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우리말 사용 실태와 관련해 조사 주제를 정할 때 다음 주제를 조사하면 어떤 문제가 있을지 알맞게 말하지 못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조사 주제: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 동안 잘못 사용하는 우리말을 찾아보면 어떨까?
지호: 조사 기간이 적절하지 않아.
은수: 우리나라 사람들을 모두 조사할 수 없어.
강현: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사 대상으로 알맞지 않아.
강현
문제 5
선택형
우리말을 얼마나 잘못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할 때 조사할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 지역에 있는 도서관의 수
높임 표현을 잘못 사용하는 예
우리 반 친구들이 책을 읽지 않는 까닭
고유어로 표기된 우리 지역의 모든 간판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 동안 잘못 사용하는 외국어
문제 6
단답형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는 조사 방법은 무엇인지 쓰세요.
장점: 현장에서 조사 대상을 직접 파악할 수 있다.
단점: 시간이 많이 걸린다.
관찰
문제 7
선택형
설문지로 조사를 했을 때 좋은 점은 무엇입니까?
조사 과정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한 사람만 깊이 있게 조사할 수 있다.
여러 사람을 한꺼번에 조사할 수 있다.
조사 주제에 관련된 자료만 얻기 힘들다.
답한 내용 외에도 다양한 내용을 알 수 있다.
문제 8
단답형
책이나 글로 조사를 했을 때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맞게 말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유진: 한 번에 한 사람만 조사할 수 있어.
진서: 답한 내용 외에 자세한 내용을 알기 어려워.
예빈: 내가 찾고 싶은 정보를 쉽게 찾지 못할 수도 있어.
예빈
문제 9
OX
자료를 잘 활용해 발표했는지 점검할 때 사실이 아닌 내용이나 과장된 내용을 쓰지 않았는지 살펴본다.
문제 10
선택형
그림 (가)에서 여진이가 잘못한 점은 무엇입니까?
너무 큰 목소리로 발표했다.
공손한 태도로 발표하지 못했다.
높임말을 사용하지 않고 발표했다.
듣는 사람과 눈을 맞추며 발표했다.
발표 내용만 보면서 읽듯이 발표했다.
문제 11
선택형
그림 (다)의 여진이와 같이 발표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듣는 사람이 내용을 잘 알아들을 수 없다.
듣는 사람이 자신의 생각을 발표할 수 없다.
듣는 사람이 내용을 정확히 기억할 수 있다.
듣는 사람이 내용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듣는 사람이 다른 친구와 이야기할 수 없다.
문제 12
단답형
조사 주제를 정하는 기준을 알맞게 말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세영: 실제로 조사할 수 있는지 알아봐야 해.
유정: 조사 기간이 최대한 긴 것으로 정해야 해.
유성: 조사 기간이 적절하지 않더라도 친구들이 그 과정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으로 정해야 해.
세영
문제 13
단답형
그림 (가)~(다)에서 여진이가 잘못한 점을 바르게 말하지 못한 것을 찾아 기호를 쓰세요.
ㄱ:그림 (가)에서 여진이는 발표 내용만 보면서 읽듯이 발표하고 있다.
ㄴ: 그림 (나)에서 여진이는 너무 느린 속도로 발표하고 있다.
ㄷ: 그림 (다)에서 여진이는 듣는 사람이 알아듣지 못하게 작게 말했다.
ㄴ
문제 14
단답형
그림 (라)의 친구들 가운데에서 발표를 듣는 태도가 잘못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성우
문제 15
선택형
자료를 제시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입니까?
사실이 아닌 내용을 제시한다.
되도록 오래된 자료를 제공한다.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게 주의한다.
한꺼번에 최대한 많은 자료를 제시한다.
발표를 듣는 사람들이 자료를 다시 찾을 수 없도록 출처를 감춘다.
문제 16
선택형
발표 주제에 따라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을 차례에 맞게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무엇입니까?
㉠ 조사 주제를 정한다.
㉡ 발표 원고를 구성한다.
㉢ 조사 계획에 맞게 조사한다.
㉣ 조사 대상과 조사 방법을 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 17
선택형
그림 (가)의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입니까?
나오셨다.
나왔습니다.
나오셨습니다.
나오실 것 같다.
나오실 것입니다.
문제 18
단답형
그림 (나)에서 ㉡과 같은 표현이 잘못된 까닭을 바르게 말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정우: 영어와 우리말을 섞어 만든 국적 불문의 신조어이기 때문이야.
은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했기 때문이야.
한결: 지금은 잘 쓰지 않는 어려운 낱말을 썼기 때문이야.
정우
문제 19
단답형
다음 중 발표를 가장 잘한 친구의 이름을 쓰세요.
하랑: 발표를 빨리 끝내려고 아주 빠른 속도로 발표했어.
민서: 듣는 사람과 눈을 맞추며 바른 자세로 서서 진지하게 발표했어.
하은: 아이들에게 재미를 주기 위해 과장되거나 거짓인 내용을 자료에 섞어서 발표했어.
민서
문제 20
선택형
우리말을 얼마나 잘못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할 때 조사할 수 있는 주제로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기호를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