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술자는 연구 윤리를 준수하고 엄격한 자기 검열의 자세를 갖는 등 ㅇㅇ ㅇㅇ을/를 져야 한다.
내적 책임
문제 4
단답형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나 개발 활동이 사회에 미칠 영향력을 인식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등 ㅇㅇ ㅇㅇ을/를 져야 한다.
외적 책임
문제 5
단답형
새로운 과학 기술의 발전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과학 기술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제도란?
기술 영향 평가 제도
문제 6
OX
윤리적 공백이 발생한 것은 기존 전통의 윤리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다.
문제 7
단답형
실제로 무엇을 보호해야 하는가를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의 희망보다는 공포로부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여러가지 징조를 통해서 윤리적 원리들을 발견할 수 있고 그런 원리들을 통해서 새로운 권력(과학 기술)에 대한 의무를 도출할 수 있다. 이것을 '(ooo ooo)' 이라고 명명한다.
공포의 발견술
공포의발견술
문제 8
선택형
"어떻든 분명한 것은 기술이란 수단일 뿐이지 그 자체는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중략) 어떻게 기술이 인간과 전혀 무관하게 광기를 부릴 수 있단 말인가?" 라고 말한 사람은?
하이데거
요나스
야스퍼스
플라톤
문제 9
선택형
"그러나 최악의 경우는 기술을 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때이며, 이 경우 우리는 무방비 상태로 기술에 내맡겨진다. 왜냐하면 현대에 와서 특히 사람들이 옳다고 신봉하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우리를 전적으로 기술의 본질에 대해 맹목적이게 하기 때문이다." 라고 한 사람은?
야스퍼스
칸트
요나스
하이데거거
문제 10
단답형
위의 내용과 관련된 사회적 책임은 "OO 책임"이다.
내적
문제 11
OX
이와 같이 주장한 사람은 "요나스"다.
문제 12
선택형
알맞는 것을 고른 것은?
ㄱ
ㄴ
ㄷ
ㄹ
ㅁ
문제 13
선택형
다음 중 옳은 것을 고르시오.
과학 기술의 결과 활용의 과정에서는 가치가 개입될 수 있다.
과학 기술의 연구 대상 선정 과정에 가치가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
과학 기술의 정당화 과정에는 과학자의 주관적 가치가 개입되어도 상관없다.
과학 기술의 전 과정에 가치가 개입되지 않아야만 유용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과학 기술의 정당화 과정을 제외한 전 과정에서 가치 중립성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문제 14
OX
모든 저작물은 인류가 생산한 정보와 지식을 활용하여 구성된 공공재이며, 이러한 공공재는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은 "카피 라이트(copy right)"이다.
문제 15
단답형
"미디어 (OOOO)"란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읽어 내면서 매체를 제대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이다.
리터러시
문제 16
단답형
시민의 "OOO"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명예나 사생활, 인격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개인 정보를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