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숲 속
순서 풀이

도전! 메타버스 골든벨_Fresh_04

captaincontest
53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다음 중 파손 상품 처리 업무 분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리퀴-HUB
  • 2) 폐기-ICQA
  • 3) 가용-ICQA
  • 4) CRMS-IB

문제 2

선택형

다음 트럭 봉인씰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 1) 트럭 봉인씰은 HUB에서 출차하는 간선 차량에 체결하는 밀봉 표식이다.
  • 2) 상차 이후 봉인씰은 반드시 CFS 소속의 직원이 체결한다.
  • 3) 총 3개의 봉인씰을 차량의 윙과 후미, 운전석에 체결한다.
  • 4) 간선 출자 확인서에 작성된 봉인씰 번호와 일치하는 봉인씰을 체결해야 한다.

문제 3

선택형

OB에서 출고 검증이 완료된 상품의 상차를 위해 분류/적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캠프명과 배송 유형의 확인을 위해 운송장 정보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 2) 상하차시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하여 팔렛트에 적재한 상품은 팔레트와 함께 스트레치 필름으로 랩핑해야 한다.
  • 3) 적재 효율성을 위하여, 적재가 어려운 이형 상품을 가장 먼저 상차한다.
  • 4) 무거운 상품은 아래쪽에 가벼운 상품은 위쪽에 적재하여 상품 파손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

문제 4

선택형

간선출차 확인서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 1) 차량 정보
  • 2) 상품 정보
  • 3) 담당자 정보
  • 4) 출발지와 목적지

문제 5

선택형

운송장 웨이브 코드와 해당의미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1) T- 익일/ D- 당일/ W- 새벽
  • 2) T- 새벽/ D- 익일/ W- 당일
  • 3) T- 당일/ D- 새벽/ W- 익일
  • 4) T- 익일/ D- 새벽/ W- 당일

문제 6

선택형

허브 공정 작업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허브 작업 구역에서는 반드시 안전화를 착용한다.
  • 2) 빈 팔레트는 2인 1조로 들고 이동한다.
  • 3) 롤테이너는 반드시 걸쇠와 고정핀을 체결한다.
  • 4) 소팅 작업 시, 유사 캠프명은 같은 곳으로 분류한다.

문제 7

선택형

허브 파손 처리 과정 중 리퀴데이션 분류 기준 중 옳지 않은 것은?

  • 1) 상품의 밀봉(밀폐) 가능
  • 2) 메인 상품 사용에 문제가 없는 경우
  • 3) 구성품이 누락되었으나, 남은 구성품으로 개별 판매가 가능한 경우
  • 4) 작업일 기준 유통기한 2개월 미만인 경우

문제 8

선택형

HUB와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1) HUB 파손 상품 처리시 쿠팡 자사 브랜드(PL상품)는 '정상가용' 또는 '폐기' 입력만 가능하다.
  • 2) HUB 파손 상품 처리시 리퀴데이션이 가능한 즉석이유식 상품은 작업자가 직접 분류하여 '폐기' 입력해야한다.
  • 3) 허브 매니지먼트의 '수정 삭제 추가' 기능은 HUB 관리자 이상만이 사용이 가능하다.
  • 4) HUB 작업자는 계란/수박과 같은 띠지 박스 적재시 세워서 적재한다.

문제 9

선택형

박스를 쌓는 방법 중 틀린 것은?

  • 1) 무거운 박스는 아래
  • 2) 취급주의 박스는 위
  • 3) 단프라 박스 가장 아래
  • 4) 오펙스 토트는 가장 위로

문제 10

선택형

오분류를 주의하기 위해 확인하는 요소로 올바르게 묶인 것은?

  • 1) 롤테이너, 바닥주기표
  • 2) 바닥주기표, 적재 위치
  • 3) 적재 위치, CPT(Critical Pull Time)
  • 4) CPT(Critical Pull Time), 운송장

문제 11

선택형

다음은 HUB에서 발생되는 PDD Miss의 유형 중 Hub Misssort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설명이 옳은 것은?

  • 1) FC에서 정시에 출고 되었으나 허브 집하 스캔 지연 또는 허브 잔류 스캔이 되어 PDD 이내 배송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 2) HUB에서 상품이 파손되어 PDD 이내 배송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 3) HUB의 상품 분류 오류로 인해 shipment가 잘못된 캠프로 배송되어 PDD 이내에 배송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 4) 상품이 CASS 대비 늦게 캠프에 도착하여 PDD 이내 배송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문제 12

선택형

LS의 활용범위가 아닌것은?

  • 1) 출고 수량 확인
  • 2) 트럭 적재 관리
  • 3) 출고 지표 관리
  • 4 )배차 관리

문제 13

선택형

허브 파손 처리 시, 사용하는 전산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PDA 분류 스캐너 앱
  • 2) HM(Hub Management)
  • 3) LS(Linehaul System)
  • 4)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문제 14

선택형

허브 공정 작업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파손 상품/박스 상차시 다른 상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장 마지막에 적재한다.
  • 2) 스트레치 필름 랩핑 시에는 뒷걸음이 아닌 앞걸음으로 전면을 주시하며 진행한다.
  • 3) 파렛트 상차시 파렛트 주기표와 차량의 캠프명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 4) 파렛트 이동은 2인 1조로 작업하는 것이 표준이다.

문제 15

선택형

다음중 운송장 배송타입 기호별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 1) ★ - 새벽배송(오전 7시까지)
  • 2) ♣ - 당일배송(오후 11시까지)
  • 3) ◆ - 로켓프레시(오전 6시까지)
  • 4) ♥ - 새벽배송 거부

문제 16

선택형

HUB 파손 처리의 목적 중 옳지 않은 것은?

  • 1) 표준화된 기준 보다는 FC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손 상품을 관리한다.
  • 2) 파손이 발생하는 상품에 대해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3) 고객 만족을 실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4) 최대한 상품을 재판매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손실 비용을 절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제 17

선택형

CPT, PPH, UTP 등 허브에서 관리되는 여러 가지 지표 중 PDD는 무엇의 약자일까요?

  • 1) Perfect Delivery Date
  • 2) Peaceful Delivery Date
  • 3) Promised Delivery Date
  • 4) Project Delivery Date

문제 18

선택형

적재(Palletizing) 시 확인해야 하는 운송장 정보가 아닌 것은?

  • 1) 배송 캠프명
  • 2) 웨이브 코드
  • 3) 배송 타입 기호
  • 4) 주문자 정보

문제 19

선택형

Coupang PL 상품(CPLB)의 파손 처리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 1) PL 상품은 시스템에서 정상 가용과 폐기 처리, 리퀴만 안내한다.
  • 2) PL 상품 중 리퀴데이션 처리가 가능한 예외 상품 유형이 있다.
  • 3) PL 상품의 상품 바코드는 무조건 PL로 시작한다.
  • 4) 작업자가 예외 상품 유형의 리퀴데이션 분류 작업을 시행하는 것은 필수 작업이 아니다.

문제 20

선택형

허브 파손 처리 시, 운송장 재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을 모두 고르시오.(2개)

  • 1) WMS에서 운송장을 재출력할 수 있다.
  • 2) LS [대시보드] 메뉴 접속을 통해 가능하다.
  • 3) HM [허브 관리] 메뉴 접속을 통해 가능하다.
  • 4) HM [허브 관리] 메뉴에서 출고지 확인한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