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숲 속
순서 풀이

[세포의 분열 & 염색체] 개념 & 원리 학습

Helen7897 Kim
86
추가된 문제 (20/ 20)
오답 허용
정답 미표시
공개 퀴즈

문제 1

OX

사람이 자라면서 몸집이 점점 커지는 것은 세포 분열이 일어나 몸을 구성하는 세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문제 2

선택형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것은?

  • 세포가 커질수록 부피가 증가한 만큼 질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
  • 세포가 커질수록 질량이 증가한 만큼 부피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
  • 세포가 커질수록 표면적이 증가한 만큼 부피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
  • 세포가 커질수록 부피가 증가한 만큼 표면적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
  • 세포가 커질수록 부피가 증가한 만큼 밀도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

문제 3

OX

세포에서 물질 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포의 크기가 계속 커지는 것이 하나의 세포가 여러 개의 작은 세포로 나누어지는 것보다 유리하다.

문제 4

선택형

생물의 생장과 관련 있는 세포 분열의 예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ㄱ, ㄴ
  • ㄴ, ㄷ
  • ㄷ, ㄹ
  • ㄱ, ㄴ, ㄷ
  • ㄴ, ㄷ, ㄹ
생물의 생장과 관련 있는 세포 분열의 예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문제 5

선택형

여자와 남자의 염색체 구성에서 공통점이 아닌 것은?

  • 모든 염색체가 두 가닥의 염색 분체로 이루어져 있다.
  • 46 개의 염색체를 가진다.
  • 여자는 X 염색체를 2 개 가지고, 남자는 X 염색체와 Y 염색체를 1 개씩 가진다.
  • 23 쌍으로 짝을 지을 수 있다.
  • 1 번~22 번까지의 염색체 구성이 같다.
힌트

차이점(다른 점)

문제 6

선택형

DN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DNA는 기본적으로 H(수소), C(탄소), N(질소), O(산소), P(인)로 이루어진 뉴클레오타이드의 사슬이다.
  • 뉴클레오타이드는 DNA의 기본구성 단위로 당, 염기, 인산기로 구성되어 있다.
  • DNA는 본래 세포 내에서 염색사와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
  • DNA의 염기는 4종류로 A(아데닌), U(유라실), G(구아닌), C(사이토신)이 있다.
  • A(아데닌)은 T(티민)과, G(구아닌)은 C(사이토신)과 수소 결합을 한다.
힌트

문제 7

OX

단세포 생물은 세포 분열을 통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므로 아메바, 대장균과 같은 단세포 생물에서 세포 분열은 곧 생식이다.

문제 8

단답형

(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분열하는 세포에서는 핵이 보이지 않고 막대나 끈 모양의 구조물인 ( )를 관찰할 수 있다. ( )는 세포가 분열하지 않을 때에는 핵 속에 가는 실처럼 풀어져 있지만, 세포가 분열하기 시작하면 굵고 짧게 뭉쳐지기 때문이다.

  • 염색체

문제 9

선택형

(A), (B), (C)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짝지은 것은? 염색체는 (A)와 (B)로 구성된다. (A)는 유전 물질로, 생물의 특징을 결정하는 여러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A)에서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위를 (C)라고 한다.

  • (A) RNA, (B) 지방, (C) 유전자
  • (A) RNA, (B) 단백질, (C) 염색사
  • (A) DNA, (B) 지방, (C) 염색사
  • (A) DNA, (B) 글리코젠, (C) 유전자
  • (A) DNA, (B) 단백질, (C) 유전자

문제 10

선택형

사람의 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람의 체세포에는 46 개(23 쌍)의 염색체가 들어 있다.
  • 체세포에서 쌍을 이루고 있는 크기와 모양이 같은 2 개의 염색체를 상동 염색체라고 한다.
  • 상동 염색체가 쌍을 이루는 까닭은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다른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 상동 염색체를 이루고 있는 2 개의 염색체는 크기와 모양이 같아 유전 정보가 서로 같다.
  • 사람이 가지는 23 쌍의 염색체 중 22 쌍은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상염색체이고, 나머지 한 쌍은 성을 결정하는 성염색체이다.
힌트

문제 11

OX

왓슨, 크릭, 윌킨스는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밝혔고 이 연구로 1962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문제 12

선택형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세포는 ( )을 통해 외부로부터 생명 활동에 필요한 산소, 영양소를 받아들이고 생명 활동 결과 생긴 노폐물을 외부로 내보내는 물질 교환을 한다.

  • 세포막
  • 세포벽
  • 세포질
  • 세포판

문제 13

OX

다세포 생물의 세포가 어느 정도 커져 2 개의 세포로 나누어지는 과정을 세포 분열이라 한다.

문제 14

OX

세포가 클수록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커진다.

문제 15

OX

세포 분열 시 염색체를 이루는 두 가닥의 염색 분체는 동일한 유전 정보를 가지며, 세포가 분열할 때 각각 분리되어 2개의 세포로 들어간다.

힌트

세포가 분열을 시작할 때 염색체는 두 가닥의 염색 분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분열하기 전에 DNA가 복제되었기 때문이다.

문제 16

OX

상동 염색체는 부모로부터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므로 상동 염색체를 이루고 있는 염색체의 유전 정보는 서로 같다.

힌트

문제 17

선택형

(A)와 (B)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옳게 짝지은 것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도마뱀의 꼬리, 사람의 뼈와 근육 등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를 (A)라고 한다. (A)가 분열하면 세포의 수가 늘어나 생물은 몸집이 커지는 (B)을 한다.

  • (A) 체세포, (B) 생장
  • (A) 체세포, (B) 생식
  • (A) 생식 세포, (B) 생장
  • (A) 생식 세포, (B) 생식
  • (A) 줄기 세포, (B) 재생

문제 18

OX

세포 분열은 일정 크기에 도달한 하나의 세포가 2 개의 세포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세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커서 물질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문제 19

OX

여자는 X 염색체를 2 개 가지고, 남자는 X 염색체와 Y 염색체를 각각 1 개씩 가지므로 성염색체 구성을 통해 사람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다.

문제 20

선택형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자료는 DNA X선 회절 사진이었다. 이 DNA X선 회절 사진을 발견한 과학자는?

  • 모리스 윌킨스
  • 벤자민 프랭클린
  • 로잘린드 프랭클린
  • 라이너스 폴링
  • 바버라 매클린톡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자료는 DNA X선 회절 사진이었다. 이 DNA X선 회절 사진을 발견한 과학자는?
구글 클래스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