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교실
순서 풀이
고등 1-1
국어

문법요소 소단원평가1

정지영
980
0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1. <보기>의 ㉠~㉤을 통해 우리말의 높임 표현을 탐구 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으로 미루어, 서술의 주체를 높일 때는 용언의 어 간 뒤에 높임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를 붙이거나 특수 어휘를 사용하는군.
  • ㉡으로 미루어, 주체를 직접적으로 높일 때는 주체 와 긴밀하게 관련된 대상을 간접적으로 높일 때와 다른 어휘를 사용하기도 하는군.
  • ㉢과 같이 화자에게는 높이지 않아도 되는 대상을, 청자를 의식해서 높여 주기도 하는군.
  • ㉣의 높임 표현을 바르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맨 마 지막 용언에 보조사 ‘요’를 붙여 상대인 선생님을 높여야겠군.
  • ㉤으로 미루어, 객체를 높일 때는 특수한 용언을 사 용해서 높임을 실현하는군.

문제 2

선택형

2.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 ⓑ
  • ⓐ, ⓓ
  • ⓑ, ⓒ
  • ⓑ, ⓓ
  • ⓒ, ⓓ

문제 3

선택형

3. <보기>의 ⓐ~ⓔ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서술의 주체인 선생님을 높이고 있군.
  • ⓑ: 조사 ‘께’와 특수 어휘 ‘드리다’를 사용하여 서 술의 객체인 선생님을 높이고 있군.
  • ⓒ: 특수 어휘 ‘뵙다’를 사용하여 서술의 주체인 선 생님을 높이고 있군.
  • ⓓ: 듣는 사람인 선생님을 높이기 위해 ‘-습니다’라 는 종결 표현을 사용하고 있군.
  • ⓔ: 공식적인 상황이므로 ‘되겠습니까’라고 준서를 높이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군.

문제 4

선택형

4. 밑줄 친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그는 내일 드디어 집에 간다.
  • ㉡: 이순신 장군은 울돌목에서 왜적을 물리친다.
  • ㉢: 어제 체육 대회 때 날씨가 나빴다.
  • ㉣: 과제 때문에 오늘 잠은 다 잤다.
  • ㉤: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문제 5

선택형

5. <보기>의 자료 ⓐ~ⓕ에 대해 탐구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 ⓐ와 ⓒ에 쓰인 어미 ‘-(으)ㄴ’은 ㉡에 해당한다.
  • ⓑ에 쓰인 어미 ‘-는’과 ⓓ에 쓰인 어미 ‘-(으)ㄴ’은 서로 다른 시제를 드러낸다.
  • ⓔ에 쓰인 어미 ‘-(으)ㄴ’은 ㉢에 해당한다.
  • ⓒ에 쓰인 어미 ‘-(으)ㄴ’과 ⓕ에 쓰인 어미 ‘-던’은 동일한 시제를 드러낸다.
  • ⓐ, ⓒ에 쓰인 ‘-(으)ㄴ’은 ㉢에 해당하며, ⓓ에 쓰 인 어미 ‘-(으)ㄴ’은 ㉣에 해당한다.

문제 6

선택형

6.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문으로 적절하지 않 은 것은?

  • ㉠: 재이가 운동장을 뛰고 있다.
  • ㉠: 동생이 교복을 입고 있다.
  • ㉡: 동생이 딸기를 다 먹어 버렸다.
  • ㉢: 재이가 의자에 앉아 있다.
  • ㉣: 재이가 차에 타고 있다.

문제 7

선택형

7. <보기>를 참고하여 ㉠~㉤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 한 것은?

  • ㉠의 피동 실현 방법으로 ‘그는 언제나 거짓되다.’ 와 같은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 ㉡의 피동 실현 방법으로 ‘그는 사기꾼에게 당하 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 ㉢에서는 ‘빵은 밀가루로 만들어진다.’에서 사용된 피동 실현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을 통해 피동 접미사 없이도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을 통해 피동 접미사에 의해 만들어진 피동사를 확인할 수 있다.

문제 8

선택형

8.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쓰레기통이 깨끗이 비워졌다.
  • 그는 이 시대의 영웅으로 불려졌다.
  • 손바닥에 쓰여진 글씨를 그가 지웠다.
  • 자동차는 잘 닦여진 도로 위를 달렸다.
  • 도시는 앞으로 크게 발전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문제 9

선택형

9. <보기>를 참고할 때, ㉠~㉢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 하지 않은 것은?

  •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조사 ‘라고’가 간접 인용 문에서 ‘고’로 달라졌다.
  •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시간 표현 ‘내일’이 간접 인용문에서 ‘오늘’로 달라졌다.
  • ㉡: 직접 인용문에서 실현된 주체 높임 표현이 간접 인용문에서 객체 높임 표현으로 바뀌었다.
  •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일인칭이 간접 인용문에 서 삼인칭으로 바뀌었다.
  •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지시 표현 ‘이곳’이 간접 인용문에서 ‘그곳’으로 달라졌다.

문제 10

선택형

10. <보기>의 ㉠~㉤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은 감각과 정서를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 ㉠은 ㉡에 비해 포괄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은 문어나 격식 있는 상황에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은 ㉣에 비해 특정 분야에 한정해 쓰이는 경우가 많다.
  • ㉣은 사고 및 논리 전개 과정을 담당하는 어휘로 대부분 ㉡과 ㉢이 많다.

문제 11

선택형

1. 주체를 높이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종결 어미를 달리한다.
  • 주격 조사 ‘께서’를 사용한다.
  • 주체인 체언에 접사 ‘-님’을 붙인다.
  • ‘-(으)시-’가 용언의 어간에 결합한다.
  • 높임의 의미를 가지는 특수 어휘를 사용한다.

문제 12

선택형

2. 다음 글의 ㉠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ㄱ, ㄴ
  • ㄱ, ㄷ
  • ㄴ, ㄷ
  • ㄴ, ㄹ
  • ㄷ, ㄹ

문제 13

선택형

3. 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다음 문장 - 할아버지께서는 아직 귀가 밝으십니다.

  • 객체 높임법이 사용된 문장이다.
  • ‘할아버지’를 직접적으로 높이고 있다.
  • 서술어 ‘밝으십니다’의 주체는 ‘할아버지’이다.
  • ‘밝으십니다’를 ‘밝습니다’로 수정해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 높여야 할 대상의 신체 부분과 관련된 서술어에 높임의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문제 14

선택형

4. 다음 문장에서 유추할 수 있는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준서야, 앞을 봐. - 다음 문장 - 준서야, 앞을 봐.

  • 객체 높임 표현을 잘못 사용한 문장이다.
  • 비격식체의 종결 어미가 사용된 명령문이다.
  • 말하는 이가 상대 높임법을 활용해 듣는 이를 높인 경우이다.
  •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 비해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나이가 어리다.
  • 상대적으로 공적인 자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종결 표현이 사용되었다.

문제 15

선택형

5.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높임 표현을 바르게 분석한 것은?

  • 1
  • 2
  • 3
  • 4
  • 5

문제 16

선택형

6. 다음 문장의 사건시와 발화시의 선후 관계가 올바르게 제시된 것은?

  • 1
  • 2
  • 3
  • 4
  • 5

문제 17

선택형

7. 조건에 맞게 시간 표현을 바꾼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떠난 듯도 싶었다. (현재 시제로) → 떠나는 듯도 싶다.
  • 창밖을 바라보는 나 (미래 시제로) → 창밖을 바라볼 나
  • 할 일을 하나하나 적어 보았다. (과거 시제로) → 하는 일을 하나하나 적어 보았다.
  • 나는 한국의 예술에 대한 책을 읽는다. (과거 시제로) → 나는 한국의 예술에 대한 책을 읽었다.
  • 친구와 만나서 공부하기 위해 도서관에 간다. (미래 시제로) → 친구와 만나서 공부하기 위해 도서관에 가겠다.

문제 18

선택형

8. 각 문장에 나타난 시간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내일 오겠습니다. →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겠-’이 쓰였다.
  • 창조가 학교에 간다. →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ㄴ-’이 쓰였다.
  • 우리는 어제 그 연극을 보았다. →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았-’이 쓰였다.
  • 도서관에서 책을 보는 학생들이 많다. →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는-’이 쓰였다.
  • 저녁 아홉 시에 떠날 기차를 타기 위해 서둘러 이곳의 간이역으로 향했다. →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ㄹ’이 쓰였다.

문제 19

선택형

9. <보기>의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ㄱ의 사건시와 발화시는 일치한다.
  • ㄴ에는 부사어를 활용한 시간 표현이 나타난다.
  • ㄷ의 사건시는 발화시보다 앞선다.
  • ㄷ과 ㄹ 모두에 관형사형 어미를 활용한 시간 표현이 나타난다.
  • ㄱ, ㄴ, ㄹ 모두에 선어말 어미를 활용한 시간 표현이 나타난다.

문제 20

선택형

10. 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다음 문장 - ㄱ. 그렇게 감을 익히듯이 하고 나면 먹지 않아도 기분이 좋아졌고 남몰래 행복했다. ㄴ. 말갛게 익은 것이 생기면 감사한 마음으로 즐겁게 꺼내 먹는다. ㄷ. 감 위에 반으로 접힌 종이 한 장이 얹혀 있었다. ㄹ. 감 위에 반으로 접은 종이 한 장을 얹으셨다.

  • ㄱ의 앞 절의 의미는 누군가 감을 익게 했다는 것이다.
  • ㄴ에는 주어가 그 동작을 당했다는 의미가 드러난다.
  • ㄷ에는 주어가 제힘으로 동작을 했다는 의미가 드러난다.
  • ㄷ의 주어는 ‘감’이다.
  • ㄹ의 주어는 ‘종이 한 장’이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