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좀비vs연구원
팀전

[사회] 4-2-1. 촌락과 도시의 생활 모습(팀전)

최자람
28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다음 글을 읽고 □안에 공통으로 알맞은 말을 쓰시오.

  • 촌락

문제 2

선택형

산지촌에서 볼 수 있는 생산 활동으로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벌을 길러 꿀을 얻는다.
  • 갯벌에서 조개를 잡는다.
  • 계단식 논에서 농사를 짓는다.
  • 울창한 숲에서 목재를 얻는다.
  • 비닐하우스에서 과일, 채소, 꽃을 재배한다.

문제 3

단답형

친구들의 대화와 관련이 깊은 것을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 어업

문제 4

선택형

도시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거리에 오가는 사람들이 많다.
  • 버스, 지하철 등 교통수단이 발달했다.
  •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 시설이 많지 않다.
  • 사람들이 일할 수 있는 회사나 공장이 많다.
  • 시청, 도청, 법원, 교육청 등 공공 기관이 많다.

문제 5

선택형

다음 사진에 대한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의 도로보다 ㉡의 도로가 더 좁다.
  • ㉠과 ㉡은 모두 넓은 들에 자리 잡았다.
  • ㉡에는 주로 회사나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많다.
  • ㉠에는 낮은 건물이 많고, ㉡에는 높은 건물이 많다.
  • ㉠에는 주로 자연환경을 이용해서 일하는 사람이 많다.

문제 6

선택형

촌락과 도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도시에는 문화 시설이 발달해 있다.
  • 촌락과 도시 모두 마을을 이루어 살아간다.
  • 촌락에는 도시보다 많은 사람이 모여 산다.
  • 촌락의 학생들은 푸른 들판 사이를 걸어서 등교한다.
  • 도시의 학생들은 운동회 날 학생 수가 많아서 반 대표만 이어달리기를 한다.

문제 7

OX

다음 그래프에 대한 설명을 읽고 맞으면 ○표, 틀리면 ×표를 하시오. [설명] 15~64세의 젊은 사람들이 촌락을 떠나고 있다.

문제 8

선택형

촌락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일손이 부족하다.
  • 인구가 줄어든다.
  • 도로에 차가 너무 많다.
  • 버스를 오래 기다려야 한다.
  • 외국에서 값싼 농산물이 들어온다.

문제 9

선택형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대한 의견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자동차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돕는다.
  • 버스가 빠르게 다닐 수 있는 전용 차로를 만든다.
  • 폐교나 마을 회관 등을 영화관, 미술관으로 만든다.
  • 집을 많이 지어 사람들이 쉽게 집을 구할 수 있게 한다.
  •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주택을 싼값에 빌려준다.

문제 10

선택형

사진 속 해결 방법과 가장 관련이 깊은 도시의 문제는 어느 것입니까?

  • 주택 문제
  • 주차 문제
  • 교통 문제
  • 환경 문제
  • 안전 문제

문제 11

선택형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을 찾아 고르시오.

  • 교류란 사람들이 오고 가거나 물건, 문화, 기술 등을 서로 주고받는 것이다.
  • 지역마다 생산물, 문화,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교류가 이루어진다.
  • 교류는 촌락은 촌락끼리, 도시는 도시끼리 가능하다.

문제 12

선택형

촌락 사람들과 도시 사람들의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촌락에는 뮤지컬이 자주 열린다.
  • 도시에는 특산물을 활용한 지역 축제가 많다.
  • 촌락과 도시의 교류는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
  • 촌락과 도시는 생산물, 기술, 문화가 비슷하다.
  • 촌락과 도시는 서로 교류하면서 상호 의존하고 있다.

문제 13

선택형

다음 문장을 읽고 교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집 주변에서 가족들과 함께 달리기 운동을 했다.
  • 주말에 숲에서 캠핑을 하려고 다른 고장에 방문했다.
  • 우리 지역 축제에서 다른 고장에서 온 사물놀이패의 공연을 관람했다.

문제 14

단답형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인지 쓰시오. [설명]촌락과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서로 필요한 것을 교류하면서 □□□□하고 있습니다. □□□□이란 서로 돕고 교류하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상호의존

  • 상호 의존

문제 15

선택형

다음은 촌락과 도시의 특징을 정리한 표입니다. ㉠, ㉡에 들어갈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지역 축제 ㉡공공 기관
  • ㉠지역 축제 ㉡자연환경
  • ㉠공공 기관 ㉡지역 축제
  • ㉠공공 기관 ㉡문화 시설
  • ㉠자연환경 ㉡전통문화

문제 16

선택형

다음과 같이 도시 사람들이 촌락을 찾는 이유로 알맞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지역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서
  • 깨끗한 자연환경을 체험하기 위해서
  • 신선한 농수산물을 이용하기 위해서
  • 잘 보존된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서
  • 박물관이나 공연장 등 문화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

문제 17

선택형

촌락 사람들이 도시에 가는 까닭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문화 공연을 보기 위해서
  • 법원에서 처리할 일이 있어서
  • 시청에서 처리할 일이 있어서
  • 백화점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서
  • 잘 보존된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서

문제 18

선택형

촌락과 도시가 교류하는 모습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인터넷 검색 누리집에 ‘교류’를 검색해 본다.
  • 자매결연과 관련된 지역 신문 기사를 찾아본다.
  • ‘직거래 장터’와 관련된 뉴스 영상을 시청한다.
  • 최근에 우리 지역으로 이사 온 어른들께 여쭤본다.
  • 지역의 시‧군‧구청 누리집에 들어가서 자료를 찾는다.

문제 19

선택형

다음은 어느 모둠의 조사 보고서에서 사용한 조사 자료입니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김삿갓면과 신곡1동은 자매결연을 맺었다.
  • 조사 방법은 직거래 장터에 직접 방문하는 것이다.
  • 신곡1동 주민들은 싼 가격에 좋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 촌락과 도시는 서로에게 보탬이 되는 사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 김삿갓면 주민들은 농수산물 직거래 장터 덕분에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문제 20

단답형

다음에서 설명하는 우리나라의 도시는 어디인지 쓰시오.

  • 부산광역시

힌트

ㅂㅅㄱㅇㅅ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