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바다 돌고래
순서 풀이

24년 국어 9월 모의고사 문학(1-6)

이대희
117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윤동주의 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규칙적인 음보율이 사용되었다.
  • 3.4조 4.4조의 운율이 사용되었다.
  • 동일한 표현을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했다.
  • 산문체가 아닌 명사형의 마무리를 반복했다.
  • 복합적인 심상을 통해 외적인 운율을 드러냈다.

문제 2

OX

'바르게'를 활용하여 사나이가 거미를 쳐다보기 위해 좋은 위치를 찾아간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문제 3

선택형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각적인 심상을 찾을 수 있다.
  • 의도적으로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이 사용되었다.
  • 화자는 나비와 동질감을 느낀다.
  • 나비는 거미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사나이는 나비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다.

문제 4

OX

<보기>의 창작 당시의 외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거미줄을 헝클어 버리는'에서는 무기력한 우리 민족의 상황을 위로하는 화자의 행동이 드러난다.

문제 5

선택형

황동규의 달밤에서 화자가 외로움이 아닌 길을 보여 주게 되는 계기로 적절한 것은?

  • 화자의 성찰
  • 친구와의 만남
  • 미래에 대한 고민
  • 카리나의 아름다움
  • 부정적인 현실에 순응

문제 6

선택형

황동규의 달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유사한 시어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했다.
  • 수미상관이 사용되었다.
  • 도치법이 사용되었다.
  • 특정한 상황을 가정하여 시상을 전개했다.
  • 부정적인 상황이 극복할 때까지만 순수한 삶의 자세를 유지하려 한다.

문제 7

선택형

공선옥의 <먼 바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전기(傳記)적 요소를 통해 인물의 일대기를 나타냈다.
  • 한 주인공의 삶의 양상을 통해 사회의 비극을 나타냈다.
  • 1990년대 개발로 인해 소외된 사회의 모습을 나타냈다.
  • 옴니버스식 구성을 통해 다양한 인물 군상의 모습을 나타냈다.
  • 의식의 흐름 기법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을 나타냈다.

문제 8

단답형

사냥 놀이를 즐기며 대석의 아들인 이 사람의 이름은 무엇인가요?(2음절)

  • 명호

문제 9

선택형

공선옥의 <먼 바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덕님의 자식들이 고향으로 와 부모를 봉양하는 모습에서 가족 공동체가 붕괴한 모습을 보여준다.
  • 칠환이 남이 버린 집에서 사는 모습을 통해 유랑민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 주민들이 떠났지만 고양이와 염소들이 사는 수몰 예정지를 통해 우리 땅의 생명력을 표현하려고 했다.
  • 덕님과 논쟁하는 방송국 사람의 모습을 통해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한 언론의 모습을 보여준다.
  • 칠환은 위급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자신이 집 주인이라고 한다.

문제 10

단답형

유랑민끼리의 연대를 나타나는 행위로 칠환과 고물을 가지러온 이가 함께 하는 것은?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2음절)

  • 사냥

문제 11

선택형

<합장정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조선 전기의 가사로 정격가사의 율격을 보인다.
  • 구비 전승되어 작가의 역사적인 삶을 통해 시어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 일정한 음보의 반복으로 운율을 형성한다.
  • 조선 후기 위정자와 임금의 잘못된 행동을 비판하고 있다.
  • 삶의 고통 속에서도 고향을 지키려는 의지가 나타나있다.

문제 12

선택형

<보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 속담을 통해 관리들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 가난하고 고달픈 민중의 삶을 나타냈다.

문제 13

선택형

보기에서 쓰인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4음보의 음보율을 통해 운율을 형성했다.
  • 반어법이 사용되었다.
  • 순령수의 권세를 찬양하고 있다.
  • aaba구조를 통해 시상을 전개했다.
  • 유교적인 '충' 사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다.

문제 14

선택형

위와 같은 표현 형식이 사용된 것은?

  • 서러운 맘을 못 이겨, 잠 못 들던 어둔 밤을 또 견디고
  • 만약이라는 두 글자가 오늘 내 맘을 무너뜨렸어
  • 지금 이 말이 우리가 다시 시작하자는 건 아냐
  •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언젠가는 내게 돌아올 운명이었다고
  • 널 미워해야만 하는 거니 아니면 내 탓을 해야만 하는 거니

문제 15

선택형

이현보의 <귀전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연시조로 평시조가 연달아 구성되어 있다.
  • 3.4조, 4.4조의 음수율을 갖는다.
  • 종장의 첫 구는 3음절로 끝난다.
  • 4음보의 음보율을 갖는다.
  •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다.

문제 16

단답형

표시한 부분에 쓰인 표현법은?(00법)

  • 대유법

  • 대유

  • (대유)

  • (대유법)

문제 17

선택형

위에 대한 설명을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노년의 화자가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 시적 화자는 화자가 처한 상황에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다.
  • 충의 사상이 드러나있다.
  •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이 나타나 있다.
  • 민요조를 통해 운율을 형성했다.

문제 18

선택형

남구만의 <조설>에서 '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누군가의 가르침으로 습득할 수 있다.
  • 터득했을 때 다른 사람이 간여하지 않아도 된다.
  • 타인의 가르침으로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여 터득할 수 있다.
  • 방법을 알고 있을 때보다 더 많은 수확을 거둘 수 있다.
  • 타인의 가르침을 반복하여 익힌다면 스스로 배울 수 있다.

문제 19

선택형

학습한 <세경본풀이>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전통 서사 무가로 농경 신화, 무속 신화적 성격을 보이며 구비 전승되었다.
  • 전기(傳奇)적 요소를 통해 사건을 전개한다.
  • 남장 모티프를 통해 남성 주인공이 여성적인 면모를 통해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 여성영웅이 등장하는 소설로 여성 영웅의 고난과 성취가 주된 내용이다.
  • 고전소설의 일반적 서술 방식인 편집자적 논평을 통해 등장인물의 행동을 평가하고 있다.

문제 20

선택형

<세경본풀이>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자청비의 부모는 어린 나이에 자청비를 얻어 자청비가 공부를 하러 집을 떠나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 문 도령은 자청비가 자청도령이라고 말하자 그 말을 믿고 자청비가 남자라고 생각했다.
  • 자청비가 무쇠 방석을 '우리 남편이 깔고 앉았던 방석'이라고 말하자 군졸들은 문 도령에 대해 두려움을 가졌다.
  • 자청비가 비현실적인 방법을 통해 문 도령을 살려내자 문 도령은 '매미, 등애, 봉황새' 소리를 통해 자청비를 도왔다.
  • 자청비는 천자국의 난을 평정하기 위해 천지왕에게 찾아가 도움을 주었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