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Salle de classe
Séquencement
Lycée 2-Intégration
기타

우리나라 공교육의 성과와 한계

‍김인호[ 학부재학 / 교
52
problème ajouté (5/ 20)
Autoriser une réponse incorrecte
Cacher la réponse
public quiz

problème 1

sélectionné

다음 중 1970년대에 교육 여건 정비를 위해 했던 노력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 초등 의무 교육을 실질적 의무 교육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 교과서의 무상 지급의 폭을 확대했다
  • 초등교육의 완전 무상화를 실현했다

problème 2

sélectionné

고교 평준화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전형 시기에 따라 특성화고는 전기, 일반고는 후기로 구분했다
  • 1974년 시행되었다
  • 입시 경쟁에 따른 교육적 폐단과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일반고 배정은 학교 지원과 경쟁 입학을 허락했다.

problème 3

sélectionné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다음 내용은 어느 법에 명시되어 있는가?

  • 헌법 제 31조 2항
  • 헌법 제 31조 3항
  • 헌법 제 31조 1항
  • 헌법 제 31조 6항

problème 4

sélectionné

대학 입시 제도와 관련하여 옳은 것은?

  • 대학별 고사, 예비고사기에는 국가와 대학이 병행하여 입시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 학력고사 시기에는 고교내신과 학력고사가 병행되지 않았다
  • 수학 능력 시험은 암기 위주와 단편적인 지식 측정 위주의 문제들로 출제되었다.
  • 1955년 이후 고교 내신제가 필수 도입 사항이었다
  • 국가고사와 대학별 고사는 모두 국가가 주관하였다

problème 5

sélectionné

학교 교육의 다양화의 역사에서, 연도와 시행 정책이 맞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 1990년대-외국어 고등학교 신설
  • 2004-고교 체제의 다양화, 특성화, 자율화 확대 정책
  • 1998-특성화고 도입 및 특수목적고등학교 확대
  • 1989-과학 고등학교 확대
  • 2001-자립형 사립고 시범 운영 방안 마련
Partage de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