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선택형
Blade Pitch란 무엇인가?
- 블레이드의 직경
- 블레이드의 피치 각
- 로터를 1회전할 때 전진한 거리
- 블레이드의 회전면

프로펠러(로터)가 한바퀴 돌 때 비행기가 전진한 거리를 피치라고 한다.
✨양력: 공기가 물체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힘 ✨지자기센서: 나침반처럼 지구의 자력을 감지하여 멀티콥터가 어느 곳을 향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자이로센서: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 측정, 흔들림 ✨각속도: 원운동이나 회전 운동을 할 때에, 단위 시간당 변화하는 각도의 비율 ➡️금속은 무게가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 무인 멀티콥터의 무게 중심은 기체 중앙에 있다.
➡️ 블레이드(프로펠러)에 파손이 있을 때, 기체가 흔들린다.
➡️ CW(Clock Wise) 시계방향, CCW(Count Clock Wise) 반시계방향
➡️ 기술의 진보에 따른 빠른 즉각적 반응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인이다.
✨말소: 기록되어 있는 사실 따위를 지워서 아주 없애 버림. ✨멸실: 건축물이 해체, 노후화 및 재해 등으로 효용 및 형체를 완전히 상실한 상태 ➡️ https://www.kotsa.or.kr/portal/contents.do?menuCode=02020100
➡️ 리튬배터리는 부풀거나(스웰링) 누유 또는 손상된 경우 수리가 불가하다.
✨양력: 항공기를 하늘에 뜨게 하는 힘 ✨추력: 엔진처럼 기체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힘 ✨항력: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막는 저항을 말한다. ➡️ 프로펠러(로터)는 양력, 출력, 항력을 발생시킨다. ➡️ https://blog.naver.com/jb3ddrone/220921027121
➡️ 조종자는 20시간, 지도조종자는 100시간, 실기평가지도조종자는 150시간 이다.
✨METAR 보고: 매 시간마다 기상 정보를 보고 하는 형식 ✨자북 (Magnetic North):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이에요. 자석 때문에 나침반이 이쪽을 향해요. ✨진북 (True North): 지구의 가장 꼭대기, 진짜 북극을 가리켜요. 지구의 회전축이 있는 곳이에요. ✨도북 (Grid North): 지도에서 위쪽을 가리키는 북쪽이에요. 지도에서 방향을 찾기 쉽게 만들기 위해 있어요. ➡️ https://www.youtube.com/watch?v=NzVxncmL6aM
✨고정 피치 프로펠러(FPP/Fixed Pitch Propeller): 블레이드의 피치(날이 비스듬한 정도)가 변하지 않는 프로펠러 ➡️ 대부분 볼트 조임이 일정치 않고, 프로펠러 밸런스가 안 맞을 경우다.
➡️ 기압이 높은 곳과 낮은 곳 사이에 차이가 생기면, 공기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밀려가요. 이 힘을 기압경도력이라고 해요. 기압경도력 때문에 공기가 이동하면서 바람이 불어요.
➡️항공기(航空機, 영어: Aircraft)는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공중을 나는 날개가 달린 탈것이나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우주발사체이나 우주선, 미사일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양력: 항공기를 하늘에 뜨게 하는 힘 ✨추력: 엔진처럼 기체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힘 ✨항력: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막는 저항을 말한다.
➡️ https://www.kiast.or.kr/kr/sub03_02_02_02.do ➡️ 프로펠러로 추진력을 얻는 장치는 신고해야 한다.
➡️ GPS가 위치를 제어하는 부품이다.
✨송신기 : 조종기 ✨수신기 : 기체에 장착되있음, 기체전원이 꺼지면 자동으로 꺼진다. ➡️ 비행 후는 항상 기체(드론)의 전원을 먼저 끄고, 송신기를 끈다.
✨GP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최소 24 개 이상의 위성으로 이루어진 위성 항법 시스템입니다. https://blog.naver.com/dummdumm_inc/222348125525 ✨FC: FC (Flight Controller)는 수신기(RX Module)에서 받은 조종 신호를 변속기(ESC : 모터의 속도를 제어해 주는 장치)로 보내주는 중간에 안 ➡️ 멀티콥터의 제어 장치 = 전자 장치 및 센서 로터는 모터에 붙어있는 물건이라 제어장치가 아니다.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