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숲 속
순서 풀이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기출문제 3회차_교사용

신영근
0
그쌤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난기류(Turbulence)가 발생하는 주요인이 아닌 것은?

  • 안정된 대기상태
  • 바람의 흐름에 대한 장애물
  • 대형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후류
  • 기류의 수직 대류형상
힌트

✨난기류: 유연한 공기흐름을 방해하는 불규칙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현상 ✨후류: 항공기가 기동하면서 항공기의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소용돌이

문제 2

선택형

대기온도, 대기압에 적당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03,215hps
  • 760mmHG
  • 해수면 온도 섭시 15℃, 화씨 59℉
  • 29.92inHg
힌트

✨1기압 = 1atm = 760mmHG = 760Torr

문제 3

선택형

안개가 발생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닌 것은?

  • 대기의 성층이 안정할 것
  • 냉각작용이 있을 것
  • 강한 난류가 존재할 것
  • 바람이 없을 것
힌트

✨안개는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다.

문제 4

선택형

신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초경량 비행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비행장치
  • 계류식 기구류
  • 낙하산류
  • 초경량 헬리콥터
힌트

문제 5

선택형

초경량 비행장치의 멸실 등의 사유로 신고를 말소할 경우에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지방항공청장에게 말소 신고서를 제출하여햐 하는가?

  • 5일
  • 10일
  • 15일
  • 30일
힌트

https://www.kotsa.or.kr/portal/contents.do?menuCode=02020100

문제 6

선택형

초경량 비행장치 비행계획 승인 신청 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 비행경로 및 고도
  • 동승자의 자격 소지
  • 조종자의 비행경력
  • 비행장치의 종류 및 형식

문제 7

선택형

초경량 비행장치 기체 등록은 누구에게 신청하는가?

  • 지방항공청장
  • 국토교통부장관
  • 국방부장관
  •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
힌트

문제 8

선택형

배터리 보관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 더운 날씨에 차량에 배터리를 보관하지 않으며, 적합한 보관 장소의 온도는 22~28도씨 이다.
  • 배터리를 낙하, 충격, 쑤심 또는 인위적으로 합선시키지 말 것
  • 손상된 배터리나 전력 수준이 50% 이상인 상태에서 배송하지 말 것
  • 회로나 전열기 등 열원 주변처럼 따뜻한 장소에 보관

문제 9

선택형

리튬폴리머 배터리 취급/보관 방법으로 부적절한 설명은?

  • 배터리가 부풀거나 누유 또는 손상된 상태일 경우에는 수리하여 사용한다.
  • 빗속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하지 말 것
  • 정격 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 배터리는 -10도씨 ~ 40도씨의 온도 범위에서 사용한다.
힌트

➡️ 리튬배터리는 부풀거나(스웰링) 누유 또는 손상된 경우 수리가 불가하다.

문제 10

선택형

다음 초경량비행장치 안전성인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안전성인증 대상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 초경량비행장치 중에서 무인비행기도 안전성인증 대상이다.
  • 무인비행장치 안전성인증 대상은 최대이륙중량이 25킬로그램을 초과하는 것이다.
  • 초경량비행장치 안정성인증 기관은 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만이 수행한다.
힌트

• https://www.kiast.or.kr/kr/sub03_02_02_03.do

문제 11

선택형

다음 무인멀티콥터 조종자증명 종류와 종류별 업무범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4종-최대이륙중량 250g 초과, 2kg 이하 무인멀티콥터 조종 행위
  • 3종-최대이륙중량 2kg 초과, 7kg 이하(4종 업무범위 제외) 무인멀티콥터 조종 행위
  • 2종-최대이륙중량 7kg 초과, 25kg 이하 무인멀티콥터 조종 행위
  • 1종-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무인멀티콥터(2~4종 업무범위 포함) 조종 해위
힌트

http://haimirdr.co.kr/main/bbs/board.php?bo_table=qa&wr_id=10

문제 12

OX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무인멀티콥터는 안전성인증검사 대상이다.

힌트

https://www.kiast.or.kr/kr/sub03_02_02_01.do

문제 13

선택형

다음 중 관제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관제권은 계기비행항고기가 이착륙하는 공항에 설정되는 공역이다.
  • 관제권은 하나의 공항에 대해 설정하며, 다수의 공항을 포함할 수는 없다.
  • 관제권은 수평적으로 공항중심(ARP)로부터 반경 5NM까지 설정할 수 있다.
  • 관제권은 수직적으로 지표면으로 부터 3,000ft 또는 5,000ft까지 설정할 수 있다.
힌트

✨관제권은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 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지정한 공역 ✨공역: 육상 또는 해면을 포함하는 지구 표면상의 구역과 고도로 정해진 공중 영역

문제 14

선택형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배터리 1셀의 정격전압은 3.7V이다.
  • 배터리 용량은 mAh 단위로 표기한다.
  • 방전률이 클수록 전압이 높다.
  • 4셀 배터리 정격전압은 14.8V이다.
힌트

방전율이 높을 수록 배터리 수명은 짧다.

문제 15

선택형

다음 항공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초경량비행장치 범위(구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동력비행장치
  • 행글라이더
  • 비행선류
  • 무인비행장치
힌트

https://www.kiast.or.kr/kr/sub03_02_02_02.do

문제 16

OX

초경량비행장치란 항공기와 경량항공기를 포함하여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로서 자체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시행규칙)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기구류 및 무인 비행장치 등을 말한다.

힌트

초경량비행장치의 정의: 항공기와 경량항공기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로서 자체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기구류 및 무인비행장치 등을 말합니다.

문제 17

OX

인적요인은 수행의 증진 및 인간 가치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문제 18

선택형

다음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증명 종류별 응시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1~3종 – 만 14세 이상인 사람
  • 4종 – 만 10세 이상인 사람
  • 2종 – 1종 또는 2종 무인멀티콥터 조종시간이 총 20시간 이상인 사람
  • 2종 – 3종 조종자증명인 경우, 2종 무인멀티콥터 조종시간 7시간 이상인 사람
힌트

https://lic.kotsa.or.kr/airtest/html.do?menu_idx=99

문제 19

선택형

기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 중 비행중 기체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 기체속도에 따라 무게중심 기준으로 상승하는 힘을 양력이라 한다.
  • 기체의 양력을 방해하는 힘은 중력이다.
  • 항력을 이기고 전지하는 힘을 추력이라고 한다.
  • 기체에 작용하는 힘은 CG 포인트 보다 추력이 우선한다.

문제 20

OX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항공기사용사업을 경영하게 하거나 등록증을 대여하여서는 안된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