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던전
순서 풀이
고1 국어(공통) 중세국어 문법 1회차(1학년 공통)
이대희
132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OX

삼국시대 ~ 통일신라시대까지의 국어를 고대국어라고 한다.

문제 2

선택형

현대에는 소멸된 음운을 모두 고르시오.

문제 3

선택형

중세국어는 성조의 표시를 위해( )를 사용했다.

  • 방점
  • 온점
  • 중점
  • 상점
  • 맹점

문제 4

선택형

다음 중 중세국어의 명사형 전성어미를 모두 고르시오.

  • ᄋᆞᆷ

문제 5

단답형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서 모두 주체 높임법 선어말어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1음절)

  • -시-

  • -시

문제 6

선택형

중세국어의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를 찾으시오.

  • ᄉᆞᆸ

문제 7

OX

중세국어는 일반적으로 8종성법을 사용했다.

문제 8

선택형

중세국어의 일반적인 표기법은?

  • 이어적기
  • 끊어적기
  • 거듭적기

문제 9

선택형

훈민정음의 창제정신을 모두 고르시오.

  • 자주정신
  • 애민정신
  • 창조정신
  • 실용정신
  • 민주정신

문제 10

선택형

이 중 주격 조사가 쓰인 것은?

  • 불휘
  • 기픈
  • ᄇᆞᄅᆞ매
  • 남ᄀᆞᆫ
이 중 주격 조사가 쓰인 것은?

문제 11

단답형

‘남ᄀᆞᆫ’은 체언 ‘나모’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올 경우 형태가 변한다. 이러한 체언은 ( )덧생김 체언 혹은 ( )곡용어라고 한다.(자음 중 하나를 쓰시오.)

  • 기억

  • 'ㄱ'

문제 12

OX

'곶'은 8종성법에 맞는 표기법이다.

'곶'은 8종성법에 맞는 표기법이다.

문제 13

선택형

'됴코'에서는 현대국어와 달리 ( )이 적용되지 않았다. 빈 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두음법칙
  • 구개음화
  • 비음화
  • 경음화
'됴코'에서는 현대국어와 달리 (             )이 적용되지 않았다. 빈 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문제 14

선택형

'여름'의 품사는?

  • 명사
  • 동사
  • 부사
  • 관형사
'여름'의 품사는?

문제 15

OX

'하ᄂᆞ니 '의 현대어 풀이는 동사 '하다'와 현재시제선어말어미가 사용된 '한다'다.

문제 16

단답형

위 문장에 쓰인 명사 '내'를 문장에서 부사어로 사용하기 위해 중세국어의 부사격 조사 '애'를 결합하여 쓸 때의 표기를 쓰시오.

  • 내해

  • '내해'

위 문장에 쓰인 명사 '내'를 문장에서 부사어로 사용하기 위해 중세국어의 부사격 조사 '애'를 결합하여 쓸 때의 표기를 쓰시오.

문제 17

단답형

위에 쓰인 한자음 표기는 ( )식 한자음 표기다.(4음절)

  • 동국정운

  • '동국정운'

위에 쓰인 한자음 표기는
(                        )식 한자음 표기다.(4음절)

문제 18

선택형

'나랏'에 쓰인 'ㅅ'의 문법적 역할은?

  • 주격 조사
  • 관형사형 어미
  • 관형격 조사
  • 처소 부사격 조사
  • 비교 부사격 조사
'나랏'에 쓰인 'ㅅ'의 문법적 역할은?

문제 19

선택형

위 문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한글 창제 정신은?

  • 창조정신
  • 자주정신
  • 애민정신
  • 실용정신
위 문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한글 창제 정신은?

문제 20

단답형

위 표기를 16세기 말 쓰여진 소학언해의 표기법에 따르면 ( )라고 써야 한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2음절)

  • 달라

  • '달라'

위 표기를 16세기 말 쓰여진 소학언해의 표기법에 따르면
(                     )라고 써야 한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2음절)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