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교실
순서 풀이
[수행평가] 조선의 통치체제와 외교
백은영
482
7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조선의 중앙 통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하였다.
  • 각 기구 실무는 향리가 담당했다.
  • 조선의 정치는 중서문하성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 각 기구의 업무는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 6조는 나라의 행정을 나누어 맡아 집행하였다.

문제 2

선택형

조선의 통치 기구와 해당 업무를 바르게 연결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승정원-왕명의 출납을 담당
  • 의금부-한양의 행정과 치안 담당
  • 춘추관-역사서 편찬과 보관
  • 한성부-반역 등 나라의 큰 죄를 다스림
  • 성균관-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으로 유교교육 담당

문제 3

선택형

3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집현전, 사간원, 사헌부를 의미한다.
  • 권력의 독점을 막고 관리의 부정을 고발하는 역할을 했다.
  • 강력한 왕권을 뒷받침했다.
  • 사간원은 임금의 결함을 간언하고 관리의 잘못을 규탄한다.
  • 사헌부는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고 풍속을 바로 잡는다.

문제 4

선택형

조선은 지방 통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전국을 8도로 나누었다.
  • 관리(수령)를 파견한 현을 주현, 그렇지 않은 현을 속현이라고 한다.
  • 향, 소, 부곡 등 특수행정구역은 차별을 받았다.
  • 군현에는 수령이 파견되어 행정권, 사법권, 군사권을 가지고 통치했다.
  • 수령 아래는 향리가 6방으로 나뉘어 수령을 보좌하고 행정 실무를 담당했다.

문제 5

단답형

중앙에서 각 도로 OOO을/를 파견하여 수령을 관리, 감독하였다.

  • 관찰사

문제 6

단답형

OOO은 지방 양반들로 구성되어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했으며 백성을 유교 질서 속에서 가르쳤다.

  • 유향소

문제 7

OX

15세 노비 최범창은 군역의 의무가 있다.

문제 8

OX

18세 농민 이재욱과 62세 상인 안중욱은 군역의 의무가 있다.

문제 9

단답형

국경의 위급한 상황을 중앙에 전달하기 위해 OOO를 실시하였다. 중앙의 마지막 봉수대는 남산이였다.

  • 봉수제

문제 10

단답형

전국 각지에 OO을/를 설치하여 통신과 물자 수송을 원활하게 하였다.

  • 역참

문제 11

선택형

조선의 관리 등용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조선의 지배층인 문무 양반은 주로 과거로 선발되었다.
  • 음서, 천거 등을 통해 고위관리가 될 수 있었다.
  • 문과는 주로 양반의 자제가, 무과는 양반의 자제 및 중인이 응시하였다.
  • 잡과는 기술관을 뽑는 시험으로 주로 양반이 응시하였다.
  • 문과와 무과는 각각 초시, 복시, 전시를 거쳐 선발하였다.

문제 12

OX

조선의 유교교육은 양인이면 누구나 교육받을 수 있어 실제로 농민들도 활발하게 학교 교육을 받았다.

문제 13

선택형

조선의 학교에 해당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서당
  • 향교
  • 4부학당
  • 국자감
  • 태학

문제 14

단답형

조선은 OOOO의 원칙으로 외교활동을 하였다. 큰 나라는 섬기고 이웃 나라와는 교류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 사대교린

  • 사대 교린

문제 15

선택형

명과의 외교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명에 대한 사대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실리 외교를 추구하였다.
  • 명과의 사대 관계를 통해 왕권 안정을 꾀했다.
  • 조공무역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이익을 취했다.
  • 종이, 붓, 화문석 등을 명으로부터 받고 비단, 도자기, 서적, 약재 등을 명에 주었다.

문제 16

단답형

OOOOO은/는 세종 때 신숙주가 일본을 방문 한 후 저술한 책으로 일본과 류큐에 대한 외교 정책의 방향이 잘 드러나 있다.

  • 해동제국기

  • 해동 제국기

문제 17

선택형

여진,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평화로울 때는 국경이나 항구에 교역소를 허락하였다.
  • 왜와는 3포(부산포, 제물포, 성산포)을/를 개방하였다.
  • 세종은 최윤덕으로 하여금 압록강을 정벌하고 4군을 설치하였다.
  • 세종은 최무선으로 하여금 쓰시마섬을 토벌하게 하였다.
  • 세종은 김종서에게 두만강 유역을 토벌하고 6진을 설치했다.

문제 18

OX

조선은 류큐, 시암, 자와 등과도 교역했다.

문제 19

단답형

류큐는 조선에게 OO을/를 바친 기록이 남아있다.

  • 조공

문제 20

OX

기술교육은 주로 4부 학당에서 이루어졌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