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Quiz created with a premium map
Quiz has been locked because your PRO plan expired
thubnail
Joseon Palace
Freestyle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1-2)
김수연
279
Added Question (18/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 1

Multiple Choice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게 된 배경을 바르지 않은 것은?

  • 세도 정치 아래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심해짐
  • 삼정의 문란이 해결되었으나 농민 봉기가 지속됨
  • 고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함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게 된 배경을 바르지 않은 것은?

# 2

Short Answer

흥선 대원군 시기에 편찬한 법전의 이름은?

  • 대전회통

Hint

1865년 『대전통편』 체제 이후 80년간의 수교(受敎) 및 각종 조례 등을 보완하여 정리한 조선시대 최후의 통일 법제서

# 3

OX

흥선대원군 시기 군정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해 군포를 개인이 아니라 집집마다 부과하는 사창제를 실시하여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였다.

# 4

Multiple Choice

흥선대원군 시기 경복궁을 중건한 목적으로 옳은 것은?

  • 농민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 국가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서
  •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서

# 5

Short Answer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국가의 명칭을 쓰시오. 1860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였다는 소식이 국내에 전해졌다. 여기에 ( )가 연해주를 차지하여 조선과 국겨응ㄹ 마주하게 되자 서양에 대한 위기 의식이 높아졌다.

  • 러시아

# 6

OX

평안도 관찰사였던 박지원이 통상 요구를 거절하고 물러갈 것을 요구하였으나 제너럴 셔먼호는 약탈을 자행하고 사람을 상실하는 등 난동을 부렸다. 이에 평양의 관민이 합세하여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워 침몰시켰다.

# 7

Short Answer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인물의 이름을 쓰시오. 1868년에 미국 자본가와 프랑스 선교사의 지원을 받은 독일 상인 ( )이/가 조선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그러자 무장한 선원을 이끌고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다 발각되어 달아났다.

  • 오페르트

# 8

Short Answer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인물의 이름을 쓰시오. 1873년 ( )의 상소를 계기로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의 친정 체제가 수립되었다.

  • 최익현

Hint

1870년대의 위정척사 운동을 이끌었던 주요 인물으로, 왜양일체론을 주장하였다.

# 9

Multiple Choice

강화도 조약(187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조선이 외국과 최초로 맺은 근대적인 형식의 조약이다.
  • 주권을 침해당한 불평등 조약이다.
  • 최혜국 대우를 포함하여 조선에게 불리한 조약이다.
  • 일본의 치외 법권을 허용하여 조선에게 불리한 조약이다.

# 10

OX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은 조선이 서양과 맺은 최초의 조약으로, 수출입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였고, 거중 조정 조항을 넣어 열강의 침략을 견제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 11

Short Answer

1880년대 들어 조선 정부는 근대 문물을 수용하는 개화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개화와 관련된 정책을 총괄하게 하였던 기구의 명칭은?

  • 통리기무아문

# 12

OX

정부는 김윤식을 보빙사로 삼아 청에 유학생을 파견하였다. 보빙사 일행은 청에서 무기 제조 기술을 배우고 돌아왔다.

# 13

Multiple Choice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860년대, 최익현을 비롯한 유생들이 척화주전론 주장
  • 1870년대, <조선책략>의 유포에 반대하는 영남 만인소
  • 1880년대, 이항로와 기정진을 필두로 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
  • 1890년대 이후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

# 14

Short Answer

임오군란 이후 청과 체결한 조약의 명칭은?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Hint

이 조약은 청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통상 관계를 맺고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분명히 하였다.

# 15

OX

온건 개화파의 배경 사상은 중체서용이고, 급진 개화파의 배경 사상은 문명 개화론이다.

# 16

Multiple Choice

갑신정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근대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한 소수 관료가 중심이 되어 일으킨 위로부터의 개혁이다.
  • 지나치게 청에 의존하여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 이후 청과 일본은 톈진조약을 체결하여 청일 양군을 철수하고 이후 조선에 군대 파병시 상대국에게 미리 알리기로 하였다.

# 17

Short Answer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명칭을 쓰시오. 세계 곳곳에서 러시아와 대립하고 있던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을 견제한다는 명분으로 ( )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거문도

# 18

OX

부들러와 유길준은 조선의 중립화를 주장하였지만 조선 정부의 무관심으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