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희는 지층이 쌓이는 순서 실험을 했습니다. 플라스틱 원통에 자갈, 모래, 진흙 순서로 넣었다면 가장 아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자갈
모래
진흙
Question 5
OX
[퇴적물이 만들어지는 과정] 아랫부분의 퇴적물이 위에 쌓인 퇴적물에 눌리면서 퇴적물 알갱이 사이는 더욱 벌어진다.
Question 6
Short Answer
[퇴적암의 종류] 알갱이의 크기가 큰 자갈에 모래나 진흙이 섞여 이루어진 암석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역암
Question 7
Short Answer
[퇴적암의 종류] 주로 진흙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큰 모래로 이루어진 암석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사암
Question 8
Short Answer
[퇴적암의 종류] 주로 진흙과 같이 작은 크기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암석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이암
Question 9
Multiple Choice
알갱이의 크기가 가장 작은 퇴적암은?
역암
사암
이암
Question 10
Short Answer
지우는 책을 보다가 힌트 속 이미지와 같은 그림을 봤습니다. 이런 것들을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화석
Hint
Question 11
OX
동물의 뼈나 식물의 잎과 같은 생물의 몸체만이 화석이 될 수 있다.
Question 12
OX
동물의 뼈나 껍데기처럼 단단하거나, 식물의 잎이나 줄기와 같이 질긴 부분이 있으면 화석이 만들어지기 쉽다.
Question 13
OX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 생물의 몸체가 호수나 바다에 가라앉고 그 위로 퇴적물이 천천히 쌓입니다.
Question 14
Multiple Choice
화석 모형 만들기 실험에서의 화석 모형과 실제 화석의 다른 점이 아닌 것은?
화석 모형보다 실제 화석이 더 단단하다.
화석 모형은 조개의 줄무늬가 보이지만 실제 화석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실제 화석은 만들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Question 15
Short Answer
화석 속 생물의 생활 모습이나 살았던 곳의 ㅎㄱ을 알 수 있습니다.
환경
Question 16
Multiple Choice
우리나라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됩니다. 이것으로 알 수 없는 것은?
당시 공룡이 몇 마리 있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옛날에 우리나라에서 공룡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고 공룡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Question 17
Short Answer
지층이 만들어지는 순서대로 기호를 써 보세요. (예:ㄱ-ㄴ-ㄷ-ㄹ)
㉠ 퇴적물이 계속 쌓이면 먼저 쌓인 것들이 눌립니다.
㉡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단단한 지층이 만들어집니다.
㉢ 지층은 땅 위로 솟아오른 뒤 깎여서 보입니다.
㉣ 물이 운반한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입니다.
ㄹ-ㄱ-ㄴ-ㄷ
Hint
처음엔 물이 퇴적물을 운반해줘요
Question 18
Short Answer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써 보세요.
물에 의하여 운반된 자갈, 모래, 진흙 등이 강이나 바다에 쌓임. → 쌓인 ( ㉠ )의 알갱이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고 알갱이들이 서로 단단하게 붙음. → 이러한 과정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단단한 ( ㉡ )이/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