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Quiz created with a Pro-exclusive map
Quiz has been locked because your PRO plan expired
thubnail
Ocean Dolphin
Sequencing

4학년 1학기 국어. 자랑스런 한글(4-3)

고세정
62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Question 1

Multiple Choice

문자가 없었을 때 사람들은 어떻게 기록했을지 짐작되는 장소가 아닌 것은?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 벽화
  • 아르헨티나 리오 핀투라스 암각화
  • 융건릉

Question 2

Multiple Choice

다음 그림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요?

  • 태양
다음 그림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요?

Question 3

Short Answer

인도네시아의 OOOO민족은 말은 있으나 문자가 없어 한글을 빌려 말소리를 씁니다.

  • 찌아찌아

Question 4

Multiple Choice

다음 중 문자가 필요한 까닭 중 가장 알맞은 것을 2개 고르면?

  • 나의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 아이를 많이 낳기 위해
  • 돈을 많이 벌기 위해
  • 문화를 뒷세대에게 알려주기 위해

Question 5

Short Answer

세계에서 배우기 쉽다고 소문한 우리나라의 문자는 무엇인가요? (두 글자)

  • 한글

Question 6

Short Answer

한자를 어려워하고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 )을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

  • 백성

  • 국민

  • 사람

Hint

두 글자

Question 7

Multiple Choice

세종이 신하들에게 새 문자를 만드는 일을 비밀에 부친 까닭은 무엇입니까?

  • 신하들을 놀라게 해 주고 싶어서
  • 문자를 만드는 일에 자신이 없어서
  • 문자를 만드는 일이 너무 힘들어서
  • 신하들도 다른 새 문자를 만들고 있어서
  • 신하들이 벌 떼처럼 들고일어나 반대할 것 같아서

Question 8

Multiple Choice

억울한 일을 당하는 백성들이 많았던 까닭은 무엇입니까?

  • 문자를 알지 못해서
  •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어서
  •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아서
  • 사람들이 농사일을 싫어해서

Question 9

Short Answer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4글자)

  • 훈민정음

Question 10

OX

한글은 세종대왕이 화장실의 문에 있는 무늬를 보고 만든 글자이다.

Question 11

Multiple Choice

한글의 특징을 고르시오.

  • 발음을 하는 데 까다롭다.
  •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세계에서 문자 수가 가장 많다.
  • 제자 원리가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다.

Question 12

Short Answer

한글 자음자는 무엇의 모양을 본떠 기본 문자를 만들었습니까?

  • 발음 기관

  • 발음기관

Hint

ㅂㅇㄱㄱ

Question 13

Multiple Choice

다음 문자의 형태와 관련 있는 발음 기관의 모양은 어느 것입니까?

  • 입 모양
  • 이 모양
  • 목구멍의 모양
  •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다음 문자의 형태와 관련 있는 발음 기관의 모양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14

Short Answer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 중, ‘하늘, 땅, 사람’을 본떠 기본 문자를 만든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

  • 모음자

Question 15

Multiple Choice

한글 자음자의 기본 문자가 아닌 것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16

Multiple Choice

주시경이 어렸을 적 스승님에게 배운 "벌목정정, 조명앵애" 중 정정을 한글로 표현하면?

  • 쫙쫙
  • 쩡쩡
  • 쓱쓱
  • 스윽스윽

Question 17

OX

어린 주시경은 한자를 배우기 싫어서 한글을 연구했다.

Question 18

Short Answer

주시경이 1906년에 펴낸 책의 제목을 쓰시오.

  • 대한 국어 문법

  • 대한국어문법

  • 대한국어 문법

Question 19

Multiple Choice

주시경에게 ‘주 보따리’라는 별명이 붙은 까닭은 무엇입니까?

  • 이름이 ‘보따리’와 비슷해서
  • 보따리처럼 생긴 옷차림을 해서
  • 학생들에게 보따리를 들고 다니게 해서
  • 항상 보자기에 한글 연구와 강의에 대한 자료를 싸서 들고 다녀서

Question 20

Short Answer

주시경 선생님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만들기로 한 최초의 국어사전은?

  • 말모이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