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Maze
Freestyle

인공지능 미로

박지원
29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Question 1

Short Answer

인공지능 스피커에 적용된 인공지능 기술은?

  • 음성 인식

Question 2

Short Answer

자연어로 작성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이미지, 소리, 영상 등 스스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은?

  • 생성형 인공지능

  • 생성형 AI

Question 3

Short Answer

생성형 인공지능이 잘못된 정보를 사실처럼 생성하는 ( ) 현상의 원인은 확률적 표본 추출, 불확실성 처리, 훈련 데이터의 한계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생성형 AI의 대답은 뉴스, 사전, 백과사전, 검색 등을 사용해 다른 정보와 함께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사실 여부를 검증한 후 사용해야 한다.

  • 환각

  • 할루시네이션

Question 4

Short Answer

생성형 AI가 아래와 같은 대답을 하는 이유는 학습 데이터의 ( ) 때문이다. "서구 문화에서는 인권이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다른 문화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 편향성

  • 편향

생성형 AI가 아래와 같은 대답을 하는 이유는 학습 데이터의 (          ) 때문이다.

"서구 문화에서는 인권이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다른 문화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Question 5

Short Answer

생성형 AI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생성형 AI를 제공하는 기업의 이용약관 및 사용 정책을 잘 살펴보고 ( )를 표기한 후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

  • 출처

Question 6

Short Answer

저작권법에 따르면 저작물이란 ( )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하고, 저작자란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 생성형 AI가 자동으로 생성한 저작물은 현행법상 저작권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그런데 인간이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창작을 주도했다면 생성형 AI를 사용했더라도 저작물로 인정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 인간

  • 사람

Question 7

Short Answer

생성형 AI는 ( ) 제한이 있다. 그 이유는 어린 나이에 생성 AI를 사용하면 논리력이나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해당 생성형 AI의 이용약관을 확인해야 한다.

  • 사용 연령

  • 연령

Question 8

Short Answer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는 이름이나 학교 등 ( )를 입력하면 안 된다. 입력한 질문이 생성형 AI의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질문 내용이 생성형 AI 학습에 활용될 수 없도록 설정을 지원하는 플랫폼도 늘어나고 있다.

  • 개인정보

  • 개인 정보

Question 9

Short Answer

문제를 발견하고 명확하게 (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 문제인지 명확하지 않다면, 해결책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 정의

문제를 발견하고 명확하게 (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 문제인지 명확하지 않다면, 해결책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Question 10

Short Answer

( )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사람에 대한 구체적 표현이다. 서비스의 타깃 집단을 설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가상의 인물을 실제 존재하는 사람처럼 묘사한다. 반드시 만족시켜야 할 사용자를 설정함으로써 '이 사람은 이게 불편하고, 이 기능이 필요해'라고 판단할 수 있다.

  • 페르소나

  • 퍼소나

  • persona

  • Persona

Question 11

Short Answer

( )는 사용자가 어떤 과정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다. 미래 시점의 상황에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상황이나 경험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 사용자 시나리오

Question 12

Short Answer

( )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생성형 AI에 요청하는 자연어 텍스트이다.

  • 프롬프트

  • prompt

Question 13

Short Answer

미래 교실 디자인 페들렛에서 다른 모둠의 제안서에 피드백 댓글 5개(좋은 점, 궁금한 점, 개선할 점 중에서 선택)를 작성하고 선생님께 확인받으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 모둠의 제안서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형식적이거나 의미 없는 댓글(좋아요, 예쁘다 등)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 동료 평가

  • 동료평가

Question 14

Short Answer

데이터 시각화 차트에서 ( )은 데이터의 일반적인 방향성을 보여주는 선이다. 이것을 통해 지난 30년간 서울의 평균 기온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집 데이터와 분석 기법에 따라 이것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 상승 정도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https://bit.ly/3SvYqar

  • 추세선

Hint

3글자

데이터 시각화 차트에서 (            )은 데이터의 일반적인 방향성을 보여주는 선이다. 이것을 통해 지난 30년간 서울의 평균 기온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집 데이터와 분석 기법에 따라 이것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 상승 정도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https://bit.ly/3SvYqar

Question 15

OX

선형 차트는 데이터를 선으로 연결하여 연속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연속적인 데이터나 시간에 따른 추세를 보여주는 데 적합하다. 많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Question 16

OX

막대 차트는 각 데이터를 막대로 표현하여 개별 값을 강조한다. 범주(category)형 데이터나 개별 항목 간 비교에 적합하다. 개별 값의 크기 차이를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Question 17

Short Answer

( ) 차트는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쉽지만, 개별 값의 정확한 크기를 비교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https://bit.ly/3zIBBcU

  • 선형

Hint

2글자

Question 18

Short Answer

( ) 차트는 각 연도의 정확한 값을 비교하기 쉽지만,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하기는 선형 차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다. https://bit.ly/3zIBBcU

  • 막대

Hint

2글자

(    ) 차트는 각 연도의 정확한 값을 비교하기 쉽지만,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하기는 선형 차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다. https://bit.ly/3zIBBcU

Question 19

OX

원형 차트는 원형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각 범주의 비율을 표현한다.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비율을 보여주는 데 적합하다. 소수의 큰 범주를 비교할 때 효과적이며, 범주가 너무 많으면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정확한 수치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https://bit.ly/4d0D5gT

Question 20

Short Answer

아래 괄호 안에 들어간 유니코드는 무슨 단어일까요? 우리는 한 학기 동안 정보,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과목을 배우고 경험하며 (C131C7A5)하였다.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것은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고,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은 더 단단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이룰 수 있다. 나를 믿고 계속 도전하고 실험하자.

  • 성장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