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학교 방탈출
자유 풀이
중등 2-1
국어

1(3) 양반전 2025

희재쌤
125
희재쌤
추가된 문제 (1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이 글의 등장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양반의 아내는 남편의 경제적 무능을 비판하고 있다.
  • 강원도 감사는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행하는 인물이다.
  • 양반은 어질고 글 읽기를 좋아하지만 현실 문제 해결 능력이 없는 인물이다.
  • 양반은 환자를 갚지 못해 감옥에 갈 위기에 처해 있다.
  • 군수는 양반의 처지를 딱하게 여기고 환자의 일부를 갚아 주려 한다.

문제 2

선택형

부자가 양반 신분을 사려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양반의 특권을 누리기 위해
  • 자신의 경제력을 과시하기 위해
  • 가난한 양반의 처지가 안타까워서
  • 관리들의 부정부패에 맞서기 위해
  • 신분 제도의 불합리함을 비판하려고

문제 3

선택형

<양반전>에 반영된 당시 사회의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들이 생겨났다.
  • 관아에서 곡식을 빌려주는 제도가 있었다.
  • 사회 경제적으로 성장한 편민층이 나타났다.
  • 양반은 존재받고 평민은 천대받는 신분 사회였다.
  • 철저한 신분 사회로 신분 간의 이동이 금지되었다.

문제 4

선택형

<양반전>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 군수는 양반의 환자를 갚아 준 부자를 칭찬하였다.
  • 군수는 양반이 관곡을 갚게 된 사정을 궁금해하였다.
  • 양반은 평민의 차림새를 하고 평민으로서 처신하였다.
  • 부자는 군수에게 양반 매매 증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 군수는 양반과 부자를 관아로 불러 부자를 양반보다 높은 자리에 세웠다.

문제 5

선택형

부자가 첫 번째 매매 증서 내용을 바꿔 달라고 한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증서의 내용을 모두 지킬 자신이 없어서
  • 증서의 내용이 양반의 도리에 맞지 않아서
  • 증서의 내용이 부자를 조롱하는 것 같아서
  • 증서의 내용이 양반에게만 유리한 내용들이어서
  • 증서의 내용이 자신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없어서

문제 6

선택형

두 번째 매매 증서가 하는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은?

  • 이 글의 주된 풍자 대상이 양반임을 드러낸다.
  • 당시 양반층의 백성에 대한 횡포를 보여준다.
  • 부자의 신분 매매를 도우려는 군수의 의도를 드러낸다.
  • 부자가 양반 되기를 포기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양반의 부정적인 모습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문제 7

선택형

<양반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당대의 사회상을 고발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 부자는 양반이 귀하게 대접받고 평민은 항상 천하다는 이유로 양반이 되고자 한다.
  • 양반 신분 매매를 중심 소재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 벙거지를 쓰고 잠방이를 입은 양반의 모습에서 신분 매매의 결과로 평민이 된 양반을 제시하고 있다.
  • 군수의 말에서 양반 신분을 '비천한 것'으로 표현하여 양반 계층을 비판하고 있다.

문제 8

선택형

<양반전>의 인물들에 대한 평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양반은 현실 문제를 해결할 만한 능력과 현실 감각이 없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부자는 신분에 따른 차별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부자는 양반의 실상을 알고 양반이 되기를 포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양반은 신분 매매 이후 자신을 낮추는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군수는 양반이 된 부자를 칭송하고 평민이 된 양반을 하대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 9

선택형

풍자에 대한 표현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대상을 희화화하여 읽는 이에게 쾌감을 준다.
  • 현실의 모순을 넌지시 비판함으로써 웃음을 유발한다.
  • 대상을 논리적으로 비판하기에 가장 적합한 표현 방법이다.
  • 부정적인 대상이나 현실을 은근하게 폭로하는 표현 방법이다.
  • 주로 부조리한 사회 현상이나 문제를 간접적으로 비판할 때 사용되는 표현 방법이다.

문제 10

선택형

다음 두 개의 증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첫 번째 증서는 체면을 중시하여 의미 없는 생활 태도를 지닌 양반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 첫 번째 증서는 양반들이 중시하는 허례허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두 번째 증서는 양반이 지켜야 할 규범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다.
  • 두 번째 증서는 '돈 자루'라는 표현을 통해 신분을 이용하여 부를 누리는 양반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다.
  • 신분 거래와 관련하여 군수가 부자에게 첫 번째 증서를 제시한 목적과 두 번째 증서를 제시한 목적은 상반된다고 볼 수 있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