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Quiz created with a premium map
Quiz has been locked because your PRO plan expired
thubnail
Joseon Palace
Freestyle
펌뷸런스
김희진
619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 1

Multiple Choice

펌뷸런스 출동 시 현장 초기대응 방법으로 틀린 것은?

  • 개인보호장비 및 감염보호장비를 착용한다.
  • 현장 안전 및 사고 특성 등을 확인하고, 추가 출동대를 요청한다.
  • 의식상태를 평가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활력징후가 안정된 경우에는 10분마다 측정하며, 불안정한 경우에는 3분마다 측정한다.

# 2

Multiple Choice

"과체중환자 구급대 이송지원 요청"으로 출동을 나갔다. 3층 엘레베이터가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 90kg 정도의 40대 남자가 다리통증으로 거동이 불가한 상태이다. 다음 중 부상 방지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단단하고 편평한 바닥 위에서 어깨너비로 발을 벌린다.
  • 허리를 곧게 펴고 다리를 이용하여 구령에 맞춰 들어올린다.
  • 환자와 가능한 한 몸을 가까이 붙이고, 협소한 공간에서 최대한 몸을 틀어 공간을 확보한다.
  • 기본적으로 환자의 다리가 진행방향이나, 환자 건강상태와 경사도에 따라 판단한다.

# 3

Multiple Choice

척추 고정이 필요한 손상기전이 아닌것은?

  • 고속 충돌 사고
  • 깔림 또는 차량이 환자 신체 위를 지나가는 사고
  • 0.5m 이상 또는 3계단 이상 높이에서의 낙상
  • 다이빙 등 척추에 작용하는 힘을 동반한 손상
  • 자전거/오토바이 사고

# 4

Multiple Choice

경추보호대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환자의 연령에 따라 성인, 소아 구분된 경추보호대 사용
  • 경추보호대 적용 후 머리고정 적용
  • 환자의 어깨선과 턱선을 기준으로 대원의 손가락을 활용하여 목 길이 측정
  • 측정된 목 길이에 따른 경추보호대 사이즈 조절
  • 경추보호대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중앙에 적용

# 5

Multiple Choice

환자 운반 시 공통으로 주의할 사항이 아닌것은?

  • 환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들어 올릴 수 있는지 우선 판단한다.
  • 가급적 힘이 적게 드는 장비와 이동수단을 선정한다.
  • 주 들것은 최소한으로 활용하며, 구급차에 적재된 계단형 들것 등을 활용한다.
  • 부득이한 경우 현장 주변의 관계자, 일반인 등의 도움을 요청한다.
  • 들것 이동 시 최소 4명의 대원을 고루 배치하여 무게평형을 유지한다.

# 6

Multiple Choice

"50대 여자, 쓰러짐"으로 출동지령. 구급대 도착까지는 3분 정도 남았다고 한다. 현장에 도착하니 바닥에 누워있으며 환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니 호흡은 있는 상태이다. 어깨를 두드리니 얼굴을 찡그리며 신음소리를 낸다. 환자의 의식상태는?

  • A
  • V
  • P
  • U

# 7

OX

펌뷸런스대원이 119구급대보다 먼저 현장에 도착한 경우에는 자격별 응급처치의 범위에서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 8

Multiple Choice

"유치원에서 아이 열경련" 신고로 출동하였다. 구급대 도착 전까지 7분정도 소요되는 상황이라고한다. 현장 도착 시 5살 남아로 입에 거품자국 보이며 의식, 호흡이 없는 상태이다. 다음 대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손가락 두개를 이용하여 가슴 정중앙을 4~5cm 이상의 깊이로 압박한다.
  • 다른 펌뷸런스 대원은 출동 중인 후착대에게 심정지 상황임을 전파한다.
  • 보호자에게 발생상황, 병력청취, 응급처치 시행을 설명한다.
  • 응급구조사 2급 자격자가 있는 경우 백밸브마스크를 사용한다.

# 9

OX

업무운행 귀소 중 펌뷸런스 출동을 받은 경우는 센터에서 환자 발생 지역까지 이동한 거리를 기록한다.

# 10

Short Answer

펌뷸런스 출동 기록일지에 구급활동상황을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소속관서에 몇 년간 보관해야 하는가?(0년)

  • 3

# 11

Multiple Choice

"70대 남성, 쓰러짐. 의식, 호흡 확인불가. 심정지 추정"으로 출동지령. 후착 구급대 도착까지 10분정도 소요 예정이라고 한다. 현장 도착하니 보호자가 가슴압박을 하고 있다. 내가 도착해서 맨 처음 해야할 일은?

  • 보호자와 교대하여 가슴압박을 지속한다
  • AED를 가져와서 패치를 부착한다.
  • 의식, 호흡을 재확인한다.
  • 무전으로 구급차의 도착까지 소요시간을 물어본다.

# 12

Multiple Choice

다음 중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 자동심장충격기를 켜는 동안 가슴압박을 지속한다.
  • 패치는 우측은 빗장뼈 아래, 좌측은 왼쪽 젖꼭지 아래 중간겨드랑이선에 위치한다.
  • "심전도 분석 중입니다"라는 멘트가 나오면 압박을 지속한다.
  • "전기충격이 필요합니다. 반짝이는 빨간색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멘트가 나오면 환자와 접촉여부를 확인 후 심장충격 버튼을 누르며 충격 후 즉시 가슴압박을 지속한다.

# 13

Short Answer

차 대 차 교통사고 출동. 현장 도착 시 환자는 30대 남자로 보이며 운전석에 앉아있다. 환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니 얼굴이 새하얗게 질려보인다. 정면추돌했다고하며 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환자 팔을 잡으니 축축하다. 환자는 ABC 중 어느 상태가 제일 위험한가?(A,B,C로 답하세요)

  • C

# 14

Multiple Choice

자전거 대 차 교통사고 출동. 현장 도착 시 15살 남자가 후진하는 차량과 부딪쳐 사고가 났다고한다. 사고 당시 기억은 다 난다고 하며 좌측 종아리에 출혈이 보이며 바닥으로 출혈량이 흥건한 상태이다. 다음 중 환자 처치와 옳지 않은 것은?

  • 상처부위 확인하기 전 장갑을 착용한다.
  • 감염 최소화를 위해 멸균 거즈를 사용한다.
  • 상처 부위를 충분히 넓게 덮을 수 있는 거즈를 사용하여 드레싱 한다.
  • 상처 드레싱 위 붕대를 적용하며, 붕대 뭉치가 아래로 향하도록 적용한다.
  • 신체 먼 곳에서 가까운 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 15

Multiple Choice

부목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골절 부위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환자의 통증 감소 및 이차손상 방지를 위해 부목 적용
  • 손상 부위의 부종 및 변형이 있는 경우 적용
  • 개방된 상처가있을 경우 부목 고정 전 상처드레싱 우선 실시
  • 부목 전후 손상부위 부근의 PMS확인
  • 손상된 관절은 골절 부위를 포함한 먼 쪽과 가까운 쪽 관절 모두 고정

# 16

Multiple Choice

"고속도로, 3중 추돌 추정, 현장 안전조치 필요" 출동 중이다. 구급대와 함께 현장 도착한 상황이며, 안전확보를 위한 차량 부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교차로 교통사고 시 가급적 대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차한다.
  • 가급적 주행 반대방향에서 45도 각도로 부서한다.
  • 제한속도 100km 고속도로에서는 사고위치 100m 후방지점에 안전장비를 설치한다.
  • 커브길의 경우에는 커브 시작지점 이전에 부서한다.

# 17

Multiple Choice

"1살 아기 심정지 추정"으로 출동중이다. 후착 구급차 도착까지는 3km 남았다고 한다. 현장 도착하니 아기 얼굴이 파래진 상태로 의식, 호흡이 없는 상태이다. 다음 처치 중 옳지 않은 것은?

  • 양 젖꼭지를 이은 선 바로 윗부분의 튀어나온 가슴뼈 위를 압박지점으로 선택한다.
  • 손가락 두 개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약 1초에 2회 속도로 4~5cm 깊이로 압박한다.
  • 한 손은 머리를 고정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 구급대가 도착할 때 까지 압박을 지속한다.

# 18

Multiple Choice

구출고정대(KED) 적용법으로 옳은 것을 고르세요

  • 구출고정대 적용 후 머리고정 및 경추보호대를 적용한다.
  • 구출고정대 적용 후 환자의 양 손의 PMS(맥박, 움직임, 감각)을 확인한다.
  • 머리고정 우선 후 몸통을 고정한다.
  • 구출고정대 적용 후 고정벨트의 고정력을 수시로 재평가 한다.

# 19

Multiple Choice

골절의 증상 징후가 아닌것은?

  • 손상 부위의 변형, 압통
  • 움직임 제한, 부종 및 발적
  • 노출된 뼈, 뼈 마찰음
  • 손상 부위에서 가까운쪽의 운동기능 감소

# 20

OX

교통사고 현장 안전조치 출동 시 구급대원의 현장 응급처치 및 이송 시작 시까지 현장 안전을 통제한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