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 전용 맵으로 제작된 퀴즈
PRO 플랜이 만료되어 퀴즈가 잠겼어요
thubnail
설산
자유 풀이

[멘델 유전] 개념 & 원리 학습 1

Helen7897 Kim
50
추가된 문제 (15/ 20)
오답 비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선택형

멘델의 유전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멘델은 완두의 여러 가지 형질 중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대립 형질 7 가지를 사용하여 교배 실험을 했다.
  • 멘델은 둥근 완두와 주름진 완두를 여러 세대에 걸쳐 각각 타가 수분하여 순종의 둥근 완두와 순종의 주름진 완두를 얻은 다음 교배 실험을 했다.
  • 둥근 완두의 암술머리에 주름진 완두의 꽃가루를 묻히는 것은 타가 수분이다.
  • 순종의 어버이를 교배 하여 잡종 1대 완두를 얻었다.
  • 완두 교배 실험 결과 잡종 1대에서 얻은 완두는 모두 둥근 모양이었다.
힌트

자가 수분은 수술의 생식세포(꽃가루)가 같은 그루의 꽃에 있는 암술머리에 붙는 현상이고, 타가 수분은 수술의 생식세포(꽃가루)가 다른 그루의 꽃에 있는 암술머리에 붙는 현상이다.

멘델의 유전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2

선택형

완두가 유전 연구에 적합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쉽게 구할 수 있고, 재배하기가 쉽다.
  • 다 자라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비교적 길다.
  • 대립 형질이 뚜렷하다.
  • 한 번의 교배에서 얻을 수 있는 자손의 수가 많다.
  • 자가 수분과 타가 수분의 조절이 쉬워 인위적인 교배 실험에 적합하다.
힌트

완두는 파종 후 10일 ~ 15일 이 지나면 완두 싹이 나오기 시작한다. 파종 후 35일 ~ 40일 사이에 꽃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완두꽃이 핀 지 10일 후에 꼬투리가 열리기 시작한다.

완두가 유전 연구에 적합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3

선택형

유전 용어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형질: 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
  • 잡종: 여러 세대를 자가 수분하여도 계속 같은 형질의 자손만 나오는 개체
  • 열성: 대립 형질이 서로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배하여 얻은 잡종 1대에서 표현되지 않는 형질
  • 표현형: 완두 씨의 모양이 둥근 것, 주름진 것과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
  • 유전자형: 표현형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 구성을 RR, rr와 같이 알파벳 기호로 나타낸 것

문제 4

선택형

(A), (B), (C)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씨 모양이나 꽃잎 색깔 등과 같이 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A)이라고 하며, (A)을 자손에게 물려주는 현상을 (B)이라고 한다. 멘델은 (B)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C)를 재료로 실험을 했다.

  • (A) 형질, (B) 생식, (C) 완두
  • (A) 형질, (B) 유전, (C) 완두
  • (A) 형질, (B) 유전, (C) 초파리
  • (A) 순종, (B) 유전, (C) 초파리
  • (A) 우성, (B) 생식, (C) 완두

문제 5

선택형

완두 씨의 모양이 둥근 것과 주름진 것처럼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형질로, 상동 염색체의 같은 위치에 있는 대립 유전자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대립 형질
  • 타가 수분
  • 자가 수분
  • 순종
  • 잡종
힌트

문제 6

선택형

멘델의 완두 교배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완두 교배 실험 결과 잡종 1대에서 얻은 완두는 모두 둥근 모양이었다.
  • 대립 형질이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배하여 얻은 잡종 1대에는 대립 형질 중 한 가지만 나타난다.
  • 잡종 1대에서 표현되는 형질을 열성, 잡종 1대에서 표현되지 않는 형질을 우성이라고 한다.
  • 완두 씨 모양 형질은 둥근 것이 우성, 주름진 것이 열성이다.
  • 둥근 것, 주름진 것과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표현형이라고 한다.

문제 7

단답형

표현형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 구성을 RR, rr와 같이 알파벳 기호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 유전자형

힌트

초성: ㅇㅈㅈㅎ 우성 대립 유전자는 알파벳 대문자, 열성 대립 유전자는 알파벳 소문자로 나타낸다.

문제 8

선택형

그림은 순종의 둥근 완두와 순종의 주름진 완두가 잡종 1대에게 유전자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잡종 1대 완두의 표현형과 유전자형을 옳게 나타낸 것은?

  • 표현형: 둥근 완두, 유전자형: R
  • 표현형: 둥근 완두, 유전자형: RR
  • 표현형: 둥근 완두, 유전자형: Rr
  • 표현형: 주름진 완두, 유전자형: r
  • 표현형: 주름진 완두, 유전자형: rr
힌트
그림은 순종의 둥근 완두와 순종의 주름진 완두가 잡종 1대에게 유전자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잡종 1대 완두의 표현형과 유전자형을 옳게 나타낸 것은?

문제 9

OX

잡종 1대 둥근 완두의 유전자형은 어버이 둥근 완두의 유전자형과 같다.

힌트

어버이의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쌍을 이루던 대립유전자는 분리되어 각각의 생식세포에 전달되므로 순종의 둥근 완두(RR)는 R를, 순종의 주름진 완두(rr)는 r를 가진 생식세포를 각각 만든다. 이들 생식세포가 수정하여 만들어진 잡종 1대 완두는 R와 r를 모두 가지므로 잡종 1대 완두의 유전자형은 Rr이다.

잡종 1대 둥근 완두의 유전자형은 어버이 둥근 완두의 유전자형과 같다.

문제 10

선택형

그레고어 멘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 유전 법칙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 수도회에 입회하면 금전적인 걱정 없이 공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제서품을 받고 수사 신부가 되었다.
  • 대학 청강 도중 멘델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접하고는, 수도원에서 진화론을 증명할 실험을 하고자 수도원 뜰에 완두를 심었다.
  • 8년 동안 실험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잡종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을 작성하여 학계에 발표하여 학계에서 인정받았다.
  • 죽기 전에 "언젠가는 나의 시대가 올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힌트

그레고어 멘델 https://namu.wiki/w/%EA%B7%B8%EB%A0%88%EA%B3%A0%EC%96%B4%20%EB%A9%98%EB%8D%B8?from=%EB%A9%98%EB%8D%B8 그레고어 멘델 https://ko.wikipedia.org/wiki/%EA%B7%B8%EB%A0%88%EA%B3%A0%EC%96%B4_%EB%A9%98%EB%8D%B8

문제 11

선택형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과학자는? 8년에 걸쳐 완두를 교배하여 얻은 결과를 「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이라는 논문으로 발표했으며, 이 논문에서 유전의 기본 원리를 밝혔다.

  • 바버라 매클린톡
  • 에릭 캔들
  • 배리 J. 마셜
  • 그레고어 멘델
  • 토머스 헌트 모건
힌트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https://namu.wiki/w/%EB%85%B8%EB%B2%A8%EC%83%9D%EB%A6%AC%ED%95%99%C2%B7%EC%9D%98%ED%95%99%EC%83%81/%EC%88%98%EC%83%81%EC%9E%90

문제 12

단답형

여러 세대를 자가 수분하여도 계속 같은 형질의 자손만 나오는 개체를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 순종

힌트

유전자형이 RR(둥글다), rr(주름지다), YY(노란색), yy(초록색)에 해당하는 개체

문제 13

단답형

대립 형질이 다른 두 순종 개체를 타가 수분하여 얻은 자손을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 잡종

힌트

유전자형이 Rr(둥글다), Yy(노란색)에 해당하는 개체

문제 14

선택형

(A), (B), (C), (D)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잡종 1대에서 표현되는 형질을 (A), 잡종 1대에서 표현되지 않는 형질을 (B)이라고 하며, 이를 (C)의 원리라고 한다.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D)이라고 하며, (D)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 (A) 열성, (B) 우성, (C) 열우, (D) 표현형
  • (A) 우성, (B) 열성, (C) 우열, (D) 유전자형
  • (A) 열성, (B) 우성, (C) 분리, (D) 표현형
  • (A) 우성, (B) 열성, (C) 우열, (D) 유전자형
  • (A) 우성, (B) 열성, (C) 우열, (D) 표현형

문제 15

선택형

키 큰 완두와 키 작은 완두를 교배했을 때 얻은 자손은 항상 키 큰 완두였다. 이 자손의 유전자형과 순종인지 잡종인지 여부를 순서대로 옳게 짝지은 것은? (단, 키가 큰 대립유전자를 T, 키가 작은 대립유전자를 t라고 한다.)

  • TT, 순종
  • TT, 잡종
  • Tt, 순종
  • Tt, 잡종
  • tt, 순종
힌트

키 큰 완두와 키 작은 완두를 교배했을 때 자손에서 항상 키 큰 완두가 나타난 것은 어버이 완두가 모두 순종이기 때문이며, 대립 형질이 서로 다른 두 순종 개체를 교배하여 얻은 자손은 모두 잡종이다.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