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과거 시험장
자유 풀이
유성 친구들을 위한 음운 변동 정복하기*^^*
교사정태란
368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OX

안기다, 감기다의 경우 한자어 'ㄴ,ㅁ,' 뒤에서 된소리되기가 나타나 [안끼다, 감끼다]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문제 2

단답형

히읗은 음운의 변동 결과 [ ]으로 발음된다. [ ]에 들어갈 말은?

  • 히읃

문제 3

단답형

다음 문장에서 음운 축약 현상을 보여 주는 단어를 모두 찾아 쓰시오. 향긋한 꽃 냄새가 실바람 타고 솔솔 아카시아 꽃 하얗게 핀 먼 옛날의 과수원길

  • 향긋한

  • 하얗게

문제 4

단답형

따라는 어간 ( )에 어미( )가 합쳐진 말로 음운 변동 현상 중 ( )가 일어난다.

  • 따르

  • ㅡ탈락

힌트

하이픈이나 작은 따옴표는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답안을 구분하기 위한 쉼표를 제외한 문장부호는 생략해주세요.

문제 5

단답형

몫을은 [ ]로 발음된다. 괄호에 들어갈 말은?

  • 목쓸

문제 6

단답형

다음 문장에서 음운 탈락 현상이 나타난 단어를 찾고, 탈락의 종류를 기술하시오. 문장) 눈 쌓인 겨울산은 정말 멋지다.

  • 쌓인

  • ㅎ탈락

문제 7

단답형

집+일은 합성어로, ( )로 표기하고 [ ]로 발음된다. 이 현상은 음운 변동 중 ( )와 ( )가 순차적으로 일어난 예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은?

  • 집일

  • 짐닐

  • ㄴ첨가

  • 비음화

문제 8

단답형

짓이기다는 짓+이기다의 파생어이다. 음운 변동의 양상은 우선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적용을 받아 [ ]가 되고, 이후 ( )가 일어나 [ ]이 되며, 최종적으로 ( )가 일어나 [ ]가 된다. 괄호에 들어갈 말은?

  • 짇이기다

  • ㄴ첨가

  • 짇니기다

  • 비음화

  • 진니기다

문제 9

OX

구개음화 ㄷ,ㅌ이 ㅣ나 반모음j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를 만났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형태소 경계에서만 일어날 수 있으며, 자음 축약이 일어난 뒤에는 일어날 수 없다.

문제 10

단답형

'나무로, 바다로'는 어간 나무, 바다에 어미 ( )가 붙어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은 ( )이다. 괄호에 들어갈 말은?

  • 으로

  • ㅡ탈락

힌트

하이픈은 생략해주세요.

문제 11

단답형

달님의 경우 ( )과 ( )이 합쳐진 말로, ( )현상 이 일어나서 [ ]으로 발음된다. 괄호에 들어갈 말을 모두 서술하시오.

  • 유음화

  • 달림

문제 12

단답형

음운 변동 중에서 'ㄴ'이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변하는 현상은 무엇인가?

  • 유음화

문제 13

단답형

다음 단어들 중 자음군 단순화가 적용되어 겹받침 가운데 뒤에 있는 자음만 탈락하는 단어를 골라서 모두 쓰시오. 단어) 닭, 앉다, 맑다, 여덟, 삶, 넋

  • 앉다

  • 여덟

문제 14

OX

'갚아라'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나서 [갑아라]로 변동되고, 이후 연음되어 [가바라]로 발음한다.

문제 15

단답형

옷맵시는 [옫맵씨]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온맵씨]로 발음된다. 이는 ( )과 ( ), ( )의 음운 변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은?

  • 음절의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

  • 비음화

힌트

띄어쓰기 없이, 변동의 순서대로 세 가지 모두 서술하시오. 각 답안마다 쉼표로 구분하세요.

문제 16

단답형

'곧이듣다'는 [ ]로 발음된다. [ ]에 들어갈 말은?

  • 고지듣따

문제 17

단답형

막론은 음운 변동 결과 ( )이 일어나서 [ ]로 발음되었다가, ( )현상이 일어나서 다시 [ ]로 발음된다.

  • ㄹ의ㄴ되기

  • 막논

  • 비음화

  • 망논

힌트

순행적비음화, ㄹ의 비음화라고도 하는 이 현상은 무엇일까요?

문제 18

OX

입고[입꼬], 닫다[닫따]의 경우 파열음 'ㄱ,ㄷ,ㅂ' 뒤에서 된소리되기가 나타난다.

문제 19

선택형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꺼서'와 '따라'는 어간 끝 모음 'ㅡ'가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 것이군
  • '기면'은 어미 첫 모음 'ㅡ'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 탈락한 것이군
  • '살면'은 어미 첫 모음 'ㅡ'가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 탈락한 것이군
  • '가서'는 '건너서'와 같은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군

문제 20

OX

사잇소리 현상은 한자어끼리 결합했을 경우 사이시옷 표기를 하지 않는데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6단어는 예외적으로 표기에서도 사이시옷을 찾을 수 있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