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専用マップで製作されたクイズ
PROプランが満了され クイズがロックされました
thubnail
ホラー廃校
順番なし
国語

고1 국어(공통) 현대국어 문법(1-4)

이대희
41
0
追加された問題 (20/ 20)
正解のみ許容
正解非表示
公開クイズ

問題 1

OX

'집에 가요?'는 격식체 문장이다.

問題 2

選択式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

  • 명사
  • 수사
  • 동사
  • 형용사
  • 관형사

問題 3

短答式

( )표현은 화자가 대상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이다.

  • 높임

問題 4

短答式

직접 인용 표현을 할 때에는 인용절에 큰따옴표를 하여 표시하고, 뒤에 조사 ‘□□’을/를 쓴다.

  • 라고

問題 5

OX

‘아버지께서는 걱정거리가 있으시다.’는 간접 높임을 통해 문장의 주체를 높이고 있다.

問題 6

OX

미래 시제는 발생한 시점(사건시)이 그 사건을 언어로 표현하는 시점(발화시)보다 앞서는 시제이다.

問題 7

OX

능동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에서 실제 행위를 하는 주체는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능동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問題 8

短答式

‘선생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신다.’에서 높임 표현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 선어말어미를 쓰시오.(1음절)

  • -시-

問題 9

短答式

동작상 중 □□□은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을 때 사용하는 문법 요소이다.

  • 진행상

問題 10

OX

‘오늘 붕어빵이 백 개나 팔렸어.’라는 문장은 행동의 대상인 ‘붕어빵’에 초점을 두어 표현한 피동문이다.

問題 11

OX

현재 시제를 표현할 때에 형용사의 경우 선어말 어미 ‘-ㄴ-/-는-’을 쓴다.

問題 12

OX

피동문을 표현할 때에는 피동사에 ‘-아지다/-어지다’나 ‘-게 되다’를 덧붙인다.

問題 13

OX

‘언니가 할머니께 선물을 드린다.’는 상대 높임법에 따라 ‘할머니’를 높이고 있다.

問題 14

選択式

높임법에 맞게 고쳐 쓴 문장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나는 집에 있어. → (청자를 높일 때) 저는 집에 있어요.
  • 나는 이곳이 처음이다. → (청자를 높일 때) 저는 이곳이 처음입니다.
  • 할아버지는 이미 밥을 먹었어. → (주체를 높일 때) 할아버지는 이미 밥을 먹었습니다.
  • 삼촌이 제주도로 여행을 떠났다. → (주체를 높일 때) 삼촌께서 제주도로 여행을 떠나셨다.
  • 동생이 할아버지를 데리고 병원에 갔다. → (객체를 높일 때) 동생이 할아버지를 모시고 병원에 갔다.

問題 15

選択式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선어말 어미 ‘-았-/-었-’을 사용하여 과거 시제를 표현한다.
  • 부사어 ‘어제’, ‘아까’, ‘이미’ 등을 사용하여 과거 시제를 표현한다.
  • 과거 시제를 표현하기 위한 관형사형 어미로 동사의 경우 ‘-던’을 쓴다.
  • 과거 시제를 표현하기 위한 관형사형 어미로 형용사의 경우 ‘-(으)ㄴ’을 쓴다.
  • 과거의 일이나 경험을 회상하는 의미를 덧붙이기 위해 선어말 어미 ‘-더-’를 쓴다.과거의 일이나 경험을 회상하는 의미를 덧붙이기 위해 선어말 어미 ‘-더-’를 쓴다.

問題 16

選択式

<보기>의 그림 속 인물의 말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이유로 적절한 것은?

  • 잘못된 사동 표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 영어 번역 투를 그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 청자가 아니라 물건을 높여 말하고 있기 때문에
  • 불필요한 피동 표현을 이중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問題 17

選択式

<보기>의 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대화 상황에 따라 높임 표현을 달리하고 있다.
  • 사회적 위계에 따라 높임 표현을 달리하고 있다.
  • 대상 간의 친밀감의 정도에 따라 높임 표현을 달리하고 있다.
  • 대화 상대의 나이에 따라 높임 표현을 달리하고 있다.

問題 18

選択式

다음 중 이중 피동이 사용된 문장은?

  • 물고기가 형에게 잡혔다.
  • 그가 아이돌이라니 믿겨지지 않는다.
  • 그 집이 사람들에게 헐렸다.
  • 경기의 승부가 그의 마지막 득점으로 뒤집혔다.

問題 19

選択式

미래 시제를 표현할 때에는 선어말 어미 ‘–겠–’, 관형사형 어미 ‘–(으)ㄹ’이나 의존 명사 ‘것’이 결합된 ‘–(으)ㄹ 것’을 쓴다. 선어말 어미 ‘-겠-’은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추측이나 ⓑ의지, ⓒ가능성이나 ⓓ능력,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 등을 표현하기도 한다.

  • ⓐ: 지금 떠나면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 ⓑ: 다음에는 꼭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 ⓒ: 동생은 주말에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 ⓓ: 나도 그 정도의 문제는 풀 수 있겠다.
  • ⓔ: 그 사실을 내가 말해도 되겠니?

問題 20

選択式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나준식 선생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 문장의 주체를 직접적으로 높이고 있다.
  • 주격 조사를 사용하여 대상을 높이고 있다.
  • 높임을 표현하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 종결 어미를 통해 청자를 아주 높여 말하고 있다.
  • 서술어에 선어말 어미를 붙여 높임 표현을 실현하고 있다.
Google Classroom で共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