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Classroom
Sequencing
훈민정음 방탈출(2)
유인서
272
1
Added Question (20/ 20)
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 1

OX

‘훈민정음’은 ‘백성에게 익숙한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Hint

프린트 4쪽

‘훈민정음’은 ‘백성에게 익숙한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 2

OX

일제강점기에 기와집 열 채 값에 달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사들여 민족문화유산의 수호자로 불리는 인물은 도산 안창호이다.

Hint

프린트 1쪽

일제강점기에 기와집 열 채 값에 달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사들여 민족문화유산의 수호자로 불리는 인물은 도산 안창호이다.

# 3

Multiple Choice

훈민정음 자음은 17자인데, 이 중 ‘ㄱ, ㄴ, ㅁ, ㅅ, ㅇ’은 ( )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기본자이다.

  • 호흡 기관
  • 소화 기관
  • 발음 기관
  • 감각 기관
Hint

교과서 74쪽, 프린트 4쪽

훈민정음 자음은 17자인데, 이 중 ‘ㄱ, ㄴ, ㅁ, ㅅ, ㅇ’은 (   )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기본자이다.

# 4

Multiple Choice

‘ㅡ’와/과 ‘ㅣ’에 ‘ㆍ’을/를 한 번 합하여 만든 모음자를 ( )라고 한다.

  • 기본자
  • 가획자
  • 초출자
  • 재출자
Hint

교과서 76쪽, 프린트 4쪽

‘ㅡ’와/과 ‘ㅣ’에 ‘ㆍ’을/를 한 번 합하여 만든 모음자를 (   )라고 한다.

# 5

OX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여러 개의 소릿값을 지니고 있는 매우 과학적인 문자이다.

Hint

교과서 81쪽, 프린트 6쪽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여러 개의 소릿값을 지니고 있는 매우 과학적인 문자이다.

# 6

Short Answer

한글은 자음자와 모음자를 합쳐서 ( ) 단위로 모아 쓴다. (2음절)

  • 음절

Hint

교과서 77쪽, 프린트 5쪽

한글은 자음자와 모음자를 합쳐서 (   ) 단위로 모아 쓴다. (2음절)

# 7

Multiple Choice

한글날의 날짜는 ( )이다.

  • 8월 15일
  • 10월 9일
  • 11월 16일
  • 11월 19일
Hint

프린트 1쪽

한글날의 날짜는 (   )이다.

# 8

Multiple Choice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도’의 묘호는 무엇일까요?

  • 태종
  • 세조
  • 성종
  • 세종
Hint

프린트 1쪽. 묘호(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기리어 붙인 이름).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도’의 묘호는 무엇일까요?

# 9

OX

'훈민정음'은 글자 이름이면서 책 이름이다.

Hint

프린트 1쪽

'훈민정음'은 글자 이름이면서 책 이름이다.

# 10

OX

훈민정음의 자음자(17자)는 합성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다.

Hint

교과서 74~75쪽, 프린트 4쪽

훈민정음의 자음자(17자)는 합성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다.

# 11

OX

세종 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종성을 위한 글자를 따로 만들었다.

Hint

프린트 5쪽

세종 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종성을 위한 글자를 따로 만들었다.

# 12

Short Answer

한글은 ( )을/를 하기 때문에 읽고 쓰기에 편하고 의미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4음절)

  • 모아쓰기

Hint

교과서 77쪽, 프린트 5쪽

한글은 (   )을/를 하기 때문에 읽고 쓰기에 편하고 의미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4음절)

# 13

OX

한글은 영어의 알파벳처럼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글자들의 모양이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Hint

프린트 6쪽

한글은 영어의 알파벳처럼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글자들의 모양이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 14

OX

훈민정음 창제 전, 백성들은 한자를 사용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Hint

교과서 72쪽, 프린트 3쪽

훈민정음 창제 전, 백성들은 한자를 사용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 15

OX

‘ㆁ(옛이응)’, ‘ㄹ(리을)’, ‘ㅿ(반치음)’은 가획을 한 글자이므로 ‘ㅇ’, ‘ㄴ’, ‘ㅅ’보다 소리는 세지만, 모양이 특이하기 때문에 이체자로 분류한다.

Hint

교과서 75쪽, 프린트 4쪽

‘ㆁ(옛이응)’, ‘ㄹ(리을)’, ‘ㅿ(반치음)’은 가획을 한 글자이므로 ‘ㅇ’, ‘ㄴ’, ‘ㅅ’보다 소리는 세지만, 모양이 특이하기 때문에 이체자로 분류한다.

# 16

OX

훈민정음 자음 17자 가운데 오늘날에 쓰이지 않는 소실문자는 ‘ㆁ, ㄹ, ㅿ’이다.

Hint

프린트 5쪽

훈민정음 자음 17자 가운데 오늘날에 쓰이지 않는 소실문자는 ‘ㆁ, ㄹ, ㅿ’이다.

# 17

OX

‘ㅇ’은 콧구멍의 둥근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Hint

교과서 74쪽, 프린트 4쪽

‘ㅇ’은 콧구멍의 둥근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 18

Short Answer

‘ㅃ, ㅳ, ㅴ’처럼 자음자 둘 이상을 옆으로 나란히 쓰는 방법을 ( )라고 한다. (2음절)

  • 병서

Hint

교과서 76쪽, 프린트 5쪽

‘ㅃ, ㅳ, ㅴ’처럼 자음자 둘 이상을 옆으로 나란히 쓰는 방법을 (   )라고 한다. (2음절)

# 19

Short Answer

모음의 기본자 중 하늘을 본뜬 ‘•’의 이름은 ( )이다. (3음절)

  • 아래아

Hint

교과서 75쪽

모음의 기본자 중 하늘을 본뜬 ‘•’의 이름은 (   )이다. (3음절)

# 20

Multiple Choice

‘백성이 글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배우지 못하는 것을 가엾게 여겨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듦’과 관련된 훈민정음의 창제 정신은 ( )이다.

  • 자주 정신
  • 애민 정신
  • 실용 정신
  • 관용 정신
Hint

프린트 3쪽

‘백성이 글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배우지 못하는 것을 가엾게 여겨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듦’과 관련된 훈민정음의 창제 정신은 (   )이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