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Quiz created with a Pro-exclusive map
Quiz has been locked because your PRO plan expired
thubnail
Sky Island
Freestyle

4학년 1학기 국어 9. 자랑스러운 한글(2)(복사)

겨울1경희
0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Question 1

Multiple Choice

한글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 ① 3500자만 익히면 되기 때문에
  • ② 세계에서 문자 수가 가장 적기 때문에
  • ③ 모든 문자를 따로 익혀야 하기 때문에
  • ④ 일정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에
  • ⑤ 소문자, 대문자. 필기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한글을 쉽고 빨리 배울 수 있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Question 2

Multiple Choice

한글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① 한글의 모음자는 여러 가지로 발음된다.
  • ② 한글을 배우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 ③ 기본 문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
  • ④ 발음법을 배우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⑤ 한글의 ‘아’는 상황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기도 한다.
한글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3

Short Answer

한글이 배우기 쉽고 과학적인 까닭에 세계 언어학자들은 한글을 무엇이라고 표현하는지 쓰시오.

  • 알파벳의 꿈

  • 알파벳의꿈

한글이 배우기 쉽고 과학적인 까닭에 세계 언어학자들은 한글을 무엇이라고 표현하는지 쓰시오.

Question 4

Multiple Choice

자음자 ‘ㄷ, ㄸ, ㅌ’이 짝을 이루는 것을 생각할 때 빈칸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 ① 딱
  • ② 탈
  • ③ 톨
  • ④ 다
  • ⑤ 턱
자음자 ‘ㄷ, ㄸ, ㅌ’이 짝을 이루는 것을 생각할 때 빈칸에 들어가기에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Question 5

Multiple Choice

주시경은 어릴 때 한문을 공부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습니까?

  • ① 한문이 쉽다고 생각했다.
  • ② 한글보다 한문이 훌륭하다고 생각했다.
  • ③ 한문을 모르는 것은 부끄럽다고 생각했다.
  • ④ 한문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⑤ 쉬운 한글을 두고 왜 한문을 배워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주시경은 어릴 때 한문을 공부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습니까?

Question 6

Multiple Choice

주시경은 무엇이 나라 사랑하는 길이라고 강조하였습니까?

  • ① 공부를 잘하는 것
  • ② 책을 많이 읽는 것
  • ③ 법을 잘 지키는 것
  • ④ 물건을 아껴쓰는 것
  • ⑤ 우리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
주시경은 무엇이 나라 사랑하는 길이라고 강조하였습니까?

Question 7

Short Answer

이 글에서 주시경의 별명을 찾아 쓰시오.

  • 주보따리

  • 주 보따리

이 글에서 주시경의 별명을 찾아 쓰시오.

Question 8

Multiple Choice

한글로만 쓰인 간판은 어느 것인지 두 가지 고르시오.

  • ① 맛있는 밥집
  • ② 우리 문방구
  • ③ 名品 의상실
  • ④ Happy 빵집
  • ⑤ Lovely Flower
한글로만 쓰인 간판은 어느 것인지 두 가지 고르시오.

Question 9

Multiple Choice

간판을 한글로 쓰면 좋은 점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① 부르기 쉽다.
  • ② 기억하기 좋다.
  • ③ 외국어 공부를 할 수 있다.
  • ④ 한글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 ⑤ 어떤 가게인지 쉽게 알 수 있다.

Question 10

Multiple Choice

세종 대왕이 꿈꾸는 나라는 어떤 나라였겠습니까?

  • ① 국토가 넓은 나라
  • ② 사람들이 모두 똑똑한 나라
  • ③ 다른 나라보다 힘이 센 나라
  • ④ 백성이 평안하게 잘 사는 나라
  • ⑤ 백성들이 임금에게 충성하는 나라
세종 대왕이 꿈꾸는 나라는 어떤 나라였겠습니까?

Question 11

Multiple Choice

이 그림에서 사람들이 문자를 몰라 겪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 ① 부모에게 불효를 저질렀다.
  • ② 안내문이 붙어도 읽지 못했다.
  • ③ 글을 읽느라 일을 하지 못했다.
  • ④ 일을 하고도 인정을 받지 못했다.
  • ⑤ 사람들끼리 다툼이 많이 일어났다.
이 그림에서 사람들이 문자를 몰라 겪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Question 12

Multiple Choice

세종이 명나라에 가는 신하들에게 구해 오라고 한 책은 어떤 책입니까?

  • ① 말소리 연구에 대한 책
  • ② 나라를 안정시키는 방법이 나온 책
  • ③ 백성을 잘 다스리는 방법에 대한 책
  • ④ 신하들을 잘 이끄는 방법에 대한 책
  • ⑤ 다른 나라를 여행하는 내용이 실린 책
세종이 명나라에 가는 신하들에게 구해 오라고 한 책은 어떤 책입니까?

Question 13

Multiple Choice

세종은 새 문자를 만드는 것에 대해 신하들에게 어떻게 하였습니까?

  • ① 비밀에 부쳤다.
  • ② 도와달라고 하였다.
  • ③ 억지로 일을 맡겼다.
  • ④ 크게 자랑을 하였다.
  • ⑤ 부끄러워하면서 몰래 알렸다.
세종은 새 문자를 만드는 것에 대해 신하들에게 어떻게 하였습니까?

Question 14

Multiple Choice

어의의 말을 들은 세종이 하늘이 무너지는 것처럼 느낀 까닭은 무엇입니까?

  • ① 영영 시력을 잃을지도 몰라서
  • ② 문자를 만드는 일이 어려워서
  • ③ 글을 쓰는 방법을 잊어버려서
  • ④ 신하들이 문자 만드는 것을 반대해서
  • ⑤ 백성들이 문자를 익히려고 하지 않아서
어의의 말을 들은 세종이 하늘이 무너지는 것처럼 느낀 까닭은 무엇입니까?

Question 15

Short Answer

㉠에 들어갈, 세종이 완성한 새로운 문자의 이름은 무엇인지 쓰시오.

  • 훈민정음

㉠에 들어갈, 세종이 완성한 새로운 문자의 이름은 무엇인지 쓰시오.

Question 16

Multiple Choice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들 때 고려한 것은 무엇인지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1) 글과 말이 같아야 한다고 하였다.
  • (2) 한자보다 더 어렵게 만들려고 하였다.
  • (3) 한자 표기대로 문자를 만들려고 하였다.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들 때 고려한 것은 무엇인지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Question 17

Multiple Choice

이 글에서 설명한 언어와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① 지구상에는 한 가지 언어만 있다.
  • ② 말은 있지만 문자가 없는 언어도 있다.
  • ③ 말은 다르지만 같은 문자를 쓰는 경우도 있다.
  • ④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문자의 종류는 약 50개이다.
  • ⑤ 한글이 우수한 문자라는 것은 많은 사람이 인정하고 있다.
이 글에서 설명한 언어와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Question 18

Multiple Choice

재러드 다이아몬드라는 학자는 한글을 어떤 문자라고 하였는지 두 가지 고르시오. ( )

  • ① 과학적인 문자
  • ② 말과 다른 문자
  • ③ 독창성이 있는 문자
  • ④ 익히기 어려운 문자
  • 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자
재러드 다이아몬드라는 학자는 한글을 어떤 문자라고 하였는지 두 가지 고르시오.	(               )

Question 19

Short Answer

작가인 펄 벅은 한글을 창제한 세종 대왕을 무엇이라고 칭찬하였는지 쓰시오.

  •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 레오나르도 다빈치

  • 레오나르도다빈치

작가인 펄 벅은 한글을 창제한 세종 대왕을 무엇이라고 칭찬하였는지 쓰시오.

Question 20

Short Answer

한글은 자음자와 모음자 몇 자의 문자로 되어 있는지 쓰시오.

  • 스물넉 자

  • 스물넉 자

  • 24자

  • 24

한글은 자음자와 모음자 몇 자의 문자로 되어 있는지 쓰시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