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Quiz created with a Pro-exclusive map
thubnail
Ocean Dolphin
Sequencing

[과학] 4-2 2단원 물의 상태 변화 마무리 퀴즈

YNTEACHER
30,026
46
Added Question (20/ 20)
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rivate quiz

Question 1

Multiple Choice

물과 얼음을 바르게 관찰하지 못한 학생은 누구인가요?

  • 뽀로로: 물은 흐르는 성질이 있어.
  • 에디: 물은 모양이 변하고 투명해.
  • 크롱: 얼음은 차갑고 손으로 잡을 수 있어.
  • 루피: 얼음은 담는 그릇에 따라 모양이 변해.

Question 2

Multiple Choice

페트병에 물을 넣고 얼리기 전과 얼린 후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올바르게 비교한 것을 골라 보세요.

  • 얼리기 전 무게가 얼린 후 무게보다 가볍다.
  • 얼리기 전 무게와 얼린 후 무게가 같다.
  • 얼리기 전 무게가 얼린 후 무게보다 무겁다.

Question 3

Short Answer

기체인 수증기가 액체인 물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라고 합니다.

  • 응결

Hint

ㅇㄱ

Question 4

Multiple Choice

음료가 담긴 차가운 페트병을 냉장고에서 꺼내 식탁 위에 둘 때 나타나는 변화를 모두 골라 보세요.

  • 표면이 뿌옇게 됩니다.
  • 페트병의 무게가 줄어듭니다.
  • 표면에 물방울이 맺혀 아래로 흘러내립니다.
  • 페트병이 찌그러집니다.

Question 5

Multiple Choice

겨울철 스키장에서 인공 눈을 만들 때 이용하는 상태 변화는 무엇인가요?

  • 액체 → 기체
  • 기체 → 고체
  • 액체 → 고체
  • 기체 → 액체

Question 6

Multiple Choice

증발과 끓음을 바르게 비교한 학생을 모두 골라 보세요.

  • 하윤: 증발은 물의 표면에서, 끓음은 물의 표면과 물속에서 상태 변화가 일어나.
  • 지호: 같은 시간 동안 끓음이 일어날 때는 증발이 일어날 때보다 물의 양이 빠르게 줄어들어.
  • 연서: 증발은 물의 양이 많을 때, 끓음은 물의 양이 적을 때 일어나.
  • 채민: 증발은 봄과 가을에, 끓음은 여름과 겨울에 일어나.

Question 7

Multiple Choice

다음 중 물의 응결과 관련된 현상을 골라 보세요.

  • 어항 속의 물이 점점 줄어듭니다.
  • 이른 아침 풀잎에 이슬이 맺힙니다.
  • 고드름이 녹아 물방울이 떨어집니다.
  • 물을 끓여 감자를 삶습니다.

Question 8

Multiple Choice

물의 끓음을 바르게 설명한 학생을 골라 보세요.

  • 짱구: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이야.
  • 유리: 증발에 비해 물의 양이 더 천천히 줄어들어.
  • 철수: 물이 끓을 때 물 속에서 생기는 기포는 물방울이야.
  • 맹구: 물의 표면과 물 속 모두에서 상태 변화가 일어나.

Question 9

Multiple Choice

물이 얼기 전 플라스틱 시험관의 무게를 측정했더니 13.0 g이었습니다. 물이 언 후 플라스틱 시험관의 무게는 몇 g인가요?

  • 11.0g
  • 12.0g
  • 13.0g
  • 14.0g
물이 얼기 전 플라스틱 시험관의 무게를 측정했더니 13.0 g이었습니다. 물이 언 후 플라스틱 시험관의 무게는 몇 g인가요?

Question 10

Multiple Choice

지퍼백에 넣어 밀봉한 사과 조각과 식품 건조기에 넣어 말린 사과 조각입니다. 표면이 건조하고 더 단맛이 나는 사과 조각을 골라 보세요.

지퍼백에 넣어 밀봉한 사과 조각과 식품 건조기에 넣어 말린 사과 조각입니다. 표면이 건조하고 더 단맛이 나는 사과 조각을 골라 보세요.

Question 11

Multiple Choice

지퍼백에 넣어 밀봉한 사과 조각과 식품 건조기에 넣어 말린 사과 조각입니다. ㉠과 ㉡에 차이가 생긴 까닭을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누구인가요?

  • 윤서: 사과 조각 ㉡ 안에 물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야.
  • 예지: 사과 조각 ㉠ 속의 물이 모두 사라져서 없어졌기 때문이야.
  • 주원: 공기 중의 물이 사과 조각 ㉠ 안으로 들어갔기 때문이야.
  • 동현: 사과 조각 ㉡ 속의 물이 수증기로 변해 공기 중으로 흩어졌기 때문이야.
지퍼백에 넣어 밀봉한 사과 조각과 식품 건조기에 넣어 말린 사과 조각입니다. ㉠과 ㉡에 차이가 생긴 까닭을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누구인가요?

Question 12

Multiple Choice

비커에 물을 붓고 물의 높이를 표시한 후, 물을 가열하며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관찰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 물 속에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습니다.
  • 큰 기포가 연속해서 많이 생깁니다.
  • 물이 수증기로 변해 공기 중으로 흩어집니다.
  • 물 표면으로 기포가 올라와 터집니다.
비커에 물을 붓고 물의 높이를 표시한 후, 물을 가열하며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관찰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Question 13

Multiple Choice

꽁꽁 언 튜브형 아이스크림(쭈쭈바)이 녹았을 때의 모습으로 바른 것을 골라 보세요.

  • 용기의 크기가 커집니다.
  • 아이스크림의 부피가 늘어납니다.
  • 용기 속에 빈 공간이 생깁니다.
  • 아이스크림이 얼었을 때보다 더 단단해집니다.

Question 14

Multiple Choice

주스와 얼음을 담은 플라스틱 컵을 은박 접시에 올려놓았더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혔습니다. 컵 표면의 물방울은 어떤 색깔인가요?

  • 노란색
  • 흰색
  • 투명한 색
  • 은색
주스와 얼음을 담은 플라스틱 컵을 은박 접시에 올려놓았더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혔습니다. 컵 표면의 물방울은 어떤 색깔인가요?

Question 15

Multiple Choice

주스와 얼음을 담은 플라스틱 컵을 은박 접시에 올려놓았더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혔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컵 안의 얼음이 녹았기 때문입니다.
  • 컵 안의 주스가 밖으로 나왔기 때문입니다.
  • 컵 안의 주스 표면에서 물이 공기 중으로 날아갔기 때문입니다.
  •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해서 컵 표면에 맺혔기 때문입니다.
주스와 얼음을 담은 플라스틱 컵을 은박 접시에 올려놓았더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혔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Question 16

Multiple Choice

일상생활에서 증발 현상을 이용한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 건조기로 과일을 말립니다.
  • 드라이기로 젖은 머리를 말린다.
  • 냉동실에 둔 얼음과자를 식탁 위에 오랫동안 놓아둡니다.
  • 햇빛이 비치는 창가에 젖은 빨래를 널어 둡니다.

Question 17

Multiple Choice

물의 상태 변화를 이용한 예 중 상태 변화의 종류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를 골라 보세요.

  • 이글루를 만들었습니다.
  • 얼음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 스팀 청소기로 바닥을 닦았습니다.
  • 바위에 뚫린 구멍에 물을 붓고 얼려 바위를 잘랐습니다.

Question 18

Multiple Choice

증발 현상에 의한 상태 변화로 옳은 것을 골라 보세요.

  • 액체 → 기체
  • 액체 → 고체
  • 기체 → 고체
  • 기체 → 액체

Question 19

Multiple Choice

방 안에 물컵을 놓아둘 때 나타나는 변화를 바르게 말한 학생은 누구인가요?

  • 소희: 물의 색이 변할거야.
  • 앤톤: 아무런 변화가 없을 거야.
  • 성찬: 물의 양이 서서히 줄어들 거야.
  • 원빈: 물의 양이 서서히 늘어날 거야.

Question 20

Multiple Choice

물이 얼 때 부피가 변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옳은 것을 골라 보세요.

  • 크기가 큰 유리병에 물을 가득 채워 얼립니다.
  • 용기를 천으로 감싸서 얼립니다.
  • 물에 소금을 넣고 얼립니다.
  •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우지 않고 얼립니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