부분은 밤이라 볼 수 있다.
  • 지구본을 돌릴 때 ‘관측자의 서쪽’에서 ‘관측자의 동쪽’으로 돌려야 한다.
  • 지구의 계절이 생기는 이유를 위 실험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지구에 낮과 밤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
  • 태양 빛이 닿는 부분과 안 닿는 부분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다.

문제 6

선택형

별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반대편에 있는 별자리를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다.
  • 가을에 자정 무렵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중 사자자리가 있다.
  • 같은 별자리에 있는 별들은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다.
  • 계절에 따라 관찰되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문제 7

단답형

우리나라에서 가을에 관측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는 무엇입니까? (하나만 적으세요. 띄어쓰기X)

  • 물고기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페가수스자리

문제 8

선택형

지구에서 관찰되는 별자리가 계절마다 달라지는 이유를 모두 고르세요.

  • 달의 위치가 별자리 관측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기 때문이다.
  • 지구가 공전하며 태양의 맞은편에 있는 별자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 태양의 빛이 별자리 관측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문제 9

단답형

리안이는 다음과 같은 수수께끼를 풀고 있습니다. 이 수수께끼의 답을 써 봅시다. 나는 무엇일까요? 내 모습은 매일 변해~ 내 이름이 나오는 노래도 있어! 내 모습을 보면 오늘이 며칠인지 알 수 있어. 나를 관찰해 만든 달력도 있어.

문제 10

단답형

다음은 여러 날 동안 변한 달의 모습입니다. ㉠~㉢에 알맞은 달의 모습을 쓰세요. (띄어쓰기X, 쉼표X)

  • 상현달보름달그믐달

문제 11

선택형

다음 그림은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인 <별이 빛나는 밤에>입니다. 고흐가 그린 이 밤하늘은 음력 몇 일경에 볼 수 있는 하늘일까요?

  • 음력 15일경
  • 음력 22~23일경
  • 음력 27~28일경
  • 음력 2~3일경
  • 음력 7~8일경

문제 12

단답형

고흐는 6월 어느 날, 자신의 입원실 안에서 이 풍경을 보고 그림으로 남겼다고 합니다. 그림의 달의 모습을 보면 고흐가 관찰한 이 풍경의 방위를 알 수 있습니다. 고흐는 ( )쪽 하늘에서 관찰했습니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문제 13

선택형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습이 바뀌는 이유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기 때문이다.
  • 지구가 자전하며 달이 태양 빛을 받는 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 지구가 공전하며 달의 일부분을 가리기 때문이다.
  • 태양을 중심으로 달이 공전하기 때문이다.
  • 달이 자전하며 태양 빛을 받는 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문제 14

선택형

혜수는 여러 날에 걸쳐 달을 관찰하였습니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관찰 일지는 무엇입니까?

  • 음력 7월 2일: 해가 진 직후에 서쪽 하늘에서 관찰되어 잘 보이지 않았다.
  • 음력 7월 5일: 음력 7월 2일보다 달이 높게 떠서 관찰하기 좀 더 쉬웠다.
  • 음력 7월 10일: 달이 뜨는 시간이 음력 7월 2일보다 늦어졌다.
  • 음력 7월 20일: 달이 음력 7월 10일보다 서쪽에서 관찰되었다.
  • 음력 7월 27일: 달의 고도가 음력 7월 20일에 관찰된 것보다 낮았다.

문제 15

단답형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지구와 태양처럼,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 )하기 때문이다.

  • 공전

문제 16

선택형

보기는 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 상현달은 남쪽 하늘에서 관찰할 수 있다.
  • 보름달은 달이 가장 둥글게 보이는 모습이다.
  • 하현달은 음력 7~8일경에 관찰할 수 있다.
  • 달의 위치는 여러 날에 걸쳐 서쪽, 남쪽, 동쪽으로 움직인다.

문제 17

선택형

다음은 지구의 자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지구의 자전은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도는 것을 말한다.
  • 지구의 자전 회전 방향과 지구에서 관찰한 태양의 위치 변화 방향은 같다.
  • 자전의 중심이 되는 가상의 축을 자전축이라고 한다.
  •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한다.
  • 자전축은 지구의 북극과 남극을 잇는 가상의 직선이다.

문제 18

단답형

다음은 지구본에서 우리나라를 찾아 관측자 모형을 동서남북 방향을 맞춰 붙인 뒤, 전등과 30 cm 거리를 두고 관찰한 모습입니다. 이 다음을 관찰할 때 ㉠과 ㉡ 중 어느 방향으로 지구본을 돌려야 할지 써 봅시다.

문제 19

단답형

다음은 가운데 전등을 두고 동서남북 4개 방향에 지구본을 둔 모습입니다. 지구가 (나)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를 한 가지만 쓰세요. (띄어쓰기X)

  • 거문고자리

  • 독수리자리

  • 백조자리

문제 20

단답형

다음은 태양이 진 뒤에 같은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보름달을 관측하여 기록한 것입니다. ㉠~㉢ 중 저녁 9시 무렵에 관측한 보름달의 위치를 골라 기호를 써 봅시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