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단답형
A에 해당하는 물은?
해수
바닷물
수권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말한다.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 중 가장 많은 부피비를 차지하며, 짠맛이 난다.

해수
바닷물
수권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말한다.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 중 가장 많은 부피비를 차지하며, 짠맛이 난다.
빙하
육지의 물(담수) 중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하며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지하수
강과 호수의 물이 부족할 때 대체할 수 있는 수자원이다.
지표면을 흐르므로 우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이다.
해수
빙하
위도가 낮아질수록(저위도, 적도에 가까워짐)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많다.
적도에 가까울수록 저위도, 극에 가까울수록 고위도이다.
혼합층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온도가 높고, 바람의 영향으로 해수가 잘 섞여 깊이에 따라 수온이 거의 일정한 층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두꺼워진다.
수온약층
깊이에 따라 수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층. 밀도가 큰 차가운 해수가 아래에 존재하고, 밀도가 작은 따뜻한 해수가 위에 존재하여 연직운동(대류)이 일어나기 어려운 층.
심해층
수온이 4℃이하로 매우 낮고, 연중 수온이 거의 일정한 층.
수온약층
(가)과정과 같이 전등을 켜면, 전등 빛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적게 도달하여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지는 층이 생긴다.
혼합층
(나)과정과 같이 전등+부채질을 하게 되면 바람에 의해 표층 쪽의 해수가 섞여 수온이 일정하게 나타나는 층이 생긴다.
수온약층은 깊어질수록 태양에너지의 흡수량이 감소하여 수온이 급격히 낮아진다.
A:고위도, 표층 수온이 매우 낮아 표층과 심층의 온도차이가 거의 없다. 다 심해층. B: 중위도, 바람이 강하게 불어 혼합층이 두껍다. C: 저위도, 표층 수온이 가장 높아, 수온이 가장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A층은 혼합층, 바람이 강할수록 두껍다. 중위도 특히 위도 30° 부근에서 바람이 강하여 가장 두껍다. B층은 수온약층으로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히 낮아진다. 따뜻한 해수가 위쪽에 있고, 차가운 해수가 아래쪽에 있으므로 해수가 잘 섞이지 않는다.(대류가 일어나기 어려움) C층은 심해층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수온이 낮고 일정하다. 극해역에서는 층상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심해층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