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Classroom
Sequencing
7단원 인구변화와 인구문제 총정리(복사)
Kangin Choi
1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 1

Multiple Choice

세계의 인구 분포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른 것은?

  • ㄱ. 세계 인구의 90% 이상은 남반구에 살고 있다.
  • ㄴ. 적도 부근이나 극지방에는 인구가 적게 분포한다.
  • ㄷ. 대륙별로 살펴보면 유럽에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한다.
  • ㄹ. 위도별로 살펴보면 북위 40°~60° 지역에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한다.

# 2

Multiple Choice

다음은 세계 인구분포도이다. 이를 보고 옳게 말한 사람을 고르?

  • 나리: A 지역은 연평균 기온이 낮아 인구가 희박한 편이야.
  • 한울: B 지역은 추운 기후 때문에 인구 밀도가 낮은 편이야.
  • 영희: 서부 유럽과 미국 북동부 대서양 연안은 벼농사가 발달해 인구가 밀집한 편이야.
  • 현수: 세계의 인구는 지구상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다음은 세계 인구분포도이다. 이를 보고 옳게 말한 사람을 고르?

# 3

OX

1940년대에는 남서부 지역에 인구가 밀집하였다.

1940년대에는 남서부 지역에 인구가 밀집하였다.

# 4

OX

1940년대의 인구 분포는 2015년의 인구 분포보다 인문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40년대의 인구 분포는 2015년의 인구 분포보다 인문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5

OX

2015년에는 수도권과 부산, 대구 광주 등 대도시에 인구가 밀집하였다.

2015년에는 수도권과 부산, 대구 광주 등 대도시에 인구가 밀집하였다.

# 6

Short Answer

필리핀은 국내의 낮은 임금과 높은 실업률로 인해 1,300만 명의 근로자들이 고국을 떠나 미국, 홍콩, 일본 등지에서 일하며 번 돈을 필리핀에 있는 가족들에게 송금한다. 이 때 인구 이동의 목적에 따른 인구 이동 유형은? (5글자)

  • 경제적 이동

# 7

Short Answer

서남아시아에 있는 시리아는 2011년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으로 많은 난민이 발생하였다. 시리아의 난민은 대부분 튀르키예와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유럽 여러 나라로 유입되었다. 이 때의 인구 이동의 유형은? (5글자)

  • 정치적 이동

# 8

OX

필리핀의 낮은 임금과 높은 실업률은 인구의 흡인 요인에 해당한다.

# 9

OX

시리아의 내전은 인구의 흡인 요인에 해당한다.

# 10

Multiple Choice

인구의 국제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오늘날 인구의 국제 이동은 경제적 목적이 대부분이다.
  • ② 영국 청교도들은 종교의 자유를 찾기 위해 미국으로 이동하였다.
  • ③ 신항로 개척 이후 많은 유럽인은 아메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지로 이동하였다.
  • ④ 인구의 국제 이동은 원주민과 이주민 간의 경제적․문화적 차이에 따른 갈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 ⑤ 오늘날 경제적 목적의 인구 이동은 대부분 서부 유럽, 앵글로아메리카에서 아시아, 아프리카로 이루어진다.

# 11

OX

1960년대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미국, 독일 등지로 사람들이 많이 떠났었지.

# 12

OX

일제 강점기에는 강제 노동력 동원이나 독립 운동으로 만주나 연해주로 많은 사람이 이동하였다.

# 13

OX

1980년대부터는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해외 취업도 줄어들고 인구의 국제 이동이 줄어들었어.

# 14

OX

다음 우리나라의 국내 이동은 주로 경제적 목적의 인구 이동에 해당하며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하였다.

다음 우리나라의 국내 이동은 주로 경제적 목적의 인구 이동에 해당하며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하였다.

# 15

OX

이 시기 우리나라의 국내 인구는 북부 지방에 광공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였다.

이 시기 우리나라의 국내 인구는 북부 지방에 광공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였다.

# 16

OX

이 시기의 우리나라 인구는 산업화에 따라 촌락의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의 우리나라 인구는 산업화에 따라 촌락의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17

Multiple Choice

인구의 국내 이동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면?

  • ㄱ. 대부분 정치적 이동에 해당한다.
  • ㄴ.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이촌 향도 현상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ㄷ. 대도시의 인구가 도시 주변 지역이나 촌락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나타난다.
  • ㄹ. 미국에서는 최근 남부 지역과 태평양 연안에서 환경이 쾌적한 북동부 해안으로 많은 사람이 이동하였다.

# 18

Multiple Choice

다음과 같은 인구 구조가 나타나는 국가의 인구 현상에 대한 옳은 설명은?

  • ① 노동력이 풍부하여 생산성이 높은 편이다.
  • ② 출생률은 높지만 사망률은 낮은 편이다.
  • ③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르게 나타날 것이다.
  • ④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나타난다.
  • ⑤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인구 구조이다.
다음과 같은 인구 구조가 나타나는 국가의 인구 현상에 대한 옳은 설명은?

# 19

Multiple Choice

개발 도상국의 인구 문제를 다룬 신문 기사의 제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기아와 빈곤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② 도시 인구의 급증, 주택 부족을 심화시키다.
  • ③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
  • ④ 아직도 남아 있는 남아 선호 사상, 성비 불균형을 일으키다.
  • ⑤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제 성장 속도, 이대로 괜찮은가?

# 20

Multiple Choice

우리나라 인구 문제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면?

  • ① 6·25 전쟁 이후 출생률은 높아지고 사망률이 높아져 인구가 급증하였다.
  • ② 우리나라는 아직 고령화 사회 단계까지는 진행되지 않았다.
  • ③ 1990년대 이후에는 경제 성장 및 사회 안정으로 출생률이 높아졌다.
  • ④ 1960년대부터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
Share to Googl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