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학교 방탈출
자유 풀이
중등 3-1
과학
비상교육
객관식
조영재
107
추가된 문제 (19/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기권을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4개 층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 높이에 따른 기압 분포
  • 높이에 따른 기온 분포
  • 높이에 따른 중력 분포
  • 오존층의 존재 유무

문제 2

선택형

대류가 일어나는 기권의 층은 무엇인가요?

  • 대류권
  • 성층권
  • 중간권
  • 열권

문제 3

선택형

지구의 평균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지구는 두꺼운 대기가 있기 때문
  • 지구 대기의 주성분이 이산화 탄소이기 때문
  •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기 때문
  •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보다 많기 때문

문제 4

선택형

대류권과 중간권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요?

  • 오존층이 존재한다
  •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 공기의 대류가 일어난다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문제 5

선택형

복사 평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 모든 물체는 복사 에너지를 방출한다
  • 흡수하는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같은 상태를 복사 평형이라고 한다
  • 물체가 흡수하는 에너지양보다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많으면 물체의 온도가 높아진다
  •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평균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문제 6

선택형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 지구의 대기는 지표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고 우주 공간으로 모두 방출한다
  • 온실 기체에는 수증기, 이산화 탄소 등이 있다
  • 온실 효과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계속 상승한다
  • 대기 중의 온실 기체가 감소하면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다

문제 7

선택형

눈,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층은 무엇인가요?

  • 대류권
  • 성층권
  • 중간권
  • 열권

문제 8

선택형

기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 지구를 둘러싼 공기가 분포하는 영역이다
  •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양이 희박해진다
  • 지표면으로부터 높이 약 100km까지의 구간이다
  • 오존층은 높이 약 20km~30km 부근에 존재한다

문제 9

선택형

그림은 기권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각 층의 이름을 옳게 짝지은 것은?

  • A - 성층권
  • B - 중간권
  • C - 대류권
  • D - 열권
  • D - 중간권
그림은 기권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각 층의 이름을 옳게 짝지은 것은?

문제 10

선택형

1. A~D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A층은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 B층에는 오존층이 존재하여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한다.
  • 고위도 지방의 C층에서는 오로라가 나타난다.
  • D층은 공기가 희박하고, 낮과 밤의 기온 차가 매우 크다.
  •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층은 A이다.
1. A~D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11

선택형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로 옳지 않는 것은?

문제 12

선택형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창문이 모두 닫힌 자동차에서 창문 안쪽에 생긴 김을 없애기 위해 히터를 틀었다면, A~E 중 이때의 변화로 옳은 것은?

  • A
  • B
  • C
  • D
  • E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창문이 모두 닫힌 자동차에서 창문 안쪽에 생긴 김을 없애기 위해 히터를 틀었다면, A~E 중 이때의 변화로 옳은 것은?

문제 13

선택형

표는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20℃인 공기 10Kg속에 최대한 포함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 14.7g
  • 27.1g
  • 128g
  • 147g
  • 271g
표는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20℃인 공기  10Kg속에 최대한 포함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문제 14

선택형

이슬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온이 높을수록 이슬점이 높다.
  • ② 현재 수증기량이 많아지면 이슬점이 낮아진다.
  • ③ 물이 수증기로 증발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이다.
  • ④ 비 오는 날보다 맑은 날에 이슬점이 대체로 높다.
  • ⑤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과 같을 때는 포화 상태이다.

문제 15

선택형

그림은 맑은 날 하루 동안의 기온, 습도, 이슬점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온과 습도는 비례한다.
  • ② 오후 시경에 습도가 가장 높다.
  • ③ 새벽 시경에 습도가 가장 낮다.
  • ④ 공기 중의 수증기량은 거의 일정하다.
  • ⑤ 기온, 습도, 이슬점 중 하루 동안 변화량이 가장 큰 것은 이슬점이다.
그림은 맑은 날 하루 동안의 기온, 습도, 이슬점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16

선택형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A~E 중 포화 상태인 공기를 있는 대로 고르면?

  • A, B
  • A, D
  • B, C, D
  • B, C, E
  • B, D, E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A~E 중 포화 상태인 공기를 있는 대로 고르면?

문제 17

선택형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A 공기의 이슬점은?

  • -10℃
  • 0℃
  • 10℃
  • 20℃
  • 30℃
그림은 기온에 따른 포화 수증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A 공기의 이슬점은?

문제 18

선택형

그림과 같이 페트병에 약간의 물과 액정 온도계, 향 연기를 넣고 (가) 공기 펌프로 압축시킨 후 (나) 다시 뚜껑을 열어 페트병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 실험의 (나) 과정에서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페트병 내부가 뿌옇게 흐려진다.
  • ② 페트병 내부의 온도가 하강한다.
  • ③ 페트병 내부의 수증기가 응결한다.
  • ④ 페트병 내부 공기의 부피는 팽창한다.
  • ⑤ 자연 현상에서 공기가 하강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림과 같이 페트병에 약간의 물과 액정 온도계, 향 연기를 넣고 (가) 공기 펌프로 압축시킨 후 (나) 다시 뚜껑을 열어 페트병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 실험의 (나) 과정에서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19

선택형

그림과 같이 페트병에 약간의 물과 액정 온도계, 향 연기를 넣고 (가) 공기 펌프로 압축시킨 후 (나) 다시 뚜껑을 열어 페트병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 실험에서 향 연기를 넣으면 병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이때 향 연기의 역할로 옳은 것은?

  • ① 페트병 내부의 습도를 높인다.
  • ② 페트병 내부의 압력을 낮춘다.
  • ③ 페트병 내부의 온도를 낮춘다.
  • ④ 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다.
  • ⑤ 수증기의 응결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다.
그림과 같이 페트병에 약간의 물과 액정 온도계, 향 연기를 넣고 (가) 공기 펌프로 압축시킨 후 (나) 다시 뚜껑을 열어 페트병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위 실험에서 향 연기를 넣으면 병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이때 향 연기의 역할로 옳은 것은?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