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교실
순서 풀이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기출문제 1회차_교사용

신영근
0
그쌤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다음 중 무인항공기(드론)의 용어의 정의 포함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조종사가 지상에서 원격으로 자동 반자동형태로 통제하는 항공기
  • 자동비행장치가 탑재되어 자동비행이 가능한 항공기
  • 비행체, 지상통제장비, 통신장비, 탑재임무장비, 지원장비로 구성된 시스템 항공기
  • 자동항법장치가 없이 원격통제되는 모형 항공기

문제 2

선택형

농업용 무인멀티콥터 비행 전 점검할 내용으로 맞지 않은 것은?

  • 기체이력부에서 이전 비행기록과 이상 발생 여부는 확인할 필요가 없다.
  • 연료 또는 배터리의 만충 여부를 확인한다.
  • 비행체 외부의 손상 여부를 육안 및 촉수 점검한다.
  • 전원 인가상태에서 각 조종부위의 작동 점검을 실시한다.

문제 3

선택형

조종자가 방제작업 비행 전에 점검할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 살포구역, 위험장소, 장해물의 위치 확인
  • 풍향, 풍속 확인
  • 지형 건물 등의 확인
  • 주차장 위치 및 주변 고속도로 교통량의 확인

문제 5

선택형

항공사업법상에 무인비행장치 사용사업을 위해 가입해야하는 필수 보험은?

  • 기체보험
  • 자손 종합 보험
  • 대인/대물 배상 책임보험
  • 살포보험(약제살포 배상책임보험)
힌트

항공사업법상 필수 초경량비행장치의 필수 보험은 대인/대물 배상책임보험이다.

문제 6

선택형

무인멀티콥터 이륙 절차로써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비행 전 각 조종부의 작동점검을 실시한다.
  • 시동 후 고도를 급 상승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낭비를 줄인다.
  • 이륙은 수직으로 천천히 상승시킨다.
  • 제자리비행 상태에서 전/후/좌/우 작동 점검을 실시한다.
힌트

무인멀티콥터를 급하게 조작하며 배터리 소모가 심하다.

문제 7

선택형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인항공 방제작업을 위한 필수 요원이 아닌 사람은?

  • 조종자
  • 신호자
  • 보조자
  • 운전자
힌트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인항공 방제작업을 위해서는 조종자와 장애물 및 작업 끝 부분을 육안 확인해서 신호해 주는 신호자, 그리고 약제 준비 및 운전 등을 지원해주는 보조자가 한 작업팀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문제 8

선택형

무인멀티콥터 이륙 절차로써 적절한 것은?

  • 숙달된 조종자의 경우 비행체와 안전거리를 적당히 줄여서 적용한다.
  • 시동 후 준비상태가 될 때까지 아이들 작동을 한 후에 이륙을 실시한다.
  • 장애물들을 피해 측면비행으로 이륙과 착륙을 실시한다.
  • 비행상태 등은 필요할 때만 모니터하면 된다.
힌트

안전거리는 누구나 반드시 지켜야하며, 회전익 비행장치는 수직으로 이륙과 착륙을 실시하는 것이 안전하며, 비행경고장치는 항상 모니터링 하면서 비행을 실시해야한다.

문제 9

선택형

농업 방제지역으로 부적합한 장소라 볼 수 없는 곳은?

  • 학교 주변지역
  • 축사 및 잠사 지역
  • 상수원 보호구역
  • 농업 진흥구역
힌트

잠사 지역: 누에를 쳐서 생사를 생산하는 산업이 이루어지는 곳

문제 10

선택형

다음 중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공식 용어로 선정한 무인항공기의 명칭은?

  • UAV(Unmanned Aerial Vehicle)
  • Drone
  • RPAS(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
  • UAS(Unmanned Aircraft System)
힌트

ICAO에서는 공식용어로 RPAS를 사용하고 있다. UAV는 90년대, UAS는 2000년대, Drone은 1970년대 이전에 사용하다가 2010년대 다시 사용되기 시작한 무인항공기를 통칭하는 용어로써 일종의 속어이다.

문제 11

선택형

무인비행장치 조종자로서 갖추어야할 소양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정신적 안정성과 성숙도
  • 정보처리 능력
  • 급함과 다혈질적 성격
  • 빠른 상황판단 능력

문제 12

선택형

회전익 무인비행장치의 이착륙 지점으로 적합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 모래먼지가 나지 않는 평탄한 농로
  • 경사가 있으나 가급적 수평인 지점
  • 풍압으로 작물이나 시설물이 손상되지 않는 지역
  • 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운 지역
힌트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여 드론을 이착륙 해야 한다.

문제 13

선택형

다음 중 산악지형 등 이착륙 공간이 좁은 지형에서 사용되는 이착륙 방식에 적합한 비행체 형태와 가장 먼 것은?

  • 고정익 비행기
  • 헬리콥터
  • 다중로터형 수직이착륙기
  • 틸트로터형 수직이착륙기

문제 14

선택형

회전익 무인비행장치의 탑재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장애물이 적은 지역
  • 기온
  • 습도
  • 해발고도

문제 15

선택형

무인비행장치 비행모드 중에서 자동복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자동으로 자세를 잡아주면서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비행모드
  • 자세제어에 GPS를 이용한 위치제어가 포함되어 위치와 자세를 잡아줌
  • 설정된 경로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하는 비행 모드
  • 비행 중 통신두절 상태가 발생했을 때 이륙 위치나 이륙 전 설정한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문제 16

선택형

배터리를 오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 충전기는 정격 용량이 맞으면 여러 종류 모델 장비를 혼용해서 사용한다.
  • 10일 이상 장기간 보관할 경우 100% 만충시켜서 보관한다.
  • 매 비행시마다 배터리를 만충시켜 사용한다.
  • 충전이 다 됐어도 배터리를 계속 충전기에 걸어 놓아 자연 방전을 방지한다.
힌트

• 충전기는 가급적 전용 충전기를 사용한다. • 10일 이상 장기 보관 시 60%~70% 까지 방전시켜 보관한다. • 충전이 다 된 경우 충전기에서 분리해서 보관한다.

문제 17

선택형

드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드론은 대형 무인항공기와 소형 무인항공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소형 멀티콥터를 지칭하는 용어로 많이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소형 멀티콥터를 지칭하는 용어로 많이 쓰이기도 한다.
  • 우리나라 항공안전법은 150kg 이하 무인항공기를 무인비행장치로 분류하고있다.
  • 우리나라 항공안전법에 무인멀티콥터는 동력비행장치로 분류하고 있다.
힌트

무인멀티콥터는 무인동력비행장치로 분류하고 있다.

문제 18

선택형

다음 중 산악지형 등 이착륙 공간이 좁은 지형에서 사용되는 이착륙 방식에 적합한 비행체 형태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고정익 비행기
  • 헬리콥터
  • 다중로터형 수직이착륙기
  • 틸트로터형 수직이착륙기
힌트

고정익 비행기 형태는 일반적으로 긴 활주 이착륙 및 접근공간이 필요하여 좁은 지형에서는 상대적으로 운용상 불리하다

문제 19

선택형

프로펠러 Balance가 맞지 않을 때 가장 우선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 진동이 나타난다
  • 모터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한다
  • 회전이 되지 않는다
  • LED 경고등이 점등된다
힌트

균형이 맞지 않을 때, 먼저 진동이 발생한다.

문제 20

선택형

무인멀티콥터 프로펠러 재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카본
  • 강화 플라스틱
  • 금속
  • 나무
힌트

무게가 중요한 멀티콥터에서는 금속재질의 로터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