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Pro Plan専用マップで製作されたクイズ
PROプランが満了され クイズがロックされました
thubnail
海イルカ
順番あり

[감수 분열] 개념 & 원리 학습

Helen7897 Kim
108
追加された問題 (20/ 20)
誤答許容
正解非表示
公開クイズ

問題 1

選択式

(A), (B), (C)에 들어갈 내용을 옳게 짝지은 것은? 사람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A)개이다. 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결과 태어난 아기를 구성하는 체세포의 염색체 수도 변함없이 (A)개를 유지해야 사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자와 난자에는 각각 체세포 염색체 수의 (B)인 (C)개의 염색체가 들어 있다.

  • (A) 23, (B) 2배, (C) 46
  • (A) 8, (B) 절반(2분의 1), (C) 4
  • (A) 46, (B) 절반(2분의 1), (C) 23
  • (A) 46, (B) 2배, (C) 92
  • (A) 92, (B) 절반(2분의 1), (C) 46
ヒント

사람의 생식 세포인 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결과 태어난 아기를 구성하는 체세포의 염색체 수도 변함없이 사람의 체세포 염색체 수를 유지해야 사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問題 2

選択式

감수 2분열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 감수 1분열 말기 이후 유전 물질이 복제된 후 감수 2분열 전기가 시작됨
  • 감수 2분열 중기 - 2가 염색체가 세포의 중앙에 배열됨
  • 감수 2분열 후기 - 각 세포에서 두 가닥의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세포의 양쪽 끝으로 이동함
  • 감수 2분열 말기 & 세포질 분열 -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짐
  • 감수 2분열 전과 후 염색체 수는 절반으로 감소한다.
ヒント

問題 3

選択式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 모두 분열 횟수는 연속 2회이다.
  • 체세포 분열 결과 단세포 생물에서는 생식, 다세포 생물에서는 생장, 재생이 일어난다.
  •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 모두 1개의 모세포로부터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 체세포 분열은 분열 전과 후의 염색체 수 변화가 없지만 감수 분열은 염색체 수가 모세포의 4분의 1로 감소한다.
  •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 모두 2가 염색체가 전기에 형성된다.
ヒント

問題 4

選択式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진시황은 불로초를 찾아 영생을 꿈꾸었다.
  •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은 영원한 젊음을 위해 전설의 샘을 찾아 원정대를 파견하였다.
  • 길가메시왕의 서사시에는 불로장생의 약이 등장한다.
  • 랍스터는 이론적으로 영원히 살 수 있는 생명체이다.
  • 랍스터의 텔로머레이스는 활성도가 아주 낮아 텔로미어가 절대로 짧아지지 않는다.
ヒント

[영상 1] https://youtu.be/B6R2-4Snl-g [영상 2] https://youtu.be/Vvmd7NIBNcE [기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380285#home

問題 5

短答式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질병명을 쓰시오. (한글로 쓸 것) 텔로머레이스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을 때 ( )세포가 나타날 수 있다. 즉, 텔로머레이스를 인위적으로 늘릴 경우 ( )으로 발전할 수 있다.

ヒント

癌, cancer, 악성 종양, malignant tumor

問題 6

OX

사람의 생식 기관에서 만들어지는 생식 세포는 체세포가 가지는 염색체 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염색체를 가진다. 이는 생식 세포 형성 과정에서 체세포 분열과 달리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세포 분열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ヒント

생식 세포 형성 과정을 감수 분열이라고 한다.

問題 7

OX

2가 염색체는 감수 1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감수 1분열 후기까지 관찰된다. 감수 1분열 전기에 나타나는 각 염색체는 두 가닥의 염색 분체로 이루어져 있어 2가 염색체는 4개의 염색 분체로 되어 있다.

ヒント

問題 8

OX

세대를 거듭하여도 사람의 체세포에 들어 있는 염색체 수는 46개로 일정한 까닭은 수정에 참여하는 생식세포(정자, 난자)는 감수 분열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체세포 염색체 수의 절반인 23개의 염색체를 가지기 때문이다.

問題 9

OX

Hayflick 박사는 태아의 세포는 100번 정도 분열하고, 노인의 세포는 20~30번 정도 분열한 후에 노화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와 같이 세포 분열 횟수는 정해져 있다는 사실을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라고 부른다.

問題 10

OX

캘리포니아 대학(UCSF)의 Elizabeth blackburn, 존스홉킨스 의대 Carol Greider, 하버드 의대 Jack Szostak은 텔로미어를 통해서 세포의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ヒント

[텔로미어] https://ko.wikipedia.org/wiki/%ED%85%94%EB%A1%9C%EB%AF%B8%EC%96%B4 [기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380285#home

問題 11

短答式

( ) 안에 들어갈 숫자를 쓰시오. 감수 분열은 분열하기 전 유전 물질을 복제한 후, 감수 1분열과 감수 2분열의 연속적인 세포 분열 과정을 거쳐 ( )개의 딸세포를 형성한다.

  • 4

ヒント

모세포가 1회 세포 분열하면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問題 12

OX

감수 1분열과 감수 2분열 전에 각각 유전 물질을 복제하며 감수 분열 결과 4개의 딸세포를 형성한다.

問題 13

選択式

감수 1분열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포가 분열하기 전(간기) - 핵막이 뚜렷, 유전 물질이 복제되어 그 양이 2 배로 늘어남
  • 감수 1분열 전기 - 핵막이 사라지고, 상동 염색체끼리 붙은 2가 염색체가 나타남
  • 감수 1분열 중기 - 염색체가 각 세포의 중앙에 배열됨
  • 감수 1분열 후기 -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세포의 양쪽 끝으로 이동함
  • 감수 1분열 말기 & 세포질 분열 -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2 개의 딸세포가 형성
ヒント

問題 14

選択式

다음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염색체의 끝 부분에 있는 염색 소립, 세포의 수명을 결정짓는 역할 - 세포 시계의 역할을 담당하는 DNA의 조각들 - 그리스어의 '끝'(τἐλος, telos)과 '부위'(μέρος, meros)의 합성어

  • 방추사(spindle fiber)
  • 텔로미어(telomere)
  • 대립 유전자(allele)
  • 상동 염색체(homologous chromosomes)
  • 2가 염색체(bivalent chromosome)

問題 15

選択式

세포 분열과 텔로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동안에 염색체와 DNA를 복제하는 효소는 염색체의 끝 부분으로 복제를 계속할 수 없다.
  • 텔로미어가 없는 상태로 세포가 분열하여도 염색체의 끝 부분은 소실되지 않을 것이다.
  • 텔로미어는 유전자와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염색체를 운동화 끈, 텔로미어를 운동화 끈 끝 보호캡에 비유할 수 있다.
  • Elizabeth blackburn, Carol Greider, Jack Szostak은 텔로미어를 통해서 세포의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ヒント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 부분을 막고 있는 분해되지 않는 완충 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세포가 분열되면서 텔로미어는 소실되며 텔로머레이스라는 역전사 효소에 의해 보충된다. 세포의 노화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한 Leonard Hayflick은 1961년 생물과 장기에 따라서 세포의 분열 횟수가 정해져 있고, 그 후에 세포가 노화해 죽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Hayflick 박사는 태아의 세포는 100번 정도 분열하고, 노인의 세포는 20~30번 정도 분열한 후에 노화가 된다는 사실(헤이플릭 리미트)을 발견했다.

問題 16

選択式

감수 분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감수 1분열 시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결합한 2가 염색체가 나타난다.
  • 감수 1분열 시기에 상동 염색가 분리되어 각각의 딸세포로 들어간다.
  • 감수 1분열 전과 후의 염색체 수는 변하지 않는다.
  • 감수 1분열이 끝난 후 유전 물질을 복제하지 않은 채 감수 2분열이 진행된다.
  • 감수 2분열 시기에 두 가닥의 염색 분체가 분리된다.
ヒント

問題 17

OX

감수 분열 과정에서 2가 염색체가 형성되며 분열 결과 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모세포의 절반이 된다.

問題 18

選択式

감수 분열의 예로 옳은 것은?

  • 상처가 아문다.
  • 양파의 뿌리가 자란다.
  • 사람의 키나 몸집이 커진다.
  • 잘린 도마뱀의 꼬리가 새로 자란다.
  • 사람의 정소에서 정자가, 난소에서 난자가 만들어진다.
ヒント

생식세포 형성 과정을 감수 분열이라고 한다.

問題 19

選択式

감수 1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서로 붙어 형성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2가 염색체
  • 4가 염색체
  • 대립 염색체
  • 2분 염색체
  • 텔로미어
ヒント

問題 20

選択式

인간의 노화와 수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포 분열 시 텔로미어의 길이는 감소한다.
  • 텔로미어가 마모되면 세포 분열이 멈춘다.
  • 텔로머레이스의 활성화는 손상된 세포 복구 및 노화 징후 소멸이라는 긍정적 효과만 나타낸다.
  • 텔로미어의 마모 여부는 노화와 수명을 결정한다.
  • 엘리자베스 블랙번은 텔로미어 복구 효소인 텔로머레이스를 발견하였다.
Google Classroom で共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