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던전
순서 풀이
서대문형무소 방탈출
장산들
15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단답형

서대문 형무소에 가기 전, 일제가 어떻게 조선을 침략하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말 일본은 운요호 사건 구실로 조선과 이 조약을 맺었습니다. 조선은 최초로 근대적 조약을 맺어 개항을 하게 되었지만, 내용은 불평등 조약이었지요. 이 조약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강화도 조약

  • 강화도조약

힌트

현재 인천에 있는 지역입니다.

문제 2

단답형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조약은 무엇일까요? 1905년 맺어진 조약으로, 조선은 외교권을 빼앗기고 통감 정치가 실시되었다. 초대 통감은 이토 히로부미였다.

  • 을사늑약

  • 을사조약

  • 2차 한일협약

  • 2차한일협약

힌트

대한의 국모 명성황후를 시해한 죄 대한의 황제를 폭력으로 폐위시킨 죄 ㅇㅇㅇㅇ과 정미늑약을 강제로 체결케 한 죄 무고한 대한의 사람들을 대량 학살한 죄

문제 3

선택형

다음은 역사 수업 시간에 본 <영웅>의 넘버 중 '누가 죄인인가'의 노래 가사 일부입니다. 다음 가사와 관련 있는 것은? "대한의 사법권을 동의 없이 강제로 장악 유린한 죄 정권을 폭력으로 찬탈하고 대한의 독립을 파괴한 죄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 기유각서
  • 정미7조약
  • 1차 한일 협약
  • 한일병합조약
다음은 역사 수업 시간에 본 <영웅>의 넘버 중 '누가 죄인인가'의 노래 가사 일부입니다. 다음 가사와 관련 있는 것은?


"대한의 사법권을 동의 없이 강제로 장악 유린한 죄
정권을 폭력으로 찬탈하고 대한의 독립을 파괴한 죄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누가 죄인인가?"

문제 4

단답형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맺어지며 일제강점기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1910년대 일본의 통치 방식은 무엇일까요? - 헌병경찰에게 즉결처분권이 있었다. - 조선인들에게 태형령이 적용되었다.

  • 무단통치

  • 무단 통치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맺어지며 일제강점기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1910년대 일본의 통치 방식은 무엇일까요?

- 헌병경찰에게 즉결처분권이 있었다.
- 조선인들에게 태형령이 적용되었다.

문제 5

선택형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독립 운동은 무엇일까요? - 1919년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으로, 무단통치가 문화통치 방식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대표적 인물로 유관순 열사가 있다.

  • 동학농민운동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문제 6

선택형

여러분은 서대문형무소에 입장하셨습니다. 서대문형무소는 시간이 흐르며 이름이 여럿 바뀌고 현재 역사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음 중 서대문형무소의 옛 이름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경성감옥
  • 서대문감옥
  • 서울형무소
  • 한양교도소

문제 7

단답형

첫 번째 장소인 보안과청사로 가보겠습니다. 다음 유물은 2층에 전시되어있는 것으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으로 잡혀가는 사람들의 얼굴이 드러나지 않도록 얼굴에 씌운 물건입니다. 이 물건의 이름은?

  • 용수

첫 번째 장소인 보안과청사로 가보겠습니다.

다음 유물은 2층에 전시되어있는 것으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으로 잡혀가는 사람들의 얼굴이 드러나지 않도록 얼굴에 씌운 물건입니다. 이 물건의 이름은?

문제 8

선택형

전시관 2층 메모리얼 홀의 3면을 가득 채운 카드들은 일제강점기 서대문형무소 등지에 수감자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이 중 맞지 않는 것을 골라보세요.

  • 이 카드들은 수형기록카드라고 불리며, 등록문화재 제 730호로 지정되었다.
  • 카드 속 인물들은 대부분 사상범으로 불리는 독립운동가들이다.
  • 카드 속에는 인물의 얼굴과 죄명, 수감 형무소 등이 기재되어있다.
  • 카드는 한 가지 양식으로만 제작된다.
전시관 2층 메모리얼 홀의 3면을 가득 채운 카드들은 일제강점기 서대문형무소 등지에 수감자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이 중 맞지 않는 것을 골라보세요.

문제 9

선택형

상설 전시실 2층에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투쟁하신 독립운동가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의사: 목숨을 바쳐 무력 행동으로 거사를 결행하신 분 - 열사: 목숨을 바쳐 맨몸으로 적과 싸워 투쟁하신 분 사진의 인물에 붙을 수식어는 무엇일까요?

  • 강우규 의사
  • 강우규 열사
상설 전시실 2층에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투쟁하신 독립운동가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의사: 목숨을 바쳐 무력 행동으로 거사를 결행하신 분
- 열사: 목숨을 바쳐 맨몸으로 적과 싸워 투쟁하신 분

사진의 인물에 붙을 수식어는 무엇일까요?

문제 10

선택형

사진 속 인물이자, 1909년 12월 22일 명동성당 앞에서 을사오적 중 한 명인 이완용을 칼로 수차례 찔러 큰 부상을 입힌 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신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요?

  • 안중근
  • 윤봉길
  • 이봉창
  • 이재명
사진 속 인물이자, 1909년 12월 22일 명동성당 앞에서 을사오적 중 한 명인 이완용을 칼로 수차례 찔러 큰 부상을 입힌 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신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요?

문제 11

OX

중앙사/옥사로 가보겠습니다. 감옥에 들어온 수감자들은 어떻게 지냈을까요? 다음 설명에 대해 o/x로 답해보세요. "수감자들이 입는 옷은 계절에 따라 다르고, 다양한 크기가 있어 몸에 꼭 맞게 입을 수 있었다."

중앙사/옥사로 가보겠습니다. 감옥에 들어온 수감자들은 어떻게 지냈을까요? 다음 설명에 대해 o/x로 답해보세요.

"수감자들이 입는 옷은 계절에 따라 다르고, 다양한 크기가 있어 몸에 꼭 맞게 입을 수 있었다."

문제 12

OX

감옥에 들어온 수감자들은 형벌의 종류에 따라 1~9등급으로 나누어 밥의 양에 차등을 두었다.

힌트

문제 13

단답형

간수들이 근무하던 중앙사는 10, 11, 12옥사가 한눈에 보일 수 있도록 부채꼴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수감자들을 더 잘 감시하기 위함인데요, 이러한 구조를 뭐라고 할까요? ㅇㅇㅇㅇ 구조(4글자)

  • 판옵티콘

  • 파놉티콘

간수들이 근무하던 중앙사는 10, 11, 12옥사가 한눈에 보일 수 있도록 부채꼴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수감자들을 더 잘 감시하기 위함인데요, 이러한 구조를 뭐라고 할까요?

ㅇㅇㅇㅇ 구조(4글자)

문제 14

OX

지하 고문실로 내려가보겠습니다. 다음 설명에 대해 o/x로 답하세요. "지하 고문실에서는 물고문, 상자고문, 벽관고문 등 약 93가지의 고문이 자행되었다."

문제 15

선택형

다음 사진과 관련 있는 고문의 종류는? 아주 좁은 관에 사람을 가두는 고문으로 보기엔 꽤나 버틸 수 있을 것 같지만 일반 성인들도 평균 2분 정도밖에 못 버틴다고 합니다. 이 좁은 공간에 오래 서 있으면 관절이 굳고, 심지어는 기절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 상자고문
  • 벽관고문
  • 손톱찌르기 고문
  • 물고문
다음 사진과 관련 있는 고문의 종류는?

아주 좁은 관에 사람을 가두는 고문으로 보기엔 꽤나 버틸 수 있을 것 같지만 일반 성인들도 평균 2분 정도밖에 못 버틴다고 합니다.
이 좁은 공간에 오래 서 있으면 관절이 굳고, 심지어는 기절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문제 16

OX

다음 설명을 o/x로 답변해보세요.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임시구금실과 취조실이 다른 건물에 있었다.

힌트

임시구금실은 말 그래도 임시로 구금하는 곳이고, 취조실은 고문을 하던 곳입니다. 임시구금실에 있던 사람들이 취조실의 소리를 듣는다면..?

문제 17

선택형

공작사로 가보겠습니다. 감옥에서 받는 형벌을 두고 흔히 '징역'이라고 합니다. 이는 징벌의 '징'과 노역의 '역'에서 비롯된 말로 일제강점기에 생겨난 말입니다. 형무소 공장에서는 여러 물건들을 수감자의 노역을 통해 만들었습니다.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주로 어떤 물건이 생산되었을까요?

  • 벽돌
  • 수인복
  • 고무신
공작사로 가보겠습니다.
감옥에서 받는 형벌을 두고 흔히 '징역'이라고 합니다. 이는 징벌의 '징'과 노역의 '역'에서 비롯된 말로 일제강점기에 생겨난 말입니다.
형무소 공장에서는 여러 물건들을 수감자의 노역을 통해 만들었습니다.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주로 어떤 물건이 생산되었을까요?

문제 18

선택형

여옥사로 가보겠습니다. 여옥사는 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입니다. 다음 말을 남긴 인물은 누구인가요? "내 손톱이 빠져 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 유관순
  • 임명애
  • 어윤희
  • 권애라
힌트

문제 19

선택형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요? - 파주 와석에서 김수덕, 김선영 등과 격문을 배포하고 독립만세 주도 - 임신한 상태로 만세시위를 하다 체포됨.

  • 유관순
  • 임명애
  • 어윤희
  • 권애라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요?

- 파주 와석에서 김수덕, 김선영 등과 격문을 배포하고 독립만세 주도
- 임신한 상태로 만세시위를 하다 체포됨.

문제 20

OX

사형장으로 가보겠습니다. o/x로 답변해보세요. "사형 집행 후 시신을 바깥의 공동묘지에 버리기 위해 일제가 만든 비밀통로는 '시구문'이라고 불리며, 약 200m 길이였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