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earch
menuicon
thubnail
Forest
Sequencing
High 1-1
Korean History

한국사 복습(구석기 시대~남북국 시대)

이관우
123
Added Question (20/ 20)
Disallow incorrect answer
Hide answer
public quiz

Question 1

OX

우리 역사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건국되었다.

Question 2

Short Answer

중국 진·한 교체기에 OO이 건너와 고조선의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 위만

Question 3

Multiple Choice

고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철기 문화를 수용하면서 중국의 연과 겨룰 만큼 성장하였다.
  •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며 성장하였다.
  • 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 지방에 제가를 보내 사출도를 다스렸다.

Question 4

Short Answer

장수왕은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OO 정책을 추진하였다.

  • 남진

Question 5

OX

신라 말기 호족 시력인 견훤은 송악(개성)에 도읍을, 궁예는 완산주(전주)에 도읍을 두어 각각 후백제와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Question 6

Short Answer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을 회복한 백제 성왕은 OOO 전투에서 전사해 신라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겼다.

  • 관산성

Question 7

Multiple Choice

통일 신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군사 조직은 9서당과 10정을 중심으로 정비하였다.
  • 수도가 동남쪽으로 치우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정부를 설치하였다.
  • 신문왕은 녹읍을 폐지하여 귀족 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하려 하였다.
  • 성덕왕은 백성에게 정전을 나누어 주었다.

Question 8

Multiple Choice

다음 중 신석기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을 지어 생활하였다.
  • 벼농사가 시작되어 잉여 생산물이 늘어났다.
  • 자연물이나 특정 동식물을 숭배하기도 하였다.

Question 9

OX

옥저의 대표적인 풍습으로는 민며느리제와 가족 공동 묘(골장제)가 있다.

Question 10

Multiple Choice

통일 신라 시대 유학의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신문왕 때 태학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다.
  • 원성왕 때 독서삼품과를 마련해 관리를 채용하였다.
  • 설총은 이두를 정리해 유학 경전 보급에 힘썼다.
  • 최치원은 6두품 출신으로써 당의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Question 11

Short Answer

문무왕의 뒤를 이은 신문왕은 OOO의 난을 진압하여 왕권을 견고히 하였다.

  • 김흠돌

Question 12

Short Answer

통일 신라는 왕의 직속 기관인 OOO를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하고 그 장관인 ㅁㅁ의 권한을 강화하였다. OOO와 ㅁㅁ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순서대로 띄워쓰기 없이 쓰세요.

  • 집사부시중

Question 13

Multiple Choice

고구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주몽이 졸본 지역에서 건국하였다.
  • 태조왕 때 옥저를 복속하였다.
  • 고국원왕 때 5부를 개편하여 행정적 성격을 강화하였다.
  • 소수림왕 때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였다.

Question 14

OX

통일 신라는 5경 15부 62주의 체제로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Question 15

OX

원효는 나무아미타불만 암송하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가르쳐 불교의 귀족화에 기여하였다.

Question 16

Short Answer

발해는 선왕 때 전성기를 맞이하며 당으로 부터 OOOO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 해동성국

Question 17

Multiple Choice

다음 중 여러 나라의 성장과 관련한 내용 중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부여-서옥제라고 불리는 결혼 풍습이 있었다.
  • 고구려-영고라 불리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옥저·동예-신지, 읍차라 불리는 군장이 통치하였다.
  • 삼한-소도라 불리는 신성한 구역이 존재하였다.

Question 18

Multiple Choice

신라의 여러 국왕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지증왕-불교를 공인하였다.
  • 법흥왕-금관가야를 병합하였다.
  • 법흥왕-화랑도를 개편하였다.
  • 진흥왕-우산국을 정복하였다.

Question 19

Multiple Choice

삼국 통일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당은 백제를 멸망시킨 후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였다.
  • 백제와 고구려의 공격으로 신라는 당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 매소성,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한 신라가 당을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하였다.
  • 삼국 통일 전 고구려는 안시성 전투에서 수나라를, 살수대첩에서 당나라를 물리쳤다.

Question 20

Short Answer

통일 신라에서 실시한 제도 중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지방 세력을 일정 기간 수도에 올라와 있게 하는 제도의 명칭은? (제도는 빼고 명칭만 적기, 3글자!)

  • 상수리

Share to Google Classroom