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Forest
Sequencing

4학년 1학기 국어 9. 자랑스러운 한글(3)(복사)

이수윤
46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Question 1

Multiple Choice

문자를 모르는 사람이 많았던 까닭은 무엇이겠습니까?

  • ① 문자를 배울 여유가 없어서
  • ② 문자를 배워도 읽을 책이 없어서
  • ③ 문자를 몰라도 불편한 점이 전혀 없어서
  • ④ 문자를 모르는 사람이 더 대우를 받아서
  • ⑤ 나라에서 문자를 배우는 것을 법으로 금지해서
문자를 모르는 사람이 많았던 까닭은 무엇이겠습니까?

Question 2

Multiple Choice

문자를 만드는 일을 하던 세종 대왕에게 닥친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 ① 눈이 심하게 나빠졌다.
  • ② 기억력이 차츰 나빠졌다.
  • ③ 신하들이 도와주지 않았다.
  • ④ 중국에서 문자 만드는 것을 반대했다.
  • ⑤ 몸이 약해져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했다.
문자를 만드는 일을 하던 세종 대왕에게 닥친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Question 3

Multiple Choice

세종 대왕이 생각한 문자를 만드는 원리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 ① 글과 말은 같아야 한다.
  • ② 쉽고 단순한 문자여야 한다.
  • ③ 그 안에 담긴 의미는 깊어야 한다.
  • ④ 사람의 얼굴을 본떠 문자를 만들어야 한다.
  • ⑤ 글로는 ‘天’이라 하고, 말로는 ‘하늘’이라 하면 안 된다.
세종 대왕이 생각한 문자를 만드는 원리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Question 4

Multiple Choice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든 까닭을 생각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을 두 가지 고르시오.

  • ① 많은 문자를 갖고 싶었기 때문에
  • ② 백성이 글을 제대로 쓰지 못했기 때문에
  • ③ 다른 나라의 부러움을 받고 싶었기 때문에
  • ④ 우리말을 한자로 옮기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 ⑤ 글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 백성이 많았기 때문에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든 까닭을 생각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을 두 가지 고르시오.

Question 5

Multiple Choice

이 글의 내용으로 볼 때, ㉠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한글의 특성은 무엇이겠습니까?

  • ① 한글은 모양이 예쁘고 세련된 문자이다.
  • ② 한글은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는 문자이다.
  • ③ 한글은 컴퓨터, 휴대 전화 등 기계화에 적합한 문자이다.
  • ④ 한글은 그 제자 원리가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이다.
  • ⑤ 한글은 적은 수의 문자로 많은 소리를 적을 수 있는 음소 문자이다.
이 글의 내용으로 볼 때, ㉠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한글의 특성은 무엇이겠습니까?

Question 6

Multiple Choice

한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① 한글의 우수성은 외국에도 알려져 있다.
  • ② 한글을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의 수가 늘고 있다.
  • ③ 휴대 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중국어나 일본어가 한글보다 시간이 덜 걸린다.
  • ④ 한글은 소리와 문자가 서로 체계적 연관성을 지닌 과학적인 문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⑤ 휴대 전화의 한글 자판은 한글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획을 더하는 원리에 기초하여 설계되었다.
한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7

Multiple Choice

다음 문자의 형태와 관련 있는 발음 기관의 모양은 어느 것입니까?

  • ① 입 모양
  • ② 이 모양
  • ③ 목구멍의 모양
  • ④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 ⑤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다음 문자의 형태와 관련 있는 발음 기관의 모양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8

Multiple Choice

1906년에 주시경이 한 일은 무엇입니까?

  • ① 배재학당에 입학했다.
  • ② 인쇄소에서 일을 했다.
  • ③ 외국에 나가 한글 연구를 했다.
  • ④ 한글을 가르치는 학교를 세웠다.
  • ⑤ <대한 국어 문법>이라는 책을 펴냈다.
1906년에 주시경이 한 일은 무엇입니까?

Question 9

Multiple Choice

주시경에게 ‘주 보따리’라는 별명이 붙은 까닭은 무엇입니까?

  • ① 이름이 ‘보따리’와 비슷해서
  • ② 보따리처럼 생긴 옷차림을 해서
  • ③ 보따리에 장사할 물건을 넣고 다녀서
  • ④ 학생들에게 보따리를 들고 다니게 해서
  • ⑤ 항상 보자기에 한글 연구와 강의에 대한 자료를 싸서 들고 다녀서
주시경에게 ‘주 보따리’라는 별명이 붙은 까닭은 무엇입니까?

Question 10

Short Answer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 중, ‘하늘, 땅, 사람’을 본떠 기본 문자를 만든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

  • 모음자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 중, ‘하늘, 땅, 사람’을 본떠 기본 문자를 만든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

Question 11

Multiple Choice

한글 자음자의 기본 문자가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 ① ㄱ
  • ② ㅋ
  • ③ ㄴ
  • ④ ㅅ
  • ⑤ ㅇ
한글 자음자의 기본 문자가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Question 12

Multiple Choice

억울한 일을 당하는 백성들이 많았던 까닭은 무엇입니까?

  • ① 문자를 알지 못해서
  • ② 나라에 임금이 없어서
  • ③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어서
  • ④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아서
  • ⑤ 사람들이 농사일을 싫어해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백성들이 많았던 까닭은 무엇입니까?

Question 13

Multiple Choice

훈민정음을 익혀 달라진 백성의 삶이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① 글을 읽거나 쓸 수 있게 되었다.
  • ② 여자들도 편지를 쓸 수 있게 되었다.
  • ③ 억울한 일을 당하는 사람이 줄어들었다.
  • ④ 사람들이 한자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 ⑤ 한자를 배울 기회조차 적었던 여자들은 훈민정음을 익혀 책을 읽었다.
훈민정음을 익혀 달라진 백성의 삶이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14

Short Answer

다음 설명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각각 찾아 쓰시오. (1) 한글을 만들었을 때의 이름: ( ) (2) ‘ㄱ, ㄴ, ㄷ, ㄹ……’은 ○○○: ( )

  • 훈민정음 자음자

  • 훈민정음, 자음자

다음 설명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각각 찾아 쓰시오.
(1) 한글을 만들었을 때의 이름:  (                     )
(2) ‘ㄱ, ㄴ, ㄷ, ㄹ……’은 ○○○:  (                     )

Question 15

Short Answer

주시경의 삶을 연표로 나타냈습니다. 힌트를 보고 빈칸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1894년 대한 국어 문법

  • 1894년, 대한 국어 문법

  • 1894, 대한 국어 문법

  • 1894, 대한국어문법

  • 1894년, 대한국어문법

Hint
주시경의 삶을 연표로 나타냈습니다. 힌트를 보고 빈칸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Question 16

Short Answer

주시경은 어려운 때일수록 무엇이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까?

  • 우리글

  • 우리 글

주시경은 어려운 때일수록 무엇이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까?

Question 17

Multiple Choice

이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 ① 신하들과 협력해서 문자를 만들었다.
  • ② 세종대왕은 비밀리에 새 문자를 만들었다.
  • ③ 세종대왕은 평상시에도 많은 책을 읽었다.
  • ④ 훈민정음은 많은 백성들 사이에서 퍼져나갔다.
  • ⑤ 신하들은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쓰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이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Question 18

Short Answer

한글 모음과 자음은 각각 무엇을 본떠 만들었는지 찾아 쓰시오.

  • 하늘, 땅, 사람 발음 기관

  • 하늘 땅 사람 발음 기관

  • 하늘,땅,사람,발음 기관

한글 모음과 자음은 각각 무엇을 본떠 만들었는지 찾아  쓰시오.

Question 19

Multiple Choice

다음에 해당하는 자음자는 무엇입니까?

  • ① ㄱ
  • ② ㄴ
  • ③ ㅁ
  • ④ ㅋ
  • ⑤ ㄲ
다음에 해당하는 자음자는 무엇입니까?

Question 20

Short Answer

자음자 ‘ㅂ, ㅃ, ㅍ’이 짝을 이루는 것을 생각할 때 빈칸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자음자 ‘ㅂ, ㅃ, ㅍ’이 짝을 이루는 것을 생각할 때 빈칸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