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적어보세요.
6월 민주항쟁으로 '○○ ○○○'가 다시 시행되었습니다.
<설명 1> 지역의 주민이 직접 선출한 '지방 의회 의원'과 '지방 자치 단체장'이 그 지역의 일을 처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설명 2> 이 제도의 별명은 풀뿌리 민주주의입니다.
지방 자치제
Question 10
Multiple Choice
많은 사람들이 함께 누리는 이익
공익
사익
Question 11
Short Answer
내용을 읽고, 관련된 헌법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답변 형식> ○○ ○○
유신헌법
Question 12
Short Answer
5.18 민주화 운동을 강제로 진압한 후, 간접선거를 통해 ○○○이 11, 1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전두환
Question 13
Multiple Choice
전두환의 독재 정치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삼청교육대 설립 : 원래 목적과 다르게, 정치적 반대파 및 독재 반대파들을 탄압하는 기관으로 사용
불법 납치 및 고문 : 시위하는 학생이나 반대파 인사(사람)들을 납치하여 고문하는 등의 인권유린(침해)를 함.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유신 헌법 공포 :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을 강화하고, 국회의 지위와 권한을 축소하는 등 대통령 독재가 가능하게 한 헌법
언론 통제(언론 통폐합) : 정부에 비판
Question 14
Short Answer
6월 민주항쟁 중, 항쟁에 참여하던 연세대 학생 ○○○이 최류탄 파편에 맞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6월 항쟁의 규모는 더더욱 확산되었다.
<답변 형식> ○○○
이한열
Question 15
Multiple Choice
국민이 직접 대표를 뽑는 선거제도
직선제
간선제
Question 16
Short Answer
일반 시민들이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스스로 모여 활동하는 단체를 뭐라고 하나요?
시민단체
Question 17
OX
4.19 혁명이 끝나고 <5.16 군사 정변>으로 <전두환과 일부 군인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Question 18
Short Answer
무엇에 대한 설명일까요
<전개 과정>
1) 광주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남.
2) 시민군이 조직되어 광주시내에서 계엄군을 몰아냄.
3) 군부는 폭력적으로 시위를 진압함.
4) 시민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맞섬.
5) 언론을 통제한 상태에서 계엄군을 투입, 많은 시민이 희생됨.
518민주화운동
Question 19
Short Answer
6월 민주항쟁의 <배경>이 된 사건은 무엇입니까?
서울대학교 학생이었던 ○○○ 고문치사 사건으로 국민들의 분노가 폭발하여,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