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요인에 의해 인구가 밀집한 지역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서부 유럽 지역
ㄴ. 일본의 태평양 연안
ㄷ. 미국의 북동부 대서양 연안
ㄹ. 동아시아에서 남아시아에 이르는 지역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 5
Short Answer
지도는 1940년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인구가 희박한 지역의 특징은 ( )가 많은 것이다.
산지
# 6
Multiple Choice
인구 이동의 흡인 요인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 기아 ㄴ. 자연재해
ㄷ. 높은 임금 ㄹ. 종교적 박해
ㅁ. 풍부한 일자리 ㅂ. 쾌적한 주거 환경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ㅂ
③ ㄴ, ㄹ, ㅁ
④ ㄴ, ㄹ, ㅁ
⑤ ㄷ, ㅁ, ㅂ
# 7
Multiple Choice
다 ㈎, ㈏의 인구 이동의 유형을 옳게 연결한 것은?
㈎ 내전을 피해 케냐의 난민촌으로 이동하였다.
㈏ 고향보다 임금이 높은 나라로 일하러 이동하였다.
① ㈎:자발적 이동 , ㈏:강제적 이동
② ㈎:자발적 이동 , ㈏:정치적 이동
③ ㈎:정치적 이동 , ㈏:경제적 이동
④ ㈎:정치적 이동 , ㈏:강제적 이동
⑤ ㈎:경제적 이동 , ㈏:일시적 이동
# 8
Multiple Choice
다음 글의 밑줄 친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공통적인 원인은?
오늘날 인구의 국제 이동은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서부 유럽, 앵글로아메리카 등으로 이동하고 있다.
① 인종 차별이 없기 때문에
② 석유 및 천연가스가 풍부해서
③ 벼농사에 유리한 기후 때문에
④ 이민을 장려하는 정책 때문에
⑤ 경제가 발달한 선진국이기 때문에
# 9
Short Answer
지도는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인구 이동이 나타난 시기는 ( )이다. (세글자아며 띄어쓰기 하지 않기)
광복후
# 10
Multiple Choice
지도는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인구 이동이 나타난 시기는 ( )이다.
① 광복 후
② 1990년대
③ 1960년대
④ 6· 25 전쟁
# 11
Multiple Choice
다음에서 설명하는 현상은?
서부 유럽,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쾌적한 환경을 찾아 도시의 인구가 도시 주변 지역으로 이동한다.
① 도시화 현상
② 이촌 향도 현상
③ 인구 유출 현상
④ 출산율 감소 현상
⑤ 인구의 역도시화 현상
# 12
Multiple Choice
다음은 앙골라의 인구 문제에 관한 글이다. 이 국가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 문제로 옳은 것은?
[앙골라는 여성 1인당 평균 5~6명의 자녀를 출산한다. 그러나 국민의 기대 수명은 50세 정도이다.]
① 출생률의 감소로 노동력이 부족해진다.
② 사망률의 증가로 전체 인구가 감소한다.
③ 노년층 인구 증가로 노동력이 부족해진다.
④ 출생률과 사망률의 감소로 인구가 정체한다.
⑤ 인구 급증으로 식량 및 자원 부족 문제가 나타난다.
# 13
Multiple Choice
A 국가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6.4%로 초고령 사회에 속한다. A 국가에서 나타나는 인구 문제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식량 부족
ㄴ. 일자리 부족
ㄷ. 사회 복지 비용 증가
ㄹ. 청장년층의 노년층 부양 부담 증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 14
Multiple Choice
"근대화와 산업화로 출생률은 높지만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① 인구 부양력 증대
② 출산 억제 정책 실시
③ 노인의 재취업 기회 제공
④ 외국인 근로자 고용 확대
# 15
Multiple Choice
우리나라의 인구 성장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6·25 전쟁 이후 생활의 안정으로 출생률이 높아졌다.
② 의료 기술 발달과 생활 환경 개선으로 사망률이 낮아졌다.
③ 1960년대부터 인구 증가 억제를 위해 가족계획 사업을 실시하였다.
④ 현재는 고령화 현상이 둔화되고 있어서 전체 인구수가 줄어들고 있다.
⑤ 1990년대 이후에는 결혼 연령 상승, 출산 기피로 출생률이 더욱 낮아졌다.
# 16
Multiple Choice
다음은 우리나라의 과거 인구 정책을 나타낸 표어이다. 이 표어가 강조하고 있는 인구 정책은?
"아들,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둘도 많다"
"하나낳아 알뜰살뜰"
① 노인 복지 정책
② 출산 장려 정책
③ 인구 증가 억제 정책
④ 남아 선호 사상 타파
⑤ 인구의 지방 분산 정책
# 17
Multiple Choice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970년 4.53명, 1980년 2.83명, 1990년 1.60명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노년 인구는 1960년 3.7%, 1990년 5.0%, 2000년 7.3%로 증가해 왔다.
이러한 추세로 볼 때 예상되는 문제를 <보기>에서 고른 것은?
① 인구의 급증
② 노동력 부족
③ 평균 수명 감소
④ 인구의 고령화 완화
# 18
Short Answer
세계의 대표적인 인구 밀집 지역은 동아시아에서 남아시아에 이르는 벼농사 지역이다. 이 지역은 ( ) 기후가 나타나고, 하천 유역에 넓은 평야가 발달해 있어 벼농사와 인간 생활에 유리하다.
계절풍
# 19
Short Answer
최근 외국에서 우리나라로의 인구 이동이 활발해져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다. 취업이나 국제결혼을 위해 우리나라로 이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 )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다문화
# 20
Short Answer
남아 선호 사상으로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의 출생률이 높게 나타나는 문제를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5글자, 띄어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